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 다수의 최대 행복?....(수덕사에서)

수덕사(修德寺)는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덕숭산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비교적 규모가 큰 절로 공주의 동학사, 청도의 운문사와 더불어 3대 비구니 도량으로 꼽힐 만큼 유명한 비구니 사찰이다.

 

백제 법왕 원년(599년)에 창건된 고찰(古刹)로 대웅전이 유명한 사찰이다. 수덕사의 대웅전은 고려 충렬왕 34년(1308년)에 지어진 건물로 국보 제49호이다.

'수덕사의 여승'이란 가요나 일제시대 신여성으로 유명했다가 출가한 일엽(一葉)스님 때문인지 일반인들에게 수덕사는 비구니의 절이라는 이미지를 풍긴다.

 

그러나 수덕사는 5대 총림의 하나일 뿐 아니라 근세 불교의 선맥을 다시 이은 경허스님과 그 제자 만공스님이 주석했던 ‘선지종찰(禪之宗刹)’로 우리나라 근세 선불교의 고향과 같은 곳이다.  

현재 우리 나라 2천 수백여 조계종 사찰 중 총림으로 지정된 곳은 수덕사의 덕숭총림, 해인사 가야총림, 통도사 영축총림, 송광사 조계총림, 백양사 고불총림 5곳뿐이다.

 

총림이 되기 위해서는 승려들의 참선 수행 전문 도량인 선원과 경전 교육 기관인 강원, 그리고 계율 전문 교육기관인 율원 및 염불 교육 기관인 염불원을 갖추어야 하며 총림의 어른이신 방장 스님이 계셔야 한다.

 

경허의 선풍(禪風)이 아니었다면 어떻게 우리의 불교가 다시 명맥을 이을 수 있었을까. 그래서 수덕사 위쪽에 있는 암자인 금선대는 경허스님과 세 달로 불리는 제자인 만공·수월·혜월 스님의 진영(眞影)을 모시고 있다.  

전국 어느 사찰보다 활달하고 걸림없는 가풍을 지닌 덕숭총림 수덕사는 경허와 만공의 법맥을 잇는 덕숭문중을 이루며 범어문중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의 양대 맥을 형성하고 있는 당당한 선의 종가이다.(경향신문)

 

덕숭총림 수덕사는 일주문 편액에 쓰여 있는 동방제일선원(東方第一禪院)이란 문구에서도 느낄 수 있듯이 경허 만공스님께서 근대 선풍을 진작시킨 선지종찰로서의 모습을 갖춘 총림이다.

 

덕숭산 내에는 정혜사(定慧寺) 능인선원(能仁禪院)에서는 수십여명의 선객들이 참선에 매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비구니 선원인 견성암(見性庵 )에서는 백 여명의 비구니 스님들이

밤낮으로 화두에 여념이 없다.

 

또한 매달 음력 그믐날에는 사부대중들이 모여 철야정진을 통한 선수행(禪修行)을 실천하고, 여름철에는 선실천 수련대회를 갖는 등 선의 생활화와 선풍진작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과거 강원(講院)을 운영했던 전통을 되살리고, 부처님의 법을 후학에게 전수할 목적으로 1996(불기 2540)년 개설된 수덕사 승가대학(수덕사 강원)에서는 여러 학인들이 청강과 강론에 전력하고 있다.

 

수덕사 승가대학은 불교전통방식의 수업내용과 더불어 현실에 맞는 불교사 및 외전(外典)을 겸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교구 신도회를 비롯하여 수덕사 신도회, 선정회, 일화공덕회, 무이회, 관음회, 우담바라합창단 및 인터넷모임인 수덕사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등 각 단체들이 수덕사를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수덕사는 이들을 중심으로 매달 음역 초하루와 보름에 법회를 개최하고 있다. 이 밖에도 수덕사는 일반 불자 뿐만 아니라 군불자, 재소자와 공무원, 운전불자 등의 포교에 노력하고 있으며, 교양불교대학을 운영하여 불자는 물론이고 일반인들에게도 불교를 알기 쉽게 널리 알리고, 지역사회의 정신문화중심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고 있다.

경허(鏡虛)스님(1849~1912)의 출가

억불정책을 실시하던 조선시대에도 계속 이어지던 선맥은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완전히 끊어져 버리고 말았다. 고려시대에는 엘리트 계층이던 스님들은 조선시대에 와서는 도성 출입도 금지될 정도로 하찮은 대접을 받아야 했다.

