*이미지가 안 나타나면 다음을 클릭하세요. http://blog.daum.net/ilman031/14547192


금강산 건봉사(乾鳳寺)/ 고성군(固城郡)


990957405AF79F552A1BA9'나는 고려국에 태어나서 금강산을 보고 싶다.(我願生高麗國 見金剛)'던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소동파(蘇東坡)처럼 나도 금강산의 아름다움을 그 이상으로 보고 싶었는데 금강산을 외면하고 가보지 않은 것은, 남한을 불바다로 만든다고 협박하는 북한군에게 원자탄을 만드는데 필요한 그 귀한 딸라를 한 푼이라도 보태주고 싶지 않다는 생각에서였다.

젊어서 관동별곡(關東別曲)을 가르치던 국어선생이었던 사람이라서 남보다 더 금강산을 알려 하였고, 금강산은 더 가고 싶던 곳인데도 말이다.

그런 내가 지금 '금상산 건봉사(乾鳳寺)'를 향하고 있는 것은 뭐니뭐니 해도. 6. 25를 일으킨 김일성의 덕분인 것 같다. 고성(固城)은 수복 이전에는 38선 이북인 금강산 구역이 아닌가. 
999B8C375AF7A74A19919A건봉사 가는 길은 세 방향이 있는데 우리는 통일전망대를  보고 오는 길이라서 건봉사 가는 도중에 수없이 군 부대에 신고를 해가며 차단막을 피하여 겨우 도착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까지 한국의 4대사찰이라면 순천 송광사(僧寶 사찰), 합천의 해인사(法寶 사찰),  경남 양산의 통도사(佛法 사찰)와 고성 금강산 건봉사(乾鳳寺)라 하였다.
건봉사를 가면서 이상하게 느껴 지는 것은 이런 첩첩 두메산골에 건봉사란 5대 사찰이 어찌 있을 수 있었는가 하는 것이다.

 그러다 건봉사에 이르니 그 입구에 건봉사에서 주석(駐錫)하다가 열반하신 스님들의 50 기가 넘는 부도군(浮屠群)과 늘어 서있는 12 기의 비석(碑石) 등이 이 절이 옛날에는 대찰(大刹)이었음을 느끼게 되면서 아아! 하는 감탄사가 절로 나오게 된다.
*. 건봉사(乾鳳寺)
 
999035395AF7BC36043B10 건봉사(乾鳳寺)는 강원도 고성군 오대면 냉천리 금강산
건봉산(907.9m) 기슭에 있는 절로 지금은 설악산 신흥사의 말사이지만, 6.25  이전까지만 해도 31본산의 하나인 큰 절이었다. 
 이 절은 신라 법흥왕 7(520)에 아도화상(阿道和尙)'원각사(圓覺寺)'란 이름으로 창건한 것을, 여랄(麗末)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중수하할 때 절 서쪽에 봉황(鳳凰) 모양의 돌이 있다 하여 '서봉사(西鳳寺)'라 하다가 공민왕 7(1358) 나옹(懶翁)이 다시 중수하고 건봉사(乾鳳寺)라 하였다 세조 10년에는 세조가 이 절에 행차하여 이절을 원찰(願刹)로 삼고 어실각(御室閣)을 지어 역대왕의 위패를 봉안하게 하였다.

건봉사는 창건 당시에는 31,83칸의 대가람이었으나 산불과 6. 25 한국동란으로 모든 건물이 불 탔으나 원형 돌기둥에  총알 자국을  군데군데 남기고 서 있는 불이문(不二門, 강원문화재 자료 35호)만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그 문 원형 돌기둥에 음각한 문양은 '금강저(金剛杵)'라고 하는데 불교 수호를 위한 사천왕문(四天王門)과 인왕(仁王) 대신 이 절을 수호하기 위한 옛날의 무기다.  거기 걸려 있는 불이문 현판은 조선 마지막 왕세자인 영친왕의 스승 해강 김규진 선생의 글씨다.

 기록을 보니 한창 때 이 절 신도 1,820명이 염불만일회(念佛萬日會)를 베풀었다 하며, 성종(成宗)은 이 절 사방의 10 리 안을 모두 이 건봉사의 재산으로 하게 하는 등 역대 왕가에서도 큰 시주 등을 했다는 기록이 많이 보인다. 이토록 창건 이후에 왕실과 지방관료의 도움을 받아 건봉사는 대찰(大刹)로 클 수가 있었다.

