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에 개인의 기념비 제막식을 보고.....

우 명준(속초대청산악회 창립
속초대청OB산악회 사무국장.
설악산악연맹 이사)

2004년 1월 18일 일요일 10시에 설악산 소공원 "산악인의 문"안에 산악인이자
의료인이었던 이기섭 박사와 역시 산악인이자 방송인인 권효섭씨의 얼굴형상을
그려놓은 비석(조형물) 제막식이 있었다. 이 자리는 한국산악동지회와 한
국등산학교장의 주선으로 동문성 속초시장님과 유창서(권금성산장),이인정(등
산학교장),박영규(설악산 한산구조대 고문),전서화(설악산 적십자 구조대장)씨
등 평소 주인공들과 안면이 있는 산악인들이 참석했고 동계등산학교 졸업생들
이 축하객으로 자리를 빛냈다.
송파 이기섭 박사의 비석문 하단에는 " 집보다 산을 더 사랑한 참 산악인 가족
보다 이웃을 더 보살핀 참 의사 산은 그의 영혼이요 이웃은 그의 삶이어라"라고
씌여져 있으며 뒷편에는 1913년 황해도 수안 출생.1938년 세브란스 의전 졸업.
1954년 이화여대부속병원장.1964년 속초시 의사회 회장.설악산악회 회장. 1966
년 설악제 개최.1970년설악관광(주) 사장.1974년 한국등산학교 설립.1989~93
설악제 위원장.1998년 (사)한국산악회 고문. 1993년 설악동 소공원 "산악인의문"
산악인의 불꽃" 건립. 1974년 조선일보사 "청룡봉사상 수상" .1994년 속초시민상
수상이라는 약력 소개가 있다.

일경 권효섭 등산학교장의 비석문 하단에는 "평생을 산처럼 사시고 일생을 가
르침에헌신하신 산악인. 넉넉한 산의 모든걸 품고 받아들이듯 당신의 가르침
에 머리 숙입니다."라고 씌여져 있으며 뒷편에는 1925년 경북 봉화 출생. 1960년
~73년 국회 의사국장.1973년~79년 제9대 국회의원.1980년~84년 (주) 문회방송
전무이사.1967년~ (사)대한산악연맹 서울시연맹 회장,고문. 1977년~ 한국대학
산악연맹 고문.1981년~ 대한산악연맹 회장.1974년~99년 한국등산학교교
장.1979년~94년 대한적십자사 서울지사 상임이사.1983년 04년 (사)국우회 회장
1994년~ 국립공원 관리공단 자문위원.1998년~ (사)한국산악회 명예회원. 1970
년 대한민국 홍조 근정훈장.1994년 한국대학산악연맹산악문화상.1999년 (사)대
한산악연맹,(사)한국산악회 공동공로상.2000년 대한체육회 공로상 이라는 약력
소개가 있었다.

