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내의 낙동 길. 산성고개-불웅령-백양산-엄광산-구덕령


 

(쇠미산 360m) * 佛熊嶺(616m) * 白陽山(641.7m) * (愛鎭峯) * (유두봉 589.1m) *

(삼각봉 454m) * (갓봉 405.6m) * 嚴光山(504.2m) - 부산광역시


 

산 행 일 : 2009년 12월 13일 일요일

산의날씨 : 흐림

동 행 인 : 지리산악회 동참 산우님들


 

산행(도상)거리 : 약 17.9km

                산성고개 <5.9> 금정봉 갈림 <3.4> 백양산 <7.1 > 엄광산 <1.5> 구덕령


 

산행시간 : 7시간 33분 (식사 휴식 30분포함)

          산성고개▪2차선 도로 <0:30> 제2망루 <0:07> 남문 <0:43> 만덕고개▪2차선 도로▪쇠미산 등산로 안내판 <0:13> △365.9봉(쇠미산)▪KBS중계탑▪(직전 산불감시초소▪산 어귀 전망대) <0:21> 약 330봉▪금정봉(397m) 갈림 <0:17> 만남의 광장▪산불감시초소▪백양산 안내판 <0:41> 약 590봉▪산불감시초소▪돌탑▪점심 식사 <0:06> 불웅령▪정상표지석▪돌탑 <0:27> ▲백양산▪정상표지석▪돌탑 <0:07> 헬기장▪애진봉 표지석<0:08> 589.1봉▪유두봉 표지석 <0:23> 545봉▪삼각봉 표지석▪백양산 삼각봉 등산 코스안내도 <0:18> 405.6봉▪갓봉 <0:49> 개금역 5번 출입구 <0:16> 대동아파트 정문 <0:15> 임도 <0:41> ▲엄광산▪삼각점 안내판 <0:23 헛수고 14분포함> 엄광산 표지석봉▪헬기장▪정자 <0:18> 구덕령▪2차선도로


 

참 고 : 국토지리정보원 1:50,000 부산(2005년 수정본) 지형도 




                                                                      부산만과 우측의 영도구 봉래산


 


 





 

                                                                                 오늘 산행 구간도


 

동지가 며칠 남지 않은, ‘동지섣달 기나긴 밤’ -음력을 말하겠지만- 이라더니 낮이 많이 짧아졌다.

일곱 시 반이 되어서야 남해고속국도를 달리는 버스 차창 밖의 도로 표지판이 보인다.

제2낙동대교를 건너 35번 국도를 따라 북진하다 북구 화영역 부근에서 금성산성을 향해 비좁은 도로를 구불구불 올라 산성고개에 닿았다.

버스에서 내리니 날씨는 흐리지만 예보대로 비교적 포근하다.




                                                                                    산성고개


 


 

                                                                                평평바위의 이정표


 


 

                                                                                      제2망루


 

09 : 39 흙길도 있으나 성벽 위를 고집하고 10여분 걸어 작은 암봉에 이르렀는데 ‘금정산 주등산로 산행코스’의 대륙봉인 듯싶고 조금 더 나아간 곳의 마당처럼 넓은 암반을 ‘평평바위’라고 표기했으며 ‘↑ 남문 1.4km (케이블카 2.0km)' 이정표도 있다.

제2망루를 둘러보고 남문 갈림길에 섰다.

정맥은 케이블카 방향이지만 남문 쪽으로 내려간다.




                                                                                            남문


 


 

                                                                       케이블카 갈림에서 우측으로


 

10 : 16 남문

남문 주변은 공사 중으로 어수선한 감이 있으며 다시 갈림길로 되돌아 오르지 않고 ×552봉 옆구리를 스쳐 주능선에 이르렀다.

케이블카 갈림길에서는 우측 ×519봉을 넘어간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부산시 인구가 350만쯤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시가지를 동서로 가르는 산줄기답게 수많은 사람들이 산길을 메우고 있다. 




                                                                      좌측의 금정봉과 백양산이 보인다.


 

10 : 42 가야할 산줄기가 시원스럽게 바라보이는 약 450봉

내리막길에는 작은 무덤이 지나는 사람들을 마중하며 배웅하고 돌들이 있는 봉을 넘어서면 우측에 공동묘지가 길 옆 까지 올라왔다.

좌측 가깝게 도로가 보이는 안부에는 산행용품을 파는 사람과 북구에서 세운 ‘이곳은 낙동정맥 구간입니다’라는 표지판이 있다.