그러나 6.25 전란에 절이 폐허가 된 데다가 위치가 민통선(民統線) 안에 있어서 민간인이 출입이 통제되는 지역이었다. 그 민통선(民間人出入統制區域)이 1992년 풀리는 바람에 비로소 절을 재건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게 된 것이다.
 
주차장에 차를 세우니 그 앞에 승려요, 독립운동가요, 시인인 만해 한용운(卍海韓龍雲)의 시가 발길을 잡는다.
 

내가 당신을 사랑하는 것은 까닭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의 홍안(紅顔)만을 사랑하지마는

당신은 나의 백발(白髮)도 사랑하는 까닭입니다.


내가 당신을 그리워 하는 것은 까닭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의 미소만을 사랑하지마는

당신은 나의 눈물도 사랑하는 까닭입니다.


내가 당신을 기다리는 것은 까닭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의 건강함을 사랑하지마는

당신은 나의 죽음도 사랑하는 까닭입니다.

992C5C4B5AF7B8302FCE58주차장 화장실 옆에  '건봉사에서 꼭 보셔야 할 곳"이 안내도로 소개 되고 있다.

998A8B3B5AF823252E4B8A
*.적멸보궁(寂滅寶宮)

 건봉사에서 내가 제일 먼저 찾은 곳은 석가모니의 진신사리인 치아(齒牙)를 모셨다는 적멸보궁(寂滅寶宮)이다.

부처님의 진신사리(眞身舍利)란 그 자체가 불신(佛身)이므로 법당에 별도로 불상을 조성하지 않고 그 자리에 방석만을 놓는데 이러한 절을 적멸궁(寂滅宮)이라 한다.

층계를 오르니 다른 절에서는 볼 수 없는 좌우 한 쌍의 석주(石柱)가 있다. 십바라밀석주(十波羅蜜石柱)였다. 십바라밀이란 열반에 이르기 위하여 수행해야 하는 열 가지 수행을 말하는 것이다. 

9998793D5AF8CA7A1A0864

998A7B395AF8C93D15FD07

9921D2335AF8C442041D34

정멸보궁 뒤뜰에 가보니 신라의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문수보살을 친견(親見)하고 가져왔다는  진신사리 중 이곳에 모셨다는 석가모니의 진신치아사리탑(眞身齒牙舍利塔)이 있다.

이 진신치아사리탑은 임진왜란시 통도사에서 일본군에게 약탈 당했던 것을 사명대사가 일본에서 되찾아 경종4년에 그 일부를 이 건봉산에 봉안하였다는 탑이다.

 건봉사 진신치아사리(眞身齒牙舍利)는 적멸보궁에 3과를 모시고 만일염불원에 5과를 모셔두었는데 일반 신도들이 친견할 수 있도록 금제 사리함을 별도로 만들어 봉안하고 있다

.한국에는 불가의 최대 성지로 꼽히는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모신 보궁으로  5대 정멸보궁이 있다.
경남 양산 통도사(通度寺) 적멸보궁, 강원 평창의 오대산 적멸보궁, 강원 영월 법흥사(法興寺)의 적멸보궁, 강원 정선의 정암사(淨巖寺) 적멸보궁, 강원도 인제의 봉정암(鳳頂庵) 적멸보궁이 그것이다.

 

99843F385AF8CD3729B231

 능파교(凌波橋, 보물 1336호)를 건넌다. 

997534395AF823A404A489

능파(凌波)란 물결 위를 가볍게 거닌다는 뜻으로  미인의 가벼운 걸음거리를 비유하는 말이니 나도 가벼운 걸음으로 이 멋진 석교를 걸어 넘는다. 

 다리의 규모는 폭 3m요, 길이 14m 높이 5.4m의 아치형 구름다리로 숙종 24년(1708)에 세워진 석교다.  거기 흐르는 냇물은 수량이 냇물 같지도 않지만 금강산 건봉산(907.9m) 깊은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물이라 영조 때 홍수로, 고종는 장마로 무너진 것을 개축한 석교(石橋)다. 

