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공석굴암단맥종주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 지형도 도엽명 : 군위

영진5만지도 : 359쪽


[지명(삼각점 고도m, 거리km/누계km) : 고도는 도면상 또는 등고선상 높이이며 거리는 도상거리임]


팔공기맥이 낙동정맥에서 분기하여 흐르며 팔공산을 지나 한티재로 내려섰다가 올라간 칠곡군 동명면, 가산면, 군위군 부계면의 삼면봉인 등고선상770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10번군도 가라골고개(530, 1.1)-590봉(0.6/1.7)-△538.2봉(1.2/2.9)-520.1봉(0.6/3.5)-석굴암고개 도로(410, 0.5/4)-등고선상390m 십자안부 도로(390, 0.9/4.9)에서 팔공산도립공원을 벗어나 등고선상630봉(0.8/5.7)-△655.3봉(1.2/6.9)-칠곡군 가산면,군위군 효령면, 부계면의 삼면지점(450, 1.9/8.8)-등고선상450봉(0.5/9.3)에서 경계능선을 벗어나 효령면내로 들어가 436봉-용은사고개 임도(410, 1.5/10.8)-436봉(0.2/11)-△492.3봉(1/12)-906번지방도로 삭골재(230, 1.7/13.7)-5번군도(110, 3.8/17.5)를 지나 군위군 효령면 거매리 사창천이 남천을 만나는 곳(110, 0.3/17.8)에서 끝나는 약17.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사진을 클릭하시면 좀 더 큰 사진을 보실 수 있습니다

 

만약 사진이 안보이시거나

더 많은 우리산줄기이야기를 보시려면 아래를 클릭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팔공석굴암단맥종주





25147C3658CAA49F23E857

진행경로

한티재휴게소-783.6봉-분기봉-가라골고개-590봉(매봉산?)-538.2봉(시루봉?)-520.1봉-석굴암고개-신설도로-630봉-655.3봉-삼면봉-436봉-용은사고개-용은사 


언제 : 2017. 3. 11(토) 맑음


누가 : 신경수


어디를 :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에서 군위군 부계면 남산리를 잇는 79번국지도 한티재에서 팔공기맥을 따라 가산방향으로 올라 삼면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한 팔공석굴암단맥을 따라 용은사고개에서 용은사로 하산


구간거리 : 12.2km 접근거리 : 1.1km 단맥거리 : 10.6 하산거리 : 0.5km


구간시간 8:50  접근시간 0:35   단맥시간 7:00   하산시간 0:05  휴식시간 1:10 



잠이 들었는가 했는데 4시반이 넘자 마눌이 들어오는 소리에 일어난다

이어서 요새님 전화가 오고 4시50분에 만나 달리고 달려 

왜관IC를 빠져나가 기다리고 계시는 강일님을 만나 굴국밥으로 아침을 하고 

요새님 차로 팔공기맥상 79번국지도 한티재에 내리고 

요새님은 강일님을 만나 소학산 산행을 같이하려고 가고



21100B4B58CA398A01ADFD

나는 한티재 휴게소 좌측으로 팔공기맥을 따라 가산방향으로 오른다 

710, 


79번국지도 한티재 : 9:10 



2444384B58CA398B30D002

가산방향 탐방로 안내판을 보며 생각에 잠겨본다 


그 옛날 마눌 고향으로 가는 산줄기라  거기에 의미를 실어 

최초로 마루금을 그리고 마눌과 같이 산줄기답사를 나선 추억의 산줄기다 

그런 마눌은 지금 허리 때문에 산행을 접고 있으니 세월만 무상하다 


2154524B58CA398B30F4A3

바위섞인 암릉과 


장송숲 산책로를 따라가는 길이라 상쾌하기 그지없다 


이정목과 구조목이 수시로 나와 길안내를 하고 있다 

거대한 바위들로 이루어진 멋진 암봉들을 지나간다


멋진 암봉 : 9:25

 