                                                                                         만덕고개


 


 

                                                                                산 어귀 전망대


 


 

                                                                                            385.9봉


 

10 : 59 만덕고개

2차선 도로가 넘어가는 고개로 쇠미산 등산로 안내판이 있다.

대륙봉, 쇠미산 또 백양산 부근 봉우리들을 북봉, 유두봉, 삼각봉, 갓봉이라 했고 헬기장이 있는 펑퍼짐한 안부에는 애진봉이라 새긴 큼직한 빗돌을 세워놓았다.

어쨌든 그 쇠미산으로 오르는 길은 긴 나무계단이다.

산불감시초소와 산 어귀 전망대가 있으며 삼각점이 표시된 365.9봉엔 KBS 중계 탑이 자리를 차지해버렸다.




                                                                                       망향비


 


 

                                                               뒤돌아본 금정봉 갈림으로 오르는 길


 

우측 약 340봉 오름을 생략하고 구민의 숲이라는 곳을 통과하여 지형도에 불웅령이라 표기된 고개에서 좌측, 금정봉 방향으로 오르자 황해도 해주군민의 망향비가 숲속에 서 있다.

약 350봉은 북구와 동래구, 부산진구 경계 봉인데 무덤을 보호하려고 나무로 막아두었다.

금정봉 방향으로 조금 가다 우측 가파른 길을 타고 내리자 구민의 숲에서 넘어오는 도로처럼 넓은 길에 합류한다.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약 280봉을 넘고 ‘↑ 백양산 3.0km’ 지점을 지난다.




                                                                                        만남의 광장


 


 

                                                                             590봉으로 오르는 길


 


 

                                                                                   지나온 산줄기


 

11 : 50 만남의 광장

돌 또는 바위들이 박힌 오름길이 부담스럽다.

산행객들의 수가 현저히 줄어든다.

가다 서다를 반복하면서 뒤돌아보는 경관은 훌륭하다.

천천히 걷는데도 땀이 흐른다.

돌탑과 산불감시초소가 코앞에 보이자 나도 모르게 긴 한숨이 이빨 사이로 새나왔다.




                                                                                      590봉


 

12 : 31∼45 약 590봉

돌탑을 등진, 백양산이 잘 보이는 곳에 일행들이 둘러 앉아 식사중이다.

입맛이 없다.

김밥 한 줄을 다 먹지 못하고 다시 배낭 속으로 집어넣고 말았다.

건네주는 담근 술 두 잔 마시고 금세 일어났다.




                                                                                          불웅령 정상


 


 

                                                                         불웅령에서 본 백양산 - 앞은 북봉


 

12 : 51 불웅령

령이라는 산 이름이 특이한데 내가 올랐던 산중 그런 이름이 있었던 것도 같고 그냥 지도에서 본 것도 같고 하여튼 아리송하다.

이제부터 개금고개까지는 보다 수월한 산행이 될 것이고 막판 엄광산으로 오를 때 또 한 번  용을 써야한다.

널찍한 방화선을 따른다.

앞에 보이는 봉우리를 백양산 북봉이라고 표기했던가?




                                                                                           북봉


 


 

                                                                                 백양산 돌탑과


 


 

                                                                  맞은편 봉우리에 유두봉 표지석이 있었다.


 


 

                                                                  헬기장 언덕의 애진봉 표지석


 

13 : 18∼21 백양산

‘부산 301, 2007 재설’ 삼각점이 설치되었으며 돌탑위에 정상표지석이 놓여있다.

엄광산 줄기가 도심 반대편에 가로로 누워있다.

구덕산이 머리를 치켜들고 있는 우측 그 너머에 구덕고개가 있을 것이다.

도로가 마루금까지 올라온 안부 헬기장 뒤에 애진봉이라 새긴 커다란 빗돌이 있다.

원래 봉우리가 있었는데 무참히 잘리고 말았을까? 알 수 없는 일이다.




                                                                                유두봉 표지석


 


 

                                                                              삼각봉 내리막길


 

13 : 36 589.1봉

모 산악회에서 세운 유두봉 표지석이 있다.

산봉우리는 마치 삿갓을 엎어놓은 것처럼 보이는 것이 많다.

하릴없는 사람 여기 있다.

신산경표를 펼쳐보니 전국의 산 이름에 삿갓봉은 있어도 유두봉은 하나도 없다.

안부 사거리를 지나 암봉에 오르자 이곳에는 또 다른 산악회에서 삼각봉 표지석과 함께 친절하게도 ‘백양산 삼각봉 등산 코스 안내도’를 세워놓았다.



