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연산(內延山)<가뭄으로 바닥 드러낸 청하(12폭포)골> 제2022059058호 2022-07-02(토) ◆자리한 곳 : 경북 포항시 ◆지나온 길 : 주차장-보경사-계곡갈림길-문수봉-거무나리코스(은폭포)-12폭포골-소공원전망대-보경사-주차장 ◆거리및시간: 5시간 29분(11:13~16:44) ※ 도상거리 : 약 13.8km <보행수(步行數) : 25,109보> ◆함께한 이 : E - 산악회원 : 28명 ◆산행 날씨 : 비교적 맑음 <해 뜸 05:15 해 짐 19:57 / ‘최저 24도, 최고 33도> 노모(老母) 간병하느라 머릿속이 혼란스러워 약식으로 정리한다. 내자(內子)를 떠나보낸 결손가정(缺損家庭)인 처지라 노모(老母)의 간절하신 바램과는 반하게 요양원(療養院)에 모신 업보(業報)로 죄스럽고 송구한 마음인데, 백수(白壽)를 바라보시는 노모께서 고열로 의식이 혼미하시다는 요양간호사가 전해준 급보를 접하고 요양원으로 달려갔으나, 코로나19 (PCR)검사를 받지 않았으므로, 감염우려 때문에 어머님을 뵙지도 못하고, 119 구급차를 호출 안양시 평촌에 소재한 대학병원 응급실로 모셔 응급치료, 2주간의 입원치료 기간동안 간병에 열중하느라 머릿속이 혼란스러워 산행기 작성이 불가하겠다는 판단에 따라 약식으로 정리한다. ![]() ![]() ![]() 내연산은 원래 종남산(終南山)이라 불리다가, 신라 진성여왕(眞聖女王)이 이 산에서 견훤(甄萱)의 난을 피한 뒤에 내연산이라 개칭하였다. 낙동정맥의 줄기가 주왕산을 옆으로 지나쳐서 내려 오다가 성법령에서 동해안쪽으로 가지를 뻗어나간 산이 내연산이다. 명찰 보경사가 있음으로 인해 더욱 유명하기도 한데 보경사를 거쳐 연산폭에 이르는 계곡은 폭포와 소와 심연과 암벽이 수림과 어우러져 그 계곡미가 뛰어난 이유로 각광을 받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연산폭포 앞에서 물러서 갈 뿐 실제 내연산 등산을 하려는 이도 드물어서 연산폭포 위로 넘어서 시명리에 이르는 또 다른 비경을 음미하고 이곳의 주봉이라 할 수 있는 향로봉(香爐峯)(930m)에 올라 동해를 바라보고 능선 일주를 해 보는 것이 제격일 듯하다. 사명리 마을의 흔적만 남아있는 어딘가 좀 생소한 일대의 분위기를 음미하면서 향로봉에 올라 봉우리와 능선이 꿈틀거리듯 뻗어 내려간 주능선을 따라 아직도 깨끗한 숲길을 걷는 맛이며, 내연산을 거쳐 문수산(622m)에 올라 바로 아래 청하골과 동해를 굽어보는 기분은 무엇에도 비길 수 없는 그 무엇이 있다. ![]() ![]() ![]() ![]() 일조(日照)의 스승인 당(唐)나라 때 서역(西域)의 승려 마등(摩謄)과 축법란(竺法蘭) 두 승려가 중국에서 가지고 온 팔면경(八面鏡)을 일조에게 내어주며, 조선 동해 끝 남산 밑에 있는 용담호(龍潭湖) 깊은 곳에 이 거울을 묻고 그곳에 사찰을 세우면 불법이 만대에 번성한다고 하자, 이에 따라 723년(성덕왕 22)에 세운 절이다. 그 후 고려 고종(高宗) 때 원진국사(圓眞國師)가 중건하고, 1677년(숙종 3)에 도인(道仁) ·천순(天淳) ·도의(道義) 등 세 승려가 삼창하였다. 대웅전 ·적광전(寂光殿) ·보제루(普濟樓) ·천왕문(天王門)을 비롯한 14채의 당우(堂宇)가 있는데, 1973∼38년 사이에 크게 보수하였다. 경내에는 부도(보물 430)와 원진국사비(보물 252)가 있고, 그 밖에 5층석탑 ·부도군 등의 유물이 있다. ![]() ![]() ![]() ![]() ![]() ![]() 당일로 내연산을 찾았다면 은폭에서 되돌아서야 하며 1박2일 여정일 때는 첫날에 시명리까지는 가야한다. 내연산을 향해 떠나기 전날 밤 비가 왔다면 연산폭까지만으로 등산 계획을 바꾸는 것이 좋다. 이유는 관음폭 밑에서 계곡을 건너야하기 때문이다. 향로봉에서는 내연산, 문수산으로 하산길을 잡아도 좋고, 남쪽 천령산으로 올라설 수도 있고 정상에서 상옥쪽으로 하산 할 수도 있다. ~오라는 곳도 불러준 이도 없지만 찾아가 안기면 언제나 포근하기만 한 山을 찾아서~ 2022-07-19 계백 (배상) 클릭하시면 저에 관한 조금 더 많은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