그저 민드름한 능선에


2328CD4B58CA398C15A282

'군위465 2004재설' 삼각점이 있는 도면상783.6봉에 이른다


783.6봉 :  9:30


암릉을 우측 사면으로 목책난간줄로 진행하며 암릉은 계속된다 


조망좋은 암봉 : 9:35



2565304B58CA398E24A6D8


조망좋은 암봉 : 9:45


내려가다 살짝오르며 


216F574B58CA398E041909

길은 좌측 사면으로 이어지지만 일부러 잠깐 오르면 


작은바위 몇개있는 칠곡군 동명면, 가산면, 군위군 부계면의 삼면봉인 등고선상770봉이다

이곳에서 우측  칠곡군 가산면과 군위군 부계면의 경계를 따라 북쪽으로 분기한 산줄기가 

오늘 답사할 팔공석굴암(삼존석굴)단맥이다 


이 산줄기는 내가 산줄기 이름을 짓는 7가지 원칙중에 제6원칙인 

"제6원칙 : 산이름 등 지명이 있을지라도 인지도가 높은 역사적인 유물 인물 등이나 그 지방을 더 중히 여길 경우 그 이름을 차용해 이름을 짓는 경우도 있다"에 의거


이 산줄기는 도면상으로는 산이름은 하나도 없고 삭골재라는 고개 이름이 단 하나 있어 

팔공기맥에서 분기하였으므로 팔공삭골단맥이라고 지을 수도 있지만

이 산줄기 자락에는 경주 석굴암보다 250년전에 창건된 것으로 알려진 

거대한 자연암벽과 자연굴속에 아미타불과 대세지보살 관음보살이 안치된 

국보제109호로 지정된 삼존석굴 일명 제2석굴암이 있어 그 이름을 중히 여겨 

팔공석굴암단맥으로 이름을 지은 산줄기다 


그런데 이 봉우리에 작명의 대가이신 분의 



250F8F4C58CA398F10B7C0

부계봉이란 정상코팅지가 있고 


그리고 어느분의 시그널에 써진 부계봉이란 이름이 있다 


그래서 왜 부계봉인지 생각을 안할수가 없어서 추론한 결과 

산줄기 우측 동쪽 동네가 부계면이라 부계봉이라고 임의로 작명을 한 것 같다 


그런 연유로 생각해보면 동명봉이나 가산봉이라고 이름을 지을수도 있는데 

왜 하필이면 세가 제일 약한 부계면을 선택했는지도 이해가 안되고 

그 근방 더 높고 세가 더 웅장한 암봉들이 많은데 그 봉우리들은 다 어디로 이사를 보내고 

가장 세가 약하고 볼품없는 삼면봉을 부계봉으로 작명을 한 것도 이해가 안된다 


더구나 팔공산도립공원내라 만약 이름이 있다면 관리공단에서 모르는척 하지 않고

이정목이나 안내도 등에 그 이름이 등장하는 것이 보통의 일이라 

그 어디에도 그 이름이 등장하지 않는 것을 보면 그 이름을 인정하기 어렵다는데에 이르게 된다 


그래서 나는 이 봉우리를 단순하게 3개의 면이 만나는 경계라는 의미를 담아

삼면봉이라고 표기하기로 한다 

770, 1.1


팔공석굴암단맥 분기 삼면봉 : 9:45  9:50출발(5분 휴식)


이제부터 팔공석굴암단맥 길이다 


처음에는 길이 흔적 정도이다가 성긴 길로 바뀐다

칠곡군계 시그널도 가끔 나와 길안내를 해주고 있다 

암봉을 좌측으로 넘어서 내려가다가


10:00


한1~2분 정도 살짝 올라간 


2241104C58CA39901FCFFE

낮은 둔덕에 


봉오름하시는 분들의 시그널 몇개와 작명의 대가이신 분의 정상코팅지가 달려있다

 


222D494C58CA39920D9777

이름하여 방태산^^


세상에 봉도 대도 아니요

수많은 봉우리들을 거느린 거대한 산괴를 말하는 산이랍니다 

이게 말이 되나요^^


그리고 5만도면이고 영진지도 등의 등고선을 보면 봉우리 자체가 없으며 

혹 그 근동 동네 이름이나 시설물 등 이름 중에 방태산이라는 것을 짐작케 할 아무런 단서를 찾지 못해서 

그 이름 자체도 인정할 수가 없다


10:10


조금 좋던 길이 길 흔적으로 바뀌고 절개지 절벽을 우측으로 내려가



2560114C58CA39931D7D37

돌망태축대 옆으로 내려가면 10번군도 너른 콘크리트 포장길로 


우측으로 내려가면 한티재에서 내려온 79번국지도 삼거리고 좌측으로 내려가면 응추리 가라골로 가는 길이다

그래서 가라골고개라고 표기하기로 한다(이름을 지은 것이 아님)  

550, 1.1


10번군도 가라골고개 : 10:25  10:30출발(5분 휴식)