능파교를 넘다 보니 좌측 멀리 왕소나무가 보인다. 6.25로 산과 절이 활활 타오를 때에도 용케도 피해 살아남아 당당히 우뚝 선 왕소나무다.

9939703C5AF9145F06D15A

누하진입문(樓下進入門) 입구의 약수는 3단계를 거쳐서 길게 드리운 고목을 통하여 냇가로 떨어지는 모습이 운치를 더해주고 있다. 대웅전 앞 마당에 들어서니 초파일이 가까워서인가 연등이 요란하다.

  그 2층 강당에는 진귀한 사진전이 전시되고 있었다. 2017년 가을에 건봉산 봉서루에서 건봉사와 관계 있는 국립박물관 소장 사진을 빌어 열었다는 사진전에는 금강산의 사찰들을 전시했다던데 아직도 나를 기다려 주고 있으니 이 무슨 호강이란 말인가. 말로만 듣던 금강산의 장안사(長安寺), 표훈사(表訓寺), 유점사(楡岾寺) 등 4대 절이 한군데 모여 내 눈을 황홀하게 한다. 6.25 한국동란에 불타 버리기 전의 모습들이었다. 

990A0A4D5AF8D41F06EA8E

99E4634D5AF8D41F08C1E9

994E844B5AF8D5EA0AD423

997BE14D5AF8D4213073AF

99A1CD375AF8E0960F1391

995B89385AF8DB9929AAE3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건봉사를 둘러 보고 차에 오르니 후회가 난다.
6.25 한국동란에 불타버린 건봉사 '극락보전(極樂寶殿) 불사 모연(募捐)'에 기와 한 장 값이라도 기부하고 올 껄 하는 후회다. 아내가 불자(佛者)여서라기보다 동참하지 못해서다. 다시 또 오지 못할 두메 산골이라서 더욱 그렇다. 그러다 보니 김소월의 시가 생각나는구나.


강위에 다리는 놓였던 것을!

건너가지 않고서 바재는 동안

때의 거친 물결은 볼 새도 없이

다리를 무너지고 흘렀습니다.

                      - 김소월의 기회

                                                                                        -2018. 5. 11











'나는 고려국에 태어나서 금강산을 보고 싶다.(我願生高麗國 見金剛)'던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소동파(蘇東坡)처럼 나도 금강산의 아름다움을 그 이상으로 보고 싶었는데 금강산을 외면하고 가보지 않은 것은, 남한을 불바다로 만든다고 협박하는 북한군에게 원자탄을 만드는데 필요한 그 귀한 딸라를 한 푼이라도 보태주고 싶지 않다는 생각에서였다.

젊어서 관동별곡(關東別曲)을 가르치던 국어선생이었던 사람이라서 남보다 더 금강산을 알려 하였고, 금강산은 더 가고 싶던 곳인데도 말이다.

그런 내가 지금 '금상산 건봉사(乾鳳寺)'를 향하고 있는 것은 뭐니뭐니 해도. 6. 25를 일으킨 김일성의 덕분인 것 같다. 고성(固城)은 수복 이전에는 38선 이북인 금강산 구역이 아닌가. 
999B8C375AF7A74A19919A건봉사 가는 길은 세 방향이 있는데 우리는 통일전망대를  보고 오는 길이라서 건봉사 가는 도중에 수없이 군 부대에 신고를 해가며 차단막을 피하여 겨우 도착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까지 한국의 5대사찰이라면 순천 송광사(僧寶 사찰), 합천의 해인사(法寶 사찰),  경남 양산의 통도사(佛法 사찰)와 고성 금강산 건봉사(乾鳳寺)라 하였다.
건봉사를 가면서 이상하게 느껴 지는 것은 이런 첩첩 두메산골에 건봉사란 5대 사찰이 어찌 있을 수 있었는가 하는 것이다.