 

스님들은 사찰에서 스스로 어려운 살림을 꾸려 나가야 했기 때문에, 직접 농사를 짓고 집을 짓는 기술을 익혀 품을 팔면서 생계를 이었다.

1856년 아버지를 잃고 어머니의 손에 이끌려 한양 인근 청계사(淸溪寺)의 주지 계허스님에게 맡겨진 동욱(東旭)의 나이는 겨우 여덟살이었다.

 

어머니는 형 동석을 마곡사에서 출가시킨 후 막내마저 출가시키려고 청계사로 온 것이다. 스승 계허스님만이 살고 있는 청계사에서 어린 동욱은 밥값을 하기 위해 물을 긷고 나무를 하고 채마밭을 가꾸면서 5년을 보냈다.

 

스승 계허는 문자를 전혀 모르는 비승비속(非僧非俗)으로 경이나 외고 복이나 빌어주면서 겨우 연명을 했다. 그러던 중 박처사라는 선비가 청계사에 머물면서 동욱은 훗날의 ‘대선사 경허’가 되는 인연의 끈을 잡게 된 것이다.

 

박처사로부터 글을 배우게 된 동욱은 환속하려는 스승 계허의 소개로 당대의 강백인 동학사 만화화상의 제자가 된다.

 

그 밑에서 정진하던 경허는 10년 뒤 다른 제자들을 물리치고 동학사 강원을 물려받는다. 훗날 근세 선불교의 중흥조로 추앙받는 경허스님이 강백, 즉 교학(敎學)으로 일찍이 일가를 이루었던 것은 흥미로운 대목이다.

경허스님의 대오와 선풍진작

대강백으로 이름을 떨치던 경허스님은 17년 만에 스승 계허의 소식을 듣는다. 인편으로 온 소식은 ‘목수일을 하다가 지붕에서 떨어져 크게 다쳐서 목숨이 경각에 달려 있다’는 것이었다. 계허를 찾아 한양으로 가던 중 경허스님은 전염병이 돌아 아수라장이 된 어느 마을에서 하루를 묵는다.

 

연신 사람이 죽어나가는 그 생지옥에서 경허스님은 문자공부가 아무 소용이 없다는 것을 크게 느끼고 그 길로 다시 동학사로 돌아와 강원을 철폐하고 깨달음을 구하기에 이른다.

'소가 되어도 고삐 뚫을 구멍이 없다’는 사미승의 말에 확철대오한 후 오도송을 읊는 순간 한국의 선불교는 재 속에서 다시 불씨가 되어 살아난다. ‘

 

문득 사람들이 콧구멍이 없다고 하는 말을 듣고/

 

즉시 삼천세계가 나의 집임을 알았네/

 

6월 연암산 아래 길에서/

 

야인이 한가로이 태평가를 부르네’. 경허스님은 춤을 추며 오도송을 읊었다.

 

이듬해 형과 어머니가 머물고 있는 서산 연암사 천장암에서 보림(깨우친 후 그 깨우침을 연마함)에 들어간다.

 

앞은 바다이고 뒤는 산인 천장암은 보림지로서는 최적의 조건을 지니고 있었다.

먹고 용변을 보는 일 외에는 하루 온종일 잠도 자지 않고 천장암 쪽방에 앉아서 깨우침을 연마하던 경허스님의 몸에는 이가 들끓었지만 스님은 미동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어 경허스님은 일체의 걸림이 없는 선기 어린 행동과 법문으로 전국의 선방에 선풍을 일으킨다.

 

술과 고기를 즐기고 이해하기 힘든 기행을 종종 보인 경허스님은 1882년 이후 20여년간 개심사·문수사·부석사(서산)·수덕사·정혜사를 비롯한 숱한 호서지방의 사찰을 돌며 선풍을 일으켰고, 1899년에는 해인사 조실로 추대되어 영남지방의 사찰에도 선기를 불어넣는다.

2003년 눈이 소복이 쌓인 서산 도비산 부석사에는 100여년전 경허스님이 쓴 현판 ‘목룡장(牧龍莊)’ ‘심검당(尋劍堂)’과 함께 훗날 칠십이 된 만공스님이 썼다는 ‘부석사(浮石寺)’ 현판이 걸려 있었다.

 

수덕사의 말사인 부석사 주지 주경(宙耕)스님은 “만공스님이 경허스님의 시봉을 한 때가 그리 길지 않았는데, 부석사 시절은 젊은 만공스님이 산에서 나무를 하고 밥을 지으며 가장 엄격한 시봉을 들었던 기간일 것”이라고 말했다.