성긴길로 잠깐 오르면 절개를 한 곳에 송신탑이 있고 절개지가로 오른다 


시나브로 오르면 



2209294C58CA399405132A

펑퍼짐한 공터에 


2671404B58CA399404D1F5

봉오름이 제법 많다


아무 표시가 없어도 들리는 바에 의하면 이 봉우리가 매봉산이라고 하는데 

동네 이름을 보면 가라골 멀미 등이 있어 가라골봉 멀미봉으로 이름을 지었으면 인정은 못해도 이해가 되는데

그 근동을 아무리 살펴도 도면상으로는 왜 매봉산인지 유추할 수가 없다 

그렇다고 엄연한 봉우리인데 인정 안할수도 없는 일이지만 일단은 인정 안 하기로 한다 

590, 1.7


등고선상590봉(매봉산?) : 10:45


좌측으로 한없이 내려가 등고선상450m 어름 좋은 십자길에 이른다

450, 2.3


11:00


한동안 아니 내려간듯 내려가 등고선상430m 십자안부에 이른다

430, 2.5


등고선상430m 십자안부 : 11:05


잠깐 올라 우측에서 올라온 좋은 길을 만나 오르다가 그길은 우측으로 내려가버리고 

길 흔적으로 급경사를 오르다가 


231F304B58CA3995345120

암릉이 나오면 우측으로 오른다


그 암릉 바위에는 부처손(바위손)이 따개비 붙듯 붙어있지만

시간이 없어 그냥 오르는데 조금은 아깝다는 생각이 든다 본시 내것이 아닌데도 말이다 

사람의 욕심이란............


11:20


길이 어딘지 모르겠고 기어서 오른 곳에 관리된 고묘가 나오고 

길 흔적이 다시 나오고 살짝 오르면 

가시 잡목 잡초들이 어우러진 너른 묘터로 추정이 되는 한가운데 



2561FA4B58CA39961188BA

'군위461 2004복구' 삼각점이 있는 도면상538.2봉이다 


263B9B4B58CA39961E6866

잘 살펴보면 봉오름이 시그널 한두개가 나풀거리는 것으로 보아 무슨 봉우리 이름이 있는 것 같다 


그 근동을 살펴보면 지곡이라는 마을이 있으니 지곡 또는 지골봉 정도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100m 이상 고도를 높인 산이름이 있을 조건은 모두 갖추고 있는데 조금 섭섭하다 

2.9


538.2봉(시루봉?) :  11:30  11:35출발(5분 휴식)



24265E4B58CA39972A80AA

워낙 펑퍼짐해서 어디가 능선인지 구분도 안되고 

좌측으로 붙어서 가시 잡목을 적당히 내려가 등고선상450m 안부에 이른다


11:45


오르는 능선도 워낙 펑퍼짐해서 능선 가늠하기가 쉽지 않고 길도 없다 

어디가 정상인지 잘 가늠하면 


25519F4B58CA399809ACAC

펑퍼짐한 곳에 봉오름이 시그널들이 많고



2242D84B58CA3998276649

작명의 대가이신 분의 정상코팅지도 있는데 이름이 '시루봉'이라고 한다 


보통 시루봉 하면 정상에 시루를 닮은 거대한 바위가 있는 곳이 대부분인데 

이곳은 전혀 연관 지을 수가 없는 곳이다


그리고 이름을 지으려면 지나온 삼각점이 있는 봉우리가 이 봉우리보다 더 높고 덩치도 약3배 정도는 더크다 

그래서 그 봉우리가 멀리서 보았을 때 시루를 닮았다고 하여 시루봉이라고 한다면 이해가 되지만 

이 봉우리를 시루봉이라고 하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


단 앞으로 지나온 삼각점이 있는 봉우리가 시루봉이라는 이름을 인정할만한 사실이 확인되면 그때 인정하기로 하고

오늘은 인정하기가 망서려진다 

3.5


520.1봉 : 11:50  12:00출발(10분 휴식)


