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쫓비산 매화마을이 호남정맥 백운산둘레길로 바뀐 까닭은? 제2137023026호 2023-03-18(토) ◆자리한 곳 : 전남 광양시 ◆지나온 길 : 관동마을-섬진강변-매화마을-506m봉-호남정맥-토끼재(느랭이골)-백운대둘레길-내압마을-매화마을 ◆거리및시간: 4시간18분(12:37~16:55) ※도상거리 : 약13.9km <보행수(步行數) : 22,419보> ◆함께한 이 : E - 산악회원 : 92명 (우등버스 31인승 x 3대) ◆산행 날씨 : 오전구름 오후 맑음 <해 뜸 06:40 해 짐 18:41 / ‘최저 7도, 최고 18도> 교통체증 때문에 백운산둘레길로 코스 변경 진행했다. 포근한 날씨에는 나들이가 적합하기 감정의 동물인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밖으로 나가고 싶어지기 마련이지만, 모두가 만족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때로는 꽃샘추위다 찾아오기도 하고 예기치 못한 풍랑도 몰아치며, 고여 있는 물은 썩기 마련이고, 공기가 정체하면 탁해지는 것은 당연한 이치로 수도권은 미세먼지 농도가 보통수준이란 예보였는데, 섬진강변 날씨는 화창하고 맑은 농익은 봄이다. 3년 만에 열리는 축제기간이니 당연하겠지만 휴일을 맞아 매화꽃과 축제를 즐기려는 상춘객들이 몰려 교통체증이 극심해 힘들기도 하지만, 생각하기에 따라선 조용한 산간마을에선 좀처럼 보기드문 엄청난 인파들이 특정장소인 장터처럼 북적거리는 볼거리로 즐긴다면 지루함은 사라지고 나름 의미도 부여할 수 있지 않겠는가? 생각해본다. 교통체증으로 예상보다 1시간 더 소요해서 관동마을 등산로에 닿았다. 지난 주말 진행구간(호남정맥-백운산-매봉-쫓비산-매화마을)잇기에 “매화마을-쫓비산갈림(506m)봉-토끼재-불암산-탄치재-원동마을-매화마을”로 복귀하려고 계획했었는데 교통체증 때문에 지연도착 했으므로 탄력적으로 응용해 기꺼이 진행코스를 “관동마을-섬진강변-매화마을-506m봉(쫓비산갈림길)-호남정맥-토끼재-느랭이골휴양림-백운대둘레길-내압마을-매화마을” 수정해서 진행했다. ![]() ![]() ![]() ![]() 제1코스(천년의 숲길) : 장엄한 백운산 능선과 눈 맞추며 걸을 수 있는 매력적인 코스로 천년 숲에 안겨 오래 머무르고 싶은 코스로, 옥룡사지-외산마을-백운산자연휴양림-금목재-논실까지, 길이:10.86km/소요시간 약 4시간. 제2코스(만남이 있는길) : 아름드리 전나무가 인상적인 코스로, 논실마을-한재-중한치마을-하천마을까지, 길이:11.4km/소요시간 4시간. 제3코스(섬진강 매화길) : 광양과 하동을 잇는 남도대교에서부터 매화마을까지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먼저 꽃을 피우는 소학정 매화를 즐길 수 있는 코스로, 섬진강변 따라 하천마을-매화마을까지, 길이: 20.3km/소요시간 약 7시간. 제4코스(백학동 감꽃길) : 수어호, 억불봉 등을 조망하며 걸을 수 있는 고갯길은 토끼가 막 뛰어가려는 형상이라 토끼재며 느랭이골휴양림이 위치한 코스로, 매화마을-백학동마을까지, 길이:7.2km/소요시간 2시간 30분. ![]() ![]() 제6코스(선비누리길) : 옛날 과거보러 가는 선비들이 짚신을 신고 대치재를 넘는 데서 붙여진 이름으로 옛 선인들의 발자취를 더듬을 수 있는 코스로, 옥룡사지-대방마을-대치재-국사봉랜드까지, 길이:12.7km/ 소요시간 4시간. 제7코스(중흥사 토성길) : 광양의 역사와 문화를 엿보고 사색하며 걷을 수 있는 코스로, 옥룡사지-추산시험장-중흥사-쌍의사-하조마을까지, 길이:12.7km/소요시간 4시간. 