 

부석사에서 5분 거리의 도비산 중턱에는 경허와 만공이 수행을 했다는 굴이 아직도 남아있어 두 스님의 치열했던 수행과정을 엿보게 한다.

어머니와 형이 있는 천장암에서 보림을 끝내고 어머니를 위한 법문을 하던 날의 일화는 경허스님의 그릇을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깨우친 아들을 자랑스러워한 어머니 박씨를 비롯해 구름처럼 몰려든 불자들 앞에서 경허스님은 법상에 올랐다.

 

좌중을 둘러본 스님은 갑자기 승복을 훌훌 벗어버렸다. 질색을 하는 어머니 앞에서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은 경허스님은 “자 보십시오”라고 한 뒤 주장자를 세번 내리치고 법상을 내려왔다. 즉 부모로부터 받은 육신 뒤에 가려진 법신(法身)을 보라는 뜻이었던 것이다.

스님의 걸림없는 무애행(無碍行) 중에는 천장암에 머물던 30대 후반, 속가의 김씨 처자와 사랑에 빠져 1년여간 결혼한 김씨처자를 찾아 그녀의 집에서 머슴을 살았던 일이 전해져온다. 중생의 어리석은 집착 중 하나인 애욕에 스스로 뛰어들어 그 무간지옥의 고통을 몸소 느껴 보았던 것으로 후세인들은 짐작할 뿐이다.

경허스님의 세 제자와 화광동진(化光同塵)

경허스님의 제자는 흔히 ‘세 달(三月)과 말없는 학’이라고 불리는 수월·혜월·만공 스님과 말년의 제자 한암스님이다. 수월스님(水月, 1855~1928)은 1883년 천장암으로 경허스님을 찾아가 허드렛일을 하면서 제자의 인연을 맺었다.

 

짚신 삼는 걸 즐겼던 경허스님으로부터 그 기술을 배워 훗날 북간도로 떠나 북녘을 밝히는 경허의 상현달로 일컬어진다.

 

수월은 백두산 골짜기에 움막을 짓고 짚신을 삼아 오가는 나그네들에게 밥을 해먹이고 짚신을 주어 보내는 무주상보시를 한 것으로 유명한데, 송광사 조실이 된 효봉스님은 한때 수월스님을 찾아가 함께 짚신을 신고 밥을 하면서 약 1년간 말없는 가르침을 전해받았다.

‘남녘의 하현달’ 혜월 스님은 크게 깨닫고 법인가를 받기 위해 해미 개심사에 주석하고 있던 경허스님을 찾아갔다. 법인가를 받은 후 혜월은 주로 남쪽인 통도사·내원사·범어사·선암사에 주석하면서 아이같은 ‘천진불’로 불리며 크게 선풍을 떨쳤다.

 

‘중천의 보름달’ 만공은 주로 수덕사에, 말없는 학 한암은 주로 오대산 상원사에 주석하며 경허의 선풍을 전국에 펼쳐 나갔다.

만공스님이 해인사 조실로 초청된 경허스님을 모시고 있을 당시의 일이다.

눈보라가 치던 어느날 밤 경허스님은 한 여인이 눈밭에 쓰러져 있는 것을 발견하고 조실방인 해행당으로 데리고 들어갔다. 몇날 며칠을 방에서 나오지 않는 스승을 걱정하던 만공은 조용히 해행당으로 들어가 보고 너무나 놀랐다.

 

눈 코 입이 모두 썩어 문드러지고 손발이 제대로 없는 나병환자인 여인에게 팔베개를 해주고 잠들어 있었던 것이다. 훗날 경허스님은 심한 피부병으로 열반 때까지 고생을 했는데, 이 때의 일이 원인인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수덕사 주지 법장(法長)스님은 “수덕사 스님들은 평소에는 별로 눈에 띄지 않지만 큰 일이 있을 때는 자신의 공부도 뒤로 하고 온몸을 던져 앞장서는 전통이 있다”면서 경허와 만공의 호방한 가풍이 면면히 이어지고 있음을 강조했다.

경허스님은 승려의 생활을 마감하고 중생들 틈에 섞여 사는
‘화광동진’을 선택한다. 1904년 만공스님에게 전법게를 내린 후 북으로 떠난 스님은 갑산에서 머리를 기르고 박난주라는 속명으로 글방을 열어 아이들을 가르치다 1912년 4월25일 열반에 든다.