20m 정도 빽해서 우측 동쪽으로 능선을 가늠하는데 

이따금 감마로드 시그널이 그래도 정확하게 붙어있어 고맙다   

길은 전혀 흔적도 없고 가끔 바위 벼랑이 나오는 조금은 위험한 급경사를 적당히 내려간다 

고개로 추정되는 지점에 푸른색이 보여 오록스지도에 나오는 조그만 소근지라는 소류지로 알고 

생긴 모양으로 보아 우측으로 내려간다 


능선이 어딘지 분간이 어려운 지형이 계속되고 



21772C4D58CA39991AF0AA

가시 잡목 넝쿨 지역을 내려가면서 

마치 병풍을 둘러친듯한 가야할 630봉 오르는 산줄기 절벽이 우악스럽기만 하다 


완만해지지만 


263DA14D58CA399A203975

마치 운동장 같은 평지 


길은 흔적도 없고 적당히 내려가면 

그 푸른색은 소류지가 아니고 


242CD74D58CA399A16676B

비닐하우스가 햇빛에 반사되어 그렇게 보인 것이다

즉 그 조그만 소류지는 지도상 존재하는 것이고 실제로는 없는 것이다 



2349304D58CA399B1FBFF6

민가 우측 콘크리트포장길이 나오고 좌우측 아무대로 가도 될 것 같은데  

나는 우측으로 잠깐 내려가면 


230B924D58CA399C189A4E

2차선 포장도로 고갯마루 바로 우측이다


좌측으로 잠간 가면 


2775454D58CA399D244566

이 길 이름이 용매로이며 

좌측으로는 콘테이너박스가 있고 우측으로는 과수원이다


우측으로 내려가면 바로 제2석굴암이다 그래서 이 고개 이름을 석굴암고개라고 표기하기로 한다  

능선으로는 진행할 수가 없어 좌측 조금 아래 과수원 끝에서 묘로 올라 

너무 더워 쉬면서 옷을 한겹 벗고 오른다

410, 4 


석굴암고개 도로 : 12:30  12:40출발(10분 휴식) 


묘뒤로 길은 없지만 무조건 오르면 T자능선에 이르고 

길 흔적이 나오고 좌측으로 간다 

바위 몇개 있는 등고선상450봉 정상으로 추정되는 곳에 이른다 


12:55


우측으로 내려가는 길 흔적을 따라 내려가면 

예전에는 비포장 소롯길인데 지금은 



2629844D58CA399D3744D3

거의 2차선 도로로 확장을 하고 아직 포장은 안된 상태라 

조만간에 포장 2차선도로가 생길 것 같다

그동안 계속되던 팔공산도립공원은 여기서 끝났다 

390, 4.9 


등고선상390m 십자안부 도로 : 13:05


2724C34E58CA399E13F326

낮은 절개지가를 치고 오르면 


23609D4E58CA399E2CBB27

풀 무성한 너른 묵밭이 나오고 

좌측으로 폐가 몇채가 버려져 있다 


우측으로 드넓은 묵밭을 가로질러 숲속으로 들어갔는데 

너무나 펑퍼짐해서 도저히 어디가 능선인지 가늠이 안되고 길 흔적도 잘 찾아보면 여기저기 나있으며

잘 보면 계단식으로 산자락이 되어있어 그 옛날에는 밭이었음을 알려주고 있어

세월이 무상하다 


가시 잡목 넝쿨 등이 어우러진 곳을 적당히 올라가다 

녹슨 철조망이 나오면 우측으로 오른다


13:15


능선 가닥이 잡히면서 길 흔적이 나오고 

좌측으로 급경사 서덜지역으로 무슨 용도인지 모르지만 철주에 까만 굵은 통신선이 올라가고 있다 

등고선으로 보면 절벽같은 일자형 등고선이 거의 고도 100m 이상을 치고 올라가야 하기 때문에 

역시나 능선이 어딘지 가늠이 안된다 


빨래판을 세워놓은 것과 같은 곳을 기어서 오르는데 


220BD74E58CA399F099DC0

가끔 큰바위지대가 나와 


잘 가늠해서 올라야하는데 나무 등 지지물이 없는데다 

잔돌과 낙엽이 덮혀있어 그나마 기어오르는 것조차도 여의치 않지만

흐르는 돌들이라 돌을 무심코 잡고 오르다간 뒤로 미끄러질 것이 확실하니 

돌들을 누르면서 조심해서 올라야한다 

  

그렇다고 포기할 수는 더더구나 없는 일이라 죽기살기로 기어오르니 

힘은 힘대로 들고 덕분에 지금 오른쪽 가운데손가락 인대탈출증 방아쇠수지가 다시 재발한 것 같아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제발 괜찮아져야 다시 산에 갈텐데...............