 그러다 건봉사에 이르니 그 입구에 건봉사에서 주석(駐錫)하다가 열반하신 스님들의 50 기가 넘는 부도군(浮屠群)과 늘어 서있는 12 기의 비석(碑石) 등이 이 절이 옛날에는 대찰(大刹)이었음을 느끼게 되면서 아아! 하는 감탄사가 절로 나오게 된다.
*. 건봉사(乾鳳寺)
 
999035395AF7BC36043B10 건봉사(乾鳳寺)는 강원도 고성군 오대면 냉천리 금강산
건봉산(907.9m) 기슭에 있는 절로 지금은 설악산 신흥사의 말사이지만, 6.25  이전까지만 해도 31본산의 하나인 큰 절이었다. 
 이 절은 신라 법흥왕 7(520)에 아도화상(阿道和尙)'원각사(圓覺寺)'란 이름으로 창건한 것을, 조선 태조의 명으로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중수하할 때 절 서쪽에 봉황(鳳凰) 모양의 돌이 있다 하여 '서봉사(西鳳寺)'라 하다가 공민왕 7(1358) 나옹(懶翁)이 다시 중수하고 건봉사(乾鳳寺)라 하였다 세조 10년에는 세조가 이 절에 행차하여 이절을 원찰(願刹)로 삼고 어실각(御室閣)을 지어 역대왕의 위패를 봉안하게 하였다.

건봉사는 창건 당시에는 31,83칸의 대가람이었으나 산불과 6. 25 한국동란으로 모든 건물이 불 탔으나 원형 돌기둥에  총알자국을  군데군데 남기고 서 있는 불이문(不二門, 강원문화재 자료 35호)만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그 문 원형 돌기둥에 음각한 문양은 '금강저(金剛杵)'라고 하는데 불교 수호를 위한 사천왕문(四天王門)과 인왕(仁王) 대신 이 절을 수호하기 위한 옛날의 무기다.  거기 걸려 있는 불이문 현판은 조선 마지막 왕세자인 영친왕의 스승 해강 김규진 선생의 글씨다.

 기록을 보니 한창 때 이 절 신도 1,820명이 염불만일회(念佛萬日會)를 베풀었다 하며, 성종(成宗)은 이 절 사방의 10 리 안을 모두 이 건봉사의 재산으로 하게 하는 등 역대 왕가에서도 큰 시주 등을 했다는 기록이 많이 보인다. 이토록 창건 이후에 왕실과 지방관료의 도움을 받아 건봉사는 대찰(大刹)로 클 수가 있었다.

그러나 6.25 전란에 절이 폐허가 된 데다가 위치가 민통선(民間人出入統制區域) 안에 있어서 민간인이 출입이 통제되는 지역이었다. 그 민통선(民統線)이 1992년 풀리는 바람에 비로소 절을 재건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게 된 것이다.
 
주차장에 차를 세우니 그 앞에 승려요, 독립운동가요, 시인인 만해 한용운(卍海韓龍雲)의 시가 발길을 잡는다.
 

내가 당신을 사랑하는 것은 까닭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의 홍안(紅顔)만을 사랑하지마는

당신은 나의 백발(白髮)도 사랑하는 까닭입니다.


내가 당신을 그리워 하는 것은 까닭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의 미소만을 사랑하지마는

당신은 나의 눈물도 사랑하는 까닭입니다.


내가 당신을 기다리는 것은 까닭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의 건강함을 사랑하지마는

당신은 나의 죽음도 사랑하는 까닭입니다.

992C5C4B5AF7B8302FCE58주차장 화장실 옆에  '건봉사에서 꼭 보셔야 할 곳"이 안내도로 소개 되고 있다.

998A8B3B5AF823252E4B8A*.적멸보궁(寂滅寶宮)

내가 제일 먼저 찾은 곳은 석가모니의 진신사리인 치아(齒牙)를 모셨다는 적멸보궁(寂滅寶宮)이다.

부처님의 진신사리(眞身舍利)란 그 자체가 불신(佛身)이므로 법당에 별도로 불상을 조성하지 않고 그 자리에 방석만을 놓는데 이러한 절을 적멸궁(寂滅宮)이라 한다.

층계를 오르니 다른 절에서는 볼 수 없는 좌우 한 쌍의 석주(石柱)가 있다. 십바라밀석주(十波羅蜜石柱)였다. 십바라밀이란 열반에 이르기 위하여 수행해야 하는 열 가지 수행을 말하는 것이다. 