 

경허스님의 열반은 1년후에야 만공스님이 확인한다. 시신과 함께 묻은 유품 중에 만공스님이 선물한 담뱃대와 쌈지가 있었던 것이다. 경허스님은

 

마음달이 외로이 둥그니/

 

빛이 만상을 삼켰도다/

 

빛은 경계를 비추지 않고/

 

경계 또한 있지 않나니/

 

빛과 경계 함께 없으면/

 

다시 이것이 무슨 물건인고’라고 열반송을 남겼다. (수덕사)

할리우드 액션은 월드컵 축구에만 있는 줄 알았는데?.....계수원 아저씨는 76여명의 머릿수를 오른 팔 까딱거림으로 두당 2천원씩 매겨 버립니다.ㅋㅋㅋㅋ

사천왕문이란 현액은 수덕사에서 사미, 보살 수계를 받고 문수사, 영봉암, 부석사 주지스님으로 계시다가 지금은 덕숭총림 임회의장으로 계시는 법현스님이 쓰셨습니다...

불법(佛法)과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들을 수호하는 외호신(外護神). 사대천왕(四大天王)·호세사천왕(護世四天王)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고대 인도종교에서 숭상하던 귀신들의 왕이었으나, 불교에 귀의하여 부처와 불법을 지키는 수호신이 되었다.

 

한국의 사찰에서는 대개 일주문(一柱門)과 본당(本堂) 사이에 천왕문(天王門)을 세워 그림이나 나무로 깎아서 만든 조각상을 봉안하고 있다. 보통 사천왕상은 무장한 장군의 모습처럼 갑옷을 두르고 부릅뜬 눈, 잔뜩 치켜올린 검은 눈썹, 크게 벌어진 빨간 입 등 무서운 얼굴에 손에는 큼직한 칼 등을 들고 발로는 악귀를 밟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그리고 대부분 검(劍;지국천)·비파(琵琶;다문천)·탑(塔;광목천)·용(龍;증장천) 등을 들고 있다.

극과 극은 상통한다?...세속과 비속이, 상록과 활엽이, 정성과 날림이 묘한 콘트라스를 만들었습니다.

수덕사 대웅전은 현존하는 건물중 안동 봉정사의 극락전, 영주 부석사의 무량수전에 이어 세 번째로 오래된 목조건물이다.

 

규모면에서는 부석사의 무량수전과 비슷해 보인다. 앞의 두 건물보다 크다. 이렇듯 규모도 큰 건물이 특이하게 팔작지붕이 아니고 맞배지붕 건물인 것이 특이하게 느껴진다.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이 팔작지붕의 효시라고 하니 아마 당시에는 대부분의 건물이 크기에 관계없이 맞배지붕이었을 것이다.

 

맞배지붕이라 고운 처마의 선이나 의젓함을 느낄 수 는 없고, 대신 단정하고 견고한 느낌을 준다. 또 전혀 단청을 입히지 않아 고풍스런 원목의 느낌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금강보탑...

   

   

선이란 마음을 한 곳에 모아 고요한 경지에 들어 자기의 본래 모습을 찾는 방법이다. 조용히 않아 좋고 나쁨을 생각하지 않고, 옳고 그름에 관계하지 않고, 있고 없음에 간섭하지 않아서 마음을 안락 자재한 경계에 거닐게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진정한 이치를 사유하고 생각을 고요히 하여, 흩어지거나 어지럽게 하지 않은 것이 곧 선이다.

 

선禪은 붓다의 마음이요, 교敎는 붓다의 말씀이다. 붓다의 마음인 선은

자신의 마음을 가리켜 (직지인심 直指人心)

 

자신의 성품을 보고 부처가 되며 (견성성불 見性成佛)

문자를 세우지 않고 (불립문자 不立文字)

문자 밖의 소식을 따로 전하다 (교외별전 敎外別傳)

신우대 아래 약수터에서 어떤 걸쭉한 남자가 하는 말이....이 물 마시면 5년은 젊어진다는데 우리 마누라가 나를 알아 볼라나 모르겠네?....ㅋㅋㅋ

향운각 옆 관세음보살입상(1924년 만공스님께서 봉안) - 모든 중생의 8고를 덜어주는 감로수병을 손에 드시고 머리에는 어머님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하여 이마에는 어머님의 상호를 모시고 있다 합니다.

정상에서...

정상에서(길 건너편의 가야산인가?....)

무슨 봉이라는데?....