그래도 전체가 바위절벽이 아닌 것이 다행이라면 다행이다 


그 통신선을 만나고 거대 암벽을 우측으로 기어서 

천신만고 끝에 



2635064E58CA39A02EF6BC

또 그 통신선을 만나고 


T자능선으로 올라서 우측으로 잠간 오르면 등고선상630봉인데



2348244E58CA39A12D1886

산불자동감시카메라탑이 있으며 


봉오름이 시그널 몇개가 달랑거리고 있어 역시나 이름이 있는것 같은데 

알 수가 없으니 답답한 일이다

800m 오르는데 무려 1시간 이상 올라온 것 같아 오늘 일정이 이상해진다  

630, 5.5


등고선상630봉 : 14:10


빽해서 서북서 방향으로 완만한 능선이라 좋은 길을 기대하며 올라왔는데 

길은 없고 


2166794E58CA39A2027040

암릉이 시작되면서 바위절벽이 자주 나와 사람을 머뭇거리게 만든다 

이럴 때는 시간에 쫒기지말고 침착해야만 할 것이다 


암봉 : 14:30


좌우가 바위절벽인 소나무 섞인 암릉이라 길만 있다면 더더욱 좋은데 

매우 조심스럽게 오르면서 암릉 전체가 


2511844C58CA39A210836F

전부 바위(부처)손이라  

마음먹고 채취한다면 몇 가마는 족할 것 같은데 그냥 가려니 아깝기만 하다 

본시 내것이 아닌데도.......... 


온통 바위손으로 뒤덮힌 편편한 바위암반봉에 이르고 조망이 너무 좋아 



2410EB4C58CA39A310089D

좌측으로 가산산줄기를 바라보며 


26358D4C58CA39A40DBF8C



220B124C58CA39A5110931

뒤돌아 팔공산 비로봉 그 무거운 짐을 바라보며  



263BD54C58CA39A502B6BE

당겨본 팔공산 비로봉 군부대 시설물들


아무리 시간이 없더라도 퍼지르고 앉아 아름다운 산하에 정신줄을 놓는다

고시레도 하고 살아있어 여기에 있음에도 감사를 드린다 

그리고 나도 작명을 한번 해본다 '바위손봉'이라고^^  

6.3


등고선상630봉 바위손봉 : 14:35   15:00출발(25분 휴식)


아쉬움을 뒤로 하고 



25791B4C58CA39A613976A

험악한 암릉을 우회길이 없어 그대로 타고 넘는데 

조금은 조심해야한다 


등고선상630봉인 암봉 : 15:15


암릉을 진행 천만길 바위벼랑에 이르고 좌측으로 도는 길 흔적을 발견하고 긴가민가 내려가 


22643E4C58CA39A708071E

바위절벽


등고선상590m 안부에 이르면 


2608A34758CA39A718C61E

마모된 판독이 어려운 고비가 있는 묘가 있다 


등고선상590m 안부 : 15:25


낙엽 덮힌 급경사 돌길을 조심스럽게 기어서 올라 



2206384758CA39A81E2604

사람의 흔적인 몇개 올린 아주 작은 돌탑을 지나 


도면상 삼각점이 있는 655.3m 지점으로 올라서면 


2403144758CA39A80C44E4

'군위403 2004복구' 삼각점이 있다 

아직은 정상이 아니라 조금 더 오르면 정상이다 


이 근동에서는 최고 높은 삼각점까지 있는 봉우리라 기대를 잔뜩 하고 올라왔는데

그 어디에도 봉우리 이름 같은 흔적은 없고 


2644004758CA39A9065BF4

국방부유해감식단이 왔다갔다는 시그널이 있을 뿐이다 

6.9


655.3봉 : 15:45  15:50출발(5분 휴식)


약간 빽해서 삼각점이 있는 곳에서 우측으로 내려가는데 

워낙 펑퍼짐한 능선이라 능선을 가늠하기도 어렵고 


233D014758CA39AA079855

길은 전혀없는 가시 잡목 길이라 죽을 맛이다 


잔능선 계곡 같은 암튼 엄청나게 어려운 지형을 잘 가늠해야지 잘못 판단하면 

알바하기 딱좋은 지형이라 여간 조심스럽지 않다 

커다란 바위 2개 사이로 넘어간다 


16:10


등고선상510봉 우측 등성이에 이르면 무심코 510봉으로 오를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한다

490


16:20


내려가다 좌측 사면에 온 길을 만나 그 길을 따라 잠깐 내려가면 

등고선상430m 지점 십자길에 이른다 


16:35


좋은 길은 좌우로 내려가고 능선으로는 길 흔적이 나오기 시작하니 그나마 다행이다 


등고선상470봉 : 16:55


좌측 서쪽으로 내려가다가 몇m 살짝 오른 등고선상430m 지점에 이른다

칠곡군 가산면, 군위군 효령면, 부계면의 삼면지점이다 

430, 8.8


삼면지점 : 17:00


우측 북쪽으로 효령면과 부계면의 경계를 따라 내려가 오르면

등고선상450봉으로 Y자능선이 나오고 경계능선은 우측으로 내려가고 

단맥능선은 좌측 북서방향으로 순수한 효령면내로 들어가 내려간다 

9.3


경계능선끝 등고선상450봉 : 17:10  17:20출발(10분 휴식)