9998793D5AF8CA7A1A0864

998A7B395AF8C93D15FD07

9921D2335AF8C442041D34

정멸보궁 뒤뜰에 가보니 신라의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문수보살을 친견(親見)하고 가져왔다는  진신사리 중 이곳에 모셨다는 석가모니의 진신치아사리탑(眞身齒牙舍利塔)이 있다.

이 진신치아사리탑은 임진왜란시 통도사에서 일본군에게 약탈 당했던 것을 사명대사가 일본에서 되찾아 경종4년에 그 일부를 이 건봉산에 봉안하였다는 탑이다.

건봉사 진신치아사리(眞身齒牙舍利)는 적멸보궁에 3과를 모시고 만일염불원에 5과를 모셔두었는데 일반 신도들이 친견할 수 있도록 금제 사리함을 별도로 만들어 봉안하고 있다

.한국에는 불가의 최대 성지로 꼽히는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모신 보궁으로  5대 정멸보궁이 있다.
경남 양산 통도사(通度寺) 적멸보궁, 강원 평창의 오대산 적멸보궁, 강원 영월 법흥사(法興寺)의 적멸보궁, 강원 정선의 정암사(淨巖寺) 적멸보궁, 강원도 인제의 봉정암(鳳頂庵) 적멸보궁이 그것이다.

 

99843F385AF8CD3729B231

 

능파교(凌波橋, 보물 1336호)를 건넌다. 

997534395AF823A404A489

능파(凌波)란 물결 위를 가볍게 거닌다는 뜻으로  미인의 가벼운 걸음거리를 비유하는 말이니 나도 가벼운 걸음으로 이 멋진 석교를 걸어 넘는다. 

 다리의 규모는 폭 3m요, 길이 14m 높이 5.4m의 아치형 구름다리로 숙종 24년(1708)에 세워진 석교다.  거기 흐르는 냇물은 수량이 냇물 같지도 않지만 금강산 건봉산(907.9m) 깊은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물이라 영조 때 홍수로, 고종는 장마로 무너진 것을 개축한 석교(石橋)다. 

능파교를 넘다 보니 좌측 멀리 왕소나무가 보인다. 6.25로 산과 절이 활활 타오를 때도 용케도 피해 살아남아 당당히 우뚝 선 왕소나무다.

9939703C5AF9145F06D15A

누하진입문(樓下進入門) 입구의 약수는 3단계를 거쳐서 길게 드리운 고목을 통하여 냇가로 떨어지는 모습이 운치를 더해주고 있다. 대웅전 앞 마당에 들어서니 초파일이 가까워서인가 연등이 요란하다.

  그 2층 강당에는 진귀한 사진전이 전시되고 있다. 2017년 가을에 건봉산 봉서루에서 국립박물관 소장 사진을 빌어 열렸다는 사진전에는 금강산의 사찰들을 전시했다던데 아직도 나를 기다려 주고 있으니 이 무슨 호강이란 말인가. 말로만 듣던 금강산의 장안사(長安寺), 표훈사(表訓寺), 유점사(楡岾寺) 등 4대 절이 한군데 모여 내 눈을 황홀하게 한다. 6.25 한국동란에 불타 버리기 전의 모습들이었다. 

990A0A4D5AF8D41F06EA8E

99E4634D5AF8D41F08C1E9

994E844B5AF8D5EA0AD423

997BE14D5AF8D4213073AF

99A1CD375AF8E0960F1391

995B89385AF8DB9929AAE3

994292395AF8E24D127EF6

건봉사를 둘러 보고 차에 오르니 후회가 난다.
6.25 한국동란에 불타버린 건봉사 '극락보전(極樂寶殿) 불사 모연(募捐)'에 기와 한 장 값이라도 기부하고 올 껄 하는 후회다. 아내가 불자(佛者)여서라기보다 동참하지 못해서다. 다시 또 오지 못할 두메 산골이라서 더욱 그렇다. 그러다 보니 김소월의 시가 생각나는구나.


강위에 다리는 놓였던 것을!

건너가지 않고서 바재는 동안

때의 거친 물결은 볼 새도 없이

다리를 무너지고 흘렀습니다.

                      - 김소월의 기회

                                                                                        -2018.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