소공원안에 자리잡은 "산악인의 문"은 산악인들이 외국원정에 앞서 반드시 설
악산에 들러 훈련을 하게 됩니다. 이런 의미에서 설악산은 산악인의 문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산악인의 불꽃"은 설악산에서 조난당해 죽
은 산악인을 추모하는 뜻에서 마련됐습니다. 건립비에는 "산악문화 발전에
헌신하신 원로 산악인과 설악의 계곡에서 유명을 달리하신 여러 악우들의 숭고
한 정신을 본받고 그 영혼을 길이 추모하며 아울러 모든 산악인의 우의를 영원
히 다지기 위함입니다"라고 씌여져 있으며 건립추진위원장 이기섭.이인정.최이
권.유현재라는 이름이 각인되어 있으며 매년 설악제 행사에 맞춰 "산악인의
문"안에서 추모분향 및 헌화가 이루어 지고 있으며 자체 관리는 지역산악인들의
모임인 설악산악연맹에서 하고 있습니다.
송파 이기섭 박사님이나 일경 권효섭 등산학교장님은 산악계에서는 물론이거
니와 일생을 봉사와 희생으로 일관하셨으며 후배 산악인들에게 많은 존경을 받
고 계신분들입니다. 하지만 소공원 "산악인의문"안에 세워진 기념비는 사후
에 지역시민들이나 후배 산악인들이 뜻을 모아 세워야 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어떤 뜻깊은 일이나 훌륭한 인물을 오래도록 잊지 않고 기리는 것을 기념이
라 하고 그와 관련한 자료나 유물의 보관을 위해 세운 건물을 기념관이라 한다
.또 돌 쇠붙이 나무 등에 그 업적을 적어 두면 기념비가 된다.송덕비,공적비,
불망비 등이 여기에 속한다.
전국 도처에 수 많은 공적비(功績碑)와 선정비(善政碑)가 눈에 뜨이고, 이를 전
문적이거나 취미로 연구하는 사람들이 많다. 세상은 묘하다. 선정비와 공
적비의 비문(碑文)을 연구한 사람들은 대체로 그 비문에 쓰인 글을 문자 그대로
인정해 주기에는 고개를 아래 위로 끄떡끄떡 하는 것이 아니라 가로 흔들고, 때
로는 혀를 찬다. 하지만 비문에 새긴 글자 하나하나에 고개를 흔들거나 혀를
찰 수 없을 정도로 훌륭한 비문 이었습니다.
공적비 세우기 대회가 6.25 사변 후에 강원도 일대의 전방 지역에서 유행한 일
이 있었습니다. 지역을 관할하는 사단장(師團長)의 공적비가 심심치 않게 세
워졌지요. 전후(戰後)에 궁핍한 백성들이 사단장 나리의 은덕을 염원하는 뜻으
로 세운 비석들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그 비석들이 어데에 묻혔는지, 누가 무
슨 감정으로 뽑아 팽개쳤는지 보이지 않는다.
비석을 세우려면 만주 벌판에 세운 고구려의 광개토대왕비와 신라의 진흥왕 순
수비(巡狩碑) 같은 비석을 세워야 합니다 . 천 년 후에 보아도 역사적인 가치가
있는 비석들입니다. 그렇지 못할 바에야 구태어 선정이니, 공적이니 하면서
개인적 의미를 부여하는 비석은 세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비석에 얽힌 일화는 많다. 베르린에 가면 베르린 올림픽에서 우승한 손기정
선수의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그 비문에 손기정은 한국인이 아니라 일본인으로
각인되어 있다. 우리나라가 일본의 식민지 때였기 때문이다.
강원도 출신 국회의원 박영록은 이 사실이 몹시 못마땅했다. 'KOREA'라는 동판
을 떠서 망치와 함께 독일로 가지고 갔다. 베르린 손기정 기념비 현장에 도착한
박영록은 기념비 비문 속에 있는 'JAPAN'이라는 글짜를 망치로 갈겨 쳐 없애고,
그 위에 'KOREA'라는 글자를 붙였다. 물론 이 일로 국제적인 문제가 발생하기
는 하였지만, 어찌 보면 한민족의 울분(鬱憤)과 기개(氣槪)를 전 세계에 알리는
일대 쾌거(快擧)였다.
한 때의 권세(權勢)와 영광(榮光)을 영원히 기리려고 만들어 놓았다가 망치를
맞아 망가지고 자빠지는 기념비와 비석과 동상은 헤아릴 수 없이 많다. 모란공
원에 세워진 '김재규장군묘'가 그렇고, 강원도 홍천 팔봉산 아래에 세워진 '전두
환대통령공적비'가 그렇고, 서울 남산 공원에 세워졌던 '이승만대통령'의 동상
이 그랬다. 이승만의 동상은 이승만이 대통령에 재직 중일 때는 남산 위에 우뚝
서 있었으나, 4.19가 나자 시민 학생들이 '모가지를 동아줄에 묶어 종로 바닥에
질질' 끌고 다니는 수모까지 겪었다. 권력이 무엇인지, 인심(人心)이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해주는 사건들이다.
사후에 시민과 산악인들의 뜻으로 비를 세우라
기념비와 동상은 '국민의 뜻'으로 후세(後世)가 세우는 것이 옳습니다. 당대
에 세우는 것치고 아무리 영원히 없어지지 말라고 금석문(金石文)으로 써붙여도
비석은 비석의 천 년 수명(壽命)을 다하지 못하고 당대에 보복(報復)을 당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몇 년전 대청봉에 있는 표지석을 교체한다고 하였습니다. 표지석 비문에
당시 설악산관리사무소장 이름을 새긴 후 교체하려다 반대에 부딪힌 일이 있
었습니다. 이 비석도 지금 어디에 있는지 모릅니다. 많은 사람들이 설악
산의 발전과 산악문화의 계승발전에 힘쓰고 있습니다. 또한 많은 산악인들
이 설악의 계곡과 능선에서 산악훈련이나 불의의 사고로 숨졌습니다. 개인
의 기념비 보다는 설악산의 발전을 위한 이들의 공동 공덕비가 필요 할지도 모
르겠습니다. 시민들이나 산악인들의 지혜를 모아 공덕비나 기념비를 세우
고 발전에 일익을 담당한 이들의 이름을 사후에 비문에 써놓으면 소공원에 개인
의 기념비로 넘쳐나는 일은 없을 겁니다. 물론 설악산에서 산악훈련이나
불의의 사고로 숨진 이들의 영혼도 달래야 합니다. 사고가 난 계곡이나 암
벽마다 붙어있는 동판도 모두 떼어내어 "산악인의 문"안에 죽은자들의 쉼터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역사는 사후에 후세가 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념비 철거와 관련하여 귀하의 생각은 어떠하십니까? 설문조사에 참여하
여 주세요. http://dcob.21kr.net


▣ 산너머 - 산에 왠 추모비, 기념비, 조난기념비 까지 있더군요. 너도 나도 자꾸 세우면..
▣ 아직도 - 정신못차려! ...ㅉㅉㅉ 얼간이들...한사람만 똑똑해도...
▣ 어쩌나 - 산악인의 수치야...산이 怒할텐데
▣ 끄덕끄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