더 높은 봉우리처럼 보이지만 키큰 나무 밑에서 키큰나무 끝을 올려다보아서 그렇고

같은 등고선상450봉에 이른다 


이미 산행이 끝나고 동명면에서 기다리고 계시는 강일님한테 연락이 오고 

효령면 마시리 덕동마을 용은사라는 절로 와 주십사 부탁을 하고 

마지막 힘을 낸다    


등고선상450봉 : 17:30 


펑퍼짐한 도면상436봉 : 17:50


좌측 서쪽으로 내려가며 성긴길은 계속되고 막판 낮은 둔덕을 하나 넘어서 내려가면 



2642804758CA39AB41951C

차를 돌릴 수 있는 약간의 공터가 있는 

좌측 비포장 우측 포장도로인 등고선상410m 십자안부 임도에 이르게 된다 


좌측으로 내려가면 매곡리 탑평(들) 천곡관광농원으로 내려가는 길이고 

우측으로 내려가면 마시리 덕동 용은사라는 절까지는 포장도로로 오를 수 있을 것이다 

용은사고개라고 표기하기로 한다 

410, 10.8


용은사고개 임도 : 17:55


우측으로 내려가면 비포장으로 바뀌고

 

2738DD4958CA39AC0FC319

관음암이라는 암자 달랑 1채 있는 용은사에 도착하면 

그 높은 곳에 



230D314A58CA39E22D9949

민가2채가 있고  요새님이 와 계십니다


22127E4A58CA39E3242537

우측 동쪽으로 조망이 기가 막혀 팔공기맥 화산과 조림단맥 조림산 산줄기가 하늘금을 그리고 있다  

350, 11.2


효령면 마시리 덕동 용은사 : 18:00


그후


1차선 도로를 따라 내려가 919번지방도로를 만나 효령면쪽으로 돌아 

동명면에서 기다리고 계시는 강일님과 합류하여 

우선 여관을 정하고 

근처 석쇠구이집을 발견하고 들어가긴 했는데 

진짜 석쇠구이는 아닌 것 같지만 강된장과 고추장 등 등 밑반찬 맛이 그럴듯해 

석쇠구이 맛은 좀 아쉽지만 하산주 한번 진하게 때린다 


아침 일찍 시작했으면 충분히 한번에 끝낼 수도 있는 산줄기인데 

자투리를 남기게 되어 1번 더오게 되어 아쉽기만 하다  


그나저나 7km남은 자투리는 언제나 오려나...........



팔공석굴암단맥종주 자투리구간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 지형도 도엽명 : 군위

영진5만지도 : 359쪽



팔공석굴암단맥종주 자투리구간 지도

2258A44858CBAC181F9E0F


진행경로

자동차로 군위군 화계리 용은사입구 팻말을 따라 덕동마을을 지나 용은사-용은사고개-436봉-492.3봉-510봉-906번지방도로 삭골재 생태육교-마시지구경북대학교직원전원마을-350봉-370봉-350봉-장기리  금산마을 인근 5번군도 효령게이트볼장 까지 


언제 : 2017. 3. 13(월) 맑음


누가 : 신경수


어디를 : 자동차로 군위군 효령면 화계리 화계초교 인근 용은사입구 팻말을 따라 덕동마을을 지나 용은사에서 용은사고개로 올라 팔공석굴암단맥을 따라 5번군도 효령게이트볼장 '625전사자유해발굴기념지역(제1호)' 안내판 앞까지 