 

                                                                            주례1, 2동 갈림길


 

바위들을 거슬러 내려가자 주례1동과 주례2동 팻말이 있는 갈림길이 나온다.

누군가가 표지판에 낙동정맥, 신라대학이라 써 놓았다.

글자가 지시하는 대로 좌측 주례2동쪽으로 내려간다.

이어 마루금까지 올라온 임도 모퉁이를 지나 387봉을 넘고 앞 봉으로 오르는 길옆에 참호들이 만들어졌다.


 

                                                                           405.6봉에서 본 백양산


 


 

                                                              맞은편 산자락 바로 아래 건물이 대동아파트

 

14 : 17∼25 405.6봉

갓봉이라 부르는 모양이다.

비스듬하게 포개진 바위 정상엔 부부 한 쌍이 자리 잡고 있어 낙동강이 잘 내려다보이는 곳에서 목을 축인다.

조금 내려간 지점에서 좌측 길로 들어서면 바로 밑에 산불감시초소와 헬기장 그리고 아파트 사이의 백병원이 잘 보인다.

산불감시초소를 지나 헬기장에서 약 290봉으로 오르지 않고 우측 좋은 길 따라 LG 아파트 옆을 스쳐 왔다갔다 방황하다 육교를 발견했는데 앞선 두 사람이 건너가고 있다.

개금역 2번 출입구로 들어간다.




                                                                                        5번 출입구


 


 

                                                                           정문 우측에 길이 있다.


 


 

                                                                                 동네 체육시설


 

15 : 14∼19 5번 출입구 앞 국민은행

과일을 먹으며 개금역에서 볼일 보는 일행들을 잠시 기다린 후 백병원과 병원 주차장 입구를 지난 대동아파트로 오르는 길이 상당히 가파르다.

아파트 정문에 이르자 무슨 가스 냄새 같은 것이 코를 찌른다.

아파트 위쪽의 EM발효제생산연구소에서 나는 냄새였다.

게이트볼장과 개금2동 체육시설 우측으로 오른다.




                                                                                 엄광산 오름 길


 


 

                                                                                        뒤돌아본 풍경


 

15 : 50 임도

임도를 가로질러 돌들이 뒹구는 가파른 길을 따르면 우측 골짜기에 돌탑들이 보인다.

같이 걸었던 일행들과의 거리가 서서히 벌어진다.

하지만 무리하지 않고 천천히 걸어 능선에 당도하여 좌측 봉우리로 간다.




                                                                        능선에 올라서 본 엄광산


 


 

                                                                                    엄광산에서


 


 

                                                                                   엄광산 삼각점


 

16 : 31 엄광산

‘부산 22, 1992 복구’ 삼각점과 국토지리원에서 설치한 삼각점 안내판이 있다.

일행은 보이지 않고 정상에서 주변을 돌아보고 있는 분에게 부탁하여 사진을 찍은 후 카메라를 받아들기 바쁘게 가파른 내림 길로 들어섰다.

안부에 이르러보니 엉뚱한 방향이다.

맥이 풀려버린다.

급하게 서두른 것이 잘못이었다.

다시 정상으로 올라 통신 탑들이 보이는 봉우리로 향했다.




                                                                                엄광산 표지석봉


 

16 : 54 엄광산 표지석봉

정자 앞에 작은 표지석이 세워졌다.

이런 경우도 더러 보아왔기 때문에 새삼스러울 게 없다.

지형도에 표기된 삼각점이 박힌 봉보다 정자가 있는 봉이 약간 더 높은 까닭일 것이다.

하지만 조망은 앞서 오른 곳이 훨씬 좋았다.




                                                                                나무계단 내리막길


 

나무계단에 자갈이 깔린 지그재그 길을 따라 부지런히 걸었다.

등고선 상 350까지 떨어진 안부에서 약 400봉으로 오르고 싶은 생각이 없어진다.

우측으로 반질반질한 길이 나있고 좌측에는 철조망이 드리워져 있다.

내원정사로 이어지는 도로에 내려서니 산에서 내려온 몇 사람들이 실내포장마차 식탁에 둘러 앉아 막걸리를 마시고 있다.


 

17 : 12 구덕령

도로가 휘어지는 갓길에 버스가 기다리고 있다.

신재균 님이 건네주는 막걸리 한 사발을 마시자 버스가 출발한다.

구덕운동장을 돌아 조금 전에 내려선 구덕고개 땅속, 구덕터널을 통과하여 고속도로를 향해 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