앗!..생각난다....국민학교 자연 교과서에 실려 있던 그림입니다....진여문(眞如門)

똘똘 뭉쳤구랴?.....ㅋㅋㅋ

      

평소때는 심드렁하게 보아 넘기던 썩은 나무도 오늘은 무슨 말을 하고 있는거 같습니다...

   

    

싯커먼 기와지붕을...오늘은 원 없이 보았습니다....ㅋㅋㅋ

청련당과 삼층석탑

백련당과 대웅전....

괴목과 마네킹...

황하정루는 1990년 새로 지어 성보박물관(정확히 근역 성보관이란 이름으로 불린다)으로 쓰고 있으며 대웅전과 일주문의 정중앙을 가로막고 서 있는데, 이 황하정루를 지나는 길도 모두 새로 반듯하게 대리석을 깔아 놓아 고찰의 고풍스럼움을 완전히 잃어버렸다.

빵과버터 : 안녕하세요?.....(스님에게 안녕하세요? 라는 말이 인사가 될랑가?..... )

워낙 가라앉은 분위기를 일신하고 싶어 흔하디 흔한 파라칸사스 나무 열매를....

    

오~잉!!!... 수덩선사님이 언제 여관까지?...이제 눈이 침침해지니 글씨가 헷깔렸나 봅디다...ㅋㅋㅋ

고암 이응노(顧菴 李應魯, 1904-1989)는 1904년 충청남도 홍성군에서 태어나 해강 김규진(海岡 金圭鎭) 문하에서 문인화를 습득했다. 그는 1924년 조선미술전람회에 <청죽(晴竹)>으로 입선하면서 미술계에 등단했다.

 

고암은 1935년 도일(渡日)하여 일본 남화(南畵) 2대가의 한사람인 마쓰바야시 게이게쓰(松林桂月)에게 사사받았고, 한편으로는 혼고(本鄕) 연구소 등에서 서양화를 연구하는 등 근대적인 미술교육을 받았다.이 시기에 고암은 전통적인 사군자에서 벗어나 대상을 사실주의적으로 탐구한 현실풍경화를 그렸다.

고암은 1967년에 이른바 '동백림' 사건으로 귀국하여 옥고를 치루었으며, 옥중에서도 쉬지않고 작업을 계속하여 많은 옥중화를 남겼다. 이후 고암은 파리로 돌아가서 문자추상을 더욱 발전시켜나갔다.

 

고암은 1977년에 또 한번의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서울 문헌화랑의 <무화(舞畵)>전을 끝으로 1989년 작고 직전까지 국내활동이 중단되었다. 분단의 현실 속에서 정치적 탄압에 직면한 그에게 1980년의 광주민주화운동은 새로운 화제(畵題)를 제시하기도 했다. 고암은 군중들이 호소하는 자유의 외침을 종이 위에 옮겼다. 그는 이 작품들을 '통일무(統一舞)'라고 이름 붙였다.

 

1989년 고암은 끝내 고국으로 되돌아오지 못하고 파리에서 생을 마감했다. 그는 일생동안 일제 식민기, 해방과 6.25 전쟁, 민주화 과정의 아픔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현대사를 관통하면서 치열한 작품활동을 했다. 그를 가장 한국적인 화가로 지목할 수 있는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일 것이다.

꼴라쥐인지 머신지?.. 화백이 하고 싶은 말은 무엇이었는지?....몰라요(오른쪽 귀퉁이에 희미하게 이응노라고 보입니다)

분신?

수덕여관은 유홍준님과 각별한 사연이 있었지 싶습니다....

이 집이 제자와 프랑스로 떠난 이응노 화백을 그리며 수절한 본부인의 애틋한 사연을 담고 있다니 대단한 화백에게도 껄쩍찌근(?)한 구석은 있었습니다.....

동심의 세계에서 가을은 깊어 갑니다...

그리고 돈이 다발로 걸려 있습니다....ㅋㅋㅋ

한 솥 밥 먹는 사람들하고 금년도 "건강의 날" 행사를 수덕사에서 치뤘습니다만...허연 대낮에 벌겋게 취해 지하 노래방에서 악을 쓰며 흔들어 대기가 영 거시기했으나... 절대다수의 최대행복은 민주주의의 모토인지라?... 일찌감치 몸을 빼어 주차장 한 귀퉁이

찬바람속에 쪼그려 앉은 할매들의 버겁껍질 같은 검은 손으로 깍은 쭈굴쭈굴한 곳감 2봉다리로 수덕사의 잔영을 덮습니다....끝 (2005.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