구간거리 : 7.5 km   접근거리 : 0.5km   단맥거리 : 7km


구간시간 3:40   접근시간 0:10   단맥시간 3:30 



새벽에 산에 가는 것이 습관이 된 나에게는 아침 7시30분이면 너무 늦은 시간이다 

그래도 어제 팔공매봉단맥 답사하다가 남은 약10km정도 산줄기라 그리 큰 걱정은 하지 않고 

달리고 달려가다 된장찌게로 아침을 하고 가는데 오늘 약속이 갑자기 생각이 났다 

초등학교 불알친구들인데 일년에 4번 만나는 날중에 금년들어 첫날이라 빠질 수가 없다


그래서 답사할 대상을 급히 바꾸어 그제 하다가 약7km  정도 남은 석굴암단맥 자투리를 답사완료하고 

저녁 6시까지 서울 화곡역으로 가는 일정을 급조하고 효령으로 돌아 919번지방도로를 따라 부계쪽으로 가다가 

화계리 근방 도로변에 용은사 가는 팻말이 있는 곳으로 

처음에는 2차선 도로로 들어가다가 덕동마을을 지나 1차선도로로 바뀌고 

좁은 1차선 콘크리트도로를 따라 급히 유턴을 해가며 오르는데 

강일님 마주치는 차가 있다면 큰일이라며 걱정을 한다 돌릴 곳이 한군데도 없기 때문인 것 같다 

에구 미안혀라 ^^


암자같은 관음암 1채가 전부인 용은사에 이르고 

강일님은 먼길을 달려 팔공황학지맥 끝자락 답사를 하러 가시고 

나는 비포장길을 따라 오른다

350 


군위군 효령면 마시리 덕동 용은사 : 9:40



250B604B58CB9A7F185F48

차가 돌릴수 있는 약간의 공터가 있는 용은사고개에 이른다 

410, 0.6


용은사고개 : 9:50


좋은 길을 따라 올라 도면상436봉에 이르면 



240DA74B58CB9A8027BE46

망가져가고 있는 높은 산불감시초소가 있다


436봉 : 9:55


우측 북북서 방향으로 시나브로 평지같은 펑퍼짐한 능선을 아니 내려가는 듯 내려간다 

민드름한 등고선상430봉을 넘어 또 평지같은 산줄기를 올라 

도면상 삼각점이 있는 492.3봉으로 올라섰지만 봉오름이 시그널 한개 없는 무명봉이라 

조금은 섭섭하다 

1.2


492.3봉 : 10:30


좌측으로 휘어서 내려가 오늘의 최고봉인 등고선상510봉으로 올랐지만 

역시 봉오름이 시그널 한개 없는 관심없는 무명봉이라 또 섭섭하기만 하다

1.8


등고선상510봉 : 10:50


좌측으로 100m 정도 내려가면서 

등고선상490m 지점 파묘앞에서 우측 북쪽으로 급경사를 내려간다

무심코 길따라 직진하면 앞에 우뚝솟은 도면상503.2봉으로 올라가게 되니 유념해야한다

1.9


10:52


펑퍼짐한 급경사라 처음에는 길이 없는 것 같지만 

내려가면서 길 흔적이 나오고 성긴 좋은 길로 바뀐다 

바로 까마득한 아래로 



277A864B58CB9A800BF54A

대규모 전원주택단지 건축현장이 보이는데

'마시지구경북대학교직원전원마을' 공사현장이라고 한다 


귀찮은 잔돌길로 한참 내려간다 


11:10


232AE54B58CB9A812455C9

마시지구경북대학교직원전원마을 전경


한없이 고도를 낮추어 


2513BE4B58CB9A822751FB

전원주택단지 좌측 천만길 벼랑끝 도로절개지 위에 이른다

천만 다행으로 도로위로 생태육교가 건설되어 있어 쉽게 건너간다 

230, 2.9


2차선도로 삭골재 생태육교 : 11:20  11:25출발(5분 휴식)