제8코스(달 뜨는길) : 월출치(달뜨기재에서 만날 수 있는 별빛 달빛 반딧불 반짝이 아름다움과 고려시대 불교문화 중심지인 성불사의 그윽한 풍경소리는 울창한 숲길과 맑은 물소리에 영혼까지 상쾌해진 코스, 하조마을-성불교-월출재까지, 길이:8.4km, 소요시간 4시간. 제9코스(함께하는 동행길) : 출발지인 월출재에서 남도대교까지는 구례로 광양시와 구례군이 함께하며 사색하며 아름다운 자연에 깃들어 사는 사람들과 마을을 이어주는 생명의 길 코스로, 월출재-효죽마을-중평마을-하천마을까지, 길이:25.4km/소요시간 8시간 30분. ![]() ![]() ![]() ![]() 01. 광양서천고수부지 붉은 양귀비꽃의 향연광양 : 새하얀 매화로 유명한 광양, 하지만 늦봄에서 초여름까지는 붉은빛을 자랑하는 양귀비를 광양 곳곳에서 볼 수 있다는 사실! 도심 속 생태하천인 서천 고수부지는 여행객에는 최고의 포토존이, 지역 주민에게는 쉼터가 되어주는 숨겨진 명소, 꽃구경뿐만 아니라 인근에 마련된 캠핑장에서는 시원한 그늘 아래에서 피서를 즐길 수 있으니 휴가 후보지로 적어두면 좋을 듯! 02. 광양구봉산 전망대 남도를 한눈에! : 광양뿐만 아니라, 여수, 순천, 하동, 남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광양 구봉산 전망대! 광양 최고의 조망권을 자랑하는 전망대는 광양에 오면 꼭 들려야 하는 관광지 중 하나, 낮에 오면 푸르른 자연 풍경을, 밤에 오면 반짝이는 야경을 볼 수 있으니 일정이 변동돼도 당황하지 말자! 03. 망덕포구(정병욱 가옥) 윤동주 시인의 시를 품은 포구 : 섬진강 물줄기가 흐르는 마지막 포구인 망덕포구. 봄 제철 해산물인 벚굴의 최대 산지이자, 윤동주 시인의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유고가 보존되어 있던 정병옥 가옥이 위치한 눈과 입, 그리고 감성까지 풍요롭게 해주는 광양의 숨은 보석 같은 곳이다. ![]() ![]() ![]() 아침부터 상식이하의 갑질 때문에 불유쾌하게 시작했으니 감정이 폭발하는 물리적으로 충돌하는 최악의 감정대립만은 피해가려고 삼가하고 조심하느라 관동마을(광양시 다압면)에 하차해서도 침묵으로 마음을 다스리며 섬진강변을 트레킹 하는 동안에 상당한 기분전환의 시간이어서 다행이다. 매화마을에서 능선까지는 약 2km거리에 400m 이상 고도차를 극복해야 하는 가파른 오르막이라 숨을 헐떡거리며 올라서는 동안 하산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 어깨를 부딪치기 일쑤라 정신이 없다. 능선 506m봉에서 좌측능선 호남정맥으로 방향을 잡은 이후 2시간30분간 단 한명의 등산객과도 마주치지 않아 마음이 편안하고 넉넉해 사색하기에 안성맞춤의 조건이다. 세상의 모든 생명체가 세월 따라 늙어가다 사라지는 것이야 자연스러운 일이이므로 거론의 여지가 없으나, 생각까지 늙었다는 말을 듣지는 말아야겠다는 다짐을 하고 있음은 개구리 올챙이시절을 모른다는 격언을 아침부터 체험하며, 무식하면 용감하다지만 모르면서 배우러하지 않은 안타까운 중생이 도리어 측은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사람이 나이 들고 이력이 쌓일수록 더 새로워지려고 애쓰는 마음이 필요한데 그러지 못하고 현실에 안주하는 사람을 우리들은 흔히 말하는 '꼰대' 그가 꼰대스런 고리타분함이 아니겠냐는 결론에 이르자 불유쾌했던 마음이 깔끔하게 걷힌다. -끝-. ~오라는 곳도 불러준 이도 없지만 찾아가 안기면 언제나 포근하기만 한 山을 찾아서~ 2023-03-21 계백 (배상) 클릭하시면 저에 관한 조금 더 많은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