272DB24B58CB9A82327F87


2666054B58CB9A832CEC13

연두색 철책이 전원주택단지 좌측으로 한없이 올라가고 있어 그 옆으로 오르는데 


철책 안으로는 산책로가 이어지지만 밖으로는 그저 성긴길이 이어지고 있어 

기분은 썩 그리 좋지 않습니다 


낮은 둔덕 : 11:35


2235B23758CB9A8403EBC1

우측으로 계속되는 마시지구경북대학교직원전원마을 모습


그 철책이 능선 왼쪽을 잡아먹고 있는 안부에서 한동안 오름짓을 하면

다시 낮은 둔덕이다 


11:40 


그동안 계속되던 성긴길은 어디로 가고 길 흔적이 있다가 없어지고 

잔능선이 엄청많은 능선을 가늠하는 것도 어렵다

우측으로 능선을 가늠하면 성긴길이 나오고 

그저 그런 평범한 등고선상350봉으로 도면에 삭골재라고 표기 된 곳이다

그러나 이곳이 진짜 삭골재라고 보면 안될 것이다 

3.7


등고선상350봉 : 12:00


우측 동쪽으로 내려갔다가 오른 펑퍼짐한 둔덕에서 좌측 북쪽으로 간다 


12:05


등고선상370봉 : 12:30

4.6


등고선상350봉 : 12:45

5.2


이제는 더이상 오를 봉우리가 없는 것 같다 즉 내려갈 일만 남은 것이다 

묘지들이 나오면서 길이 좋아지고 한없이 내림짓을 하는데 

좋은 길만 따라 내려가면 아무 이상이 없는 곳이다 


거의 다 내려가 펑퍼짐한 거의 평지길이 되면서 

우측 아래로는 



26183B3758CB9A8423C05E

새로 신설된 하얀 도로가 일직선으로 이어지는데

아마도 상주~영천간 고속도로인 것 같다 


그쪽으로 내려오지 말라고 


2353563758CB9A85394A99

철그물 담장이 나오고 마지막 묘에 이른다 


13:15


우측으로 내려가 합수점으로 가야하는데 길이 없고 내려갈수 없으니 

좌측으로 내려가면 


22548E3758CB9A863973F6

효령게이트볼장이 보이고 

2차선 도로변에는 


273D723758CB9A860240D0

커다란 '625전사자유해발굴기념지역(제1호)' 커다란 스텐 안내판이 있다

110, 6.7


260B5C3758CB9A8740AE33

효령면 장기리 금산마을 인근 효령게이트볼장 : 13:20


그후


여기서 우측으로 논두렁으로 해서 사창천과 남천이 만나는 곳까지는 생략하고 

효령택시를 불러타고 효령버스정류장에 5분만에 도착해 

13시30분 곧 바로 군위에서 오는 대구시외버스를 타고 

대구 북부정류장에 14시10분에 도착해 기차시간을 알수 없으니 무조건 택시를 타고 동대구역에 도착해 

시간상 KTX를 타야만 저녁6시 약속을 지킬 수 있을 것 같다 


오뎅 2꼬치로 허기를 달래고 15시10분 기차를 타고 17시가 안되 서울역에 도착해 

전철을 갈아타고 화곡역에 도착하니 15분전이다

참 어렵게 그나마 교통편이 맞추어주어서 그나마도 약속시간에 도착했으니 다행이다 


산에 갔다온 사람을 위한다는 명목하에 근처 생고기집으로 이동해 

그동안의 근황을 이야기하며 그저 얼굴 본 것으로 만족하고 

다음에는 무조건 길거리에서 기다리지 말고 이 고기집으로 오는 것으로 약속을 하고 헤어져

생맥주 한통 사들고 집에 도착하니 21시도 안되었다      


팔공석굴암단맥종주 完


산경표따르기 카페 개설에 따른 부탁의 말씀  

 

<카페명 : 산경표따르기,  부제명 : 우리산줄기 바로 세우기>


다음(daum)에 카페를 개설했습니다. 산행에 의미를 두는 것이 아닙니다.

백두대간보전법이 생긴지도 어언 14년째입니다

법만 만들어놓고 실제로는 일제 강점기에 만들어진 태백산맥 등이

지금도 각종지리교과서나 방송 기업 정부와 단체등 사회전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에 누천년간 사용해오던 우리고유의 산줄기 이름과 흐름을 

1769년 여암 신경준 선생께서 영조의 명을 받아

족보형식으로 편찬한 우리나라의 지리정보 집합서인

산경표에 기초한 백두대간 낙동정맥 등 1대간 1정간 13정맥 산줄기를

바로 알고 바로 잡아보자는데 뜻을 두고 있습니다.
 

관심을 가지고 동참해 주실 분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가입하시고 간단한 힘 실어주는 가입인사도 남겨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구체적인 사업도 아직은 확정된 것이 없습니다

앞으로 모든 회원님들과 숙의 과정을 거쳐 활동을 할 예정입니다

시작이라 가입인원이 적습니다. 

내용도 아직은 빈약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뜻을 같이 하는 님들의 열정에 힘입어 

알찬 내용으로 채워지고 빛을 낼 것입니다  

 

일반인, 산악인 관계 없이 주변에 가입 홍보도 부탁드리며,
힘있는 카페가 되도록 가지고 계신 자료들도 공유하였으면 합니다

 

앞으로 우리산줄기 이름이 널리 실생활과 인문지리 등 학문에도 쓰일수 있도록

다같이 힘을 합쳐 주십시요.

카페명: 산경표따르기
http://cafe.daum.net/woori.sanjulgi ← 클릭

 

고맙습니다! 꾸뻑~  

 

신경수, 다올, 현오 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