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남정맥의 산줄기들


낙남정맥이란?


 

백두대간이 백두산 설악산으로 줄기차게 뻗어내리다 그 종착지인 지리산 천왕봉 가기전 세석평전을 품고있는 영신봉에서 남쪽으로 갈래쳐 내려


 

유명한 지리산 청학동을 바라보는 바위 봉우리인 삼신봉에서 청학동 안부를 거쳐 삼신봉 보다 더 좋은 전망을 선사하는 외삼신봉을 지나


 

한참 논란이 되고 있는 지리산 상부댐공사로 난장판이 된 묵계치 고운재를 지나 옥산까지의 산줄기는 서쪽으로 섬진강으로 물길을 대주고 있다


 

이후 산줄기를 잘라내고 인위적으로 진양호 물이 사천만으로 흘러들게 만든 가화강를 건너간다


 

백운산 대곡산 무량산 여항산 서북산 광려산 대산 마산의 진산인 무학산 천주산 창원의 진산인 봉림산 대암산 용제봉 김해의 신어산을 지나


 

낙동강 하구인 김해시 매리라는 작은 마을에서 그 줄기를 낙동강에 담그는 도상거리 약 221키로의 산줄기를 일컫는다


 

옥산이후 줄기차게 경상남도 해안지방과 내륙지방을 분계하며 북쪽으로는 모든 물이 남강으로 흘러들어 낙동강과 만나며 남쪽으로는 바닷가 개울을 적셔주고 있다


 

지리산 구간과 몇몇 봉우리들을 제외하면 500m 이하의 산등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가화강 부근의 산줄기들은 200m 내외의 높낮이가 거의 없는 과수원 밭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산경표의 순서에 의하면 백두대간 장백정간 낙남정맥 그리고 북쪽에서부터 기술하기 시작하여 호남정맥에서 끝을 마친다


 

또한 여지편람에는 낙남정간으로 표시되어 있어 항간에 종주하는 분들이 낙남정간으로 부르기도 한다


 

종주에 필요한 오만분지일 지형도 도엽명 :


 

     부산 김해 창원 마산 함안 통영 진주 사천 곤양 남해 하동


이러한 낙남정맥에서 분기한 산줄기들은 그 산줄기의 특성상 남강의 남쪽에 한정되기 때문에 산줄기가 길게 뻗어나가지는 못하고 있다


 

낙남정맥에서 19개의 산줄기가 직접 분기하고 있으며 30km를 갓넘은 짧은 6개 지맥과 29개 단맥산줄기 그리고 수많은 여맥산줄기들을 형성하고 있다


 


 

樹體系圖로 살펴보면


 

01). 낙남시루지맥01 - 낙남시루성제단맥01

                           - 낙남시루갈미단맥02


 

02). 낙남주산단맥03


 

03). 낙남금오지맥02 - 낙남금오정안단맥04

                           - 낙남금오이명단맥05


 

04). 낙남와룡지맥03 - 낙남와룡갈모단맥06

                           - 낙남와룡백암단맥07

                           - 낙남와룡흥무단맥08

                           - 낙남와룡봉대단맥09


 

05). 낙남통영지맥04 - 낙남통영거류단맥10


 

06). 낙남연화단맥11


 

07). 낙남금정단맥12


 

08). 낙남적석단맥13


 

09). 낙남월아지맥05


 

10). 낙남오봉단맥14 - 낙남오봉월촌단맥15

                           - 낙남오봉마폐단맥16


 

11). 낙남삼봉단맥17


 

12). 낙남인성단맥18


 

13). 낙남화개지맥06 - 낙남화개광로단맥19

                           - 낙남화개무취곡단맥20


 

14). 낙남경두단맥21


 

15). 낙남무릉단맥22


 

16). 낙남구룡단맥23


 

17). 낙남응봉단맥24


 

18). 낙남불모단맥25 - 낙남불모웅산단맥26

                           - 낙남불모옥녀단맥27


 

*. 낙남분성여맥 


 

19). 낙남무척단맥28 - 낙남무척석룡단맥29



 

□. 산줄기별 개관


 

01). 낙남시루지맥01


 

낙남정맥 삼신봉(1294)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내삼신봉(△1354.7)-

시루봉(1130, 5.6)에서 남쪽으로 성제봉(형제봉, △1115.2, 단맥)을 떨구고 동진을 한다


 

회남재(3.5/9.1)-배티재-△680.9봉-칠성봉(899, 7/16.1)에서 동쪽으로

갈미봉(△, 단맥)을 떨구고 통점재-삼화실재-구재봉(△767.6, 5.4/21.5)-

분지봉(610, 2/23.5)-경전선 하동기차굴(7.5/31)-하동읍 목도리 횡천강이 섬진강을 만나는 곳(6/37)에서 끝이 나는 약3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낙남시루성제단맥01


 

낙남시루지맥이 남하하다 시루봉에서 지맥은 동진을 하고 한줄기가 남쪽으로 분기하여 원강재-성제봉(형제봉, △1115.2, 4.1)-신선봉(3.9/8)-고소성 대하소설 토지의 무대인 하동읍 악양면 평사리 악양천이 섬진강을 만나 섬진강물이 되는 곳(2.5/10.5)에서 끝이나는 약1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낙남시루갈미단맥02


 

낙남시루지맥 칠성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482.1봉(4.5)-

갈미봉(△392.2) 전위봉(310, 2.7/7.2)-△306봉-하동군 횡천면 시루봉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횡천강과 만나는 남산리 남산교(3.5/10.7)에서 끝이나는 약1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낙남주산단맥03 


 

낙남정맥 묵계치에서 내려간 빈이터재 내려서기 전 무명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주산(△1031.3, 3)-길치재(2.6/5.6)-흰덤산(645)어깨-

두방산(△494.4, 4/9.6)에서 비룡산(△559)-우방산(△494, 5/14.6)-하동군 옥종면 두양리에서 덕천강 물이 되는 곳(1.4/16)에서 끝이나는 약16km의 산줄기


03). 낙남금오지맥02


 

백두대간 영신봉에서 남쪽으로 뻗어내려 삼신봉을 지나 동남진하면서 돌고지재 지나 하동군 횡천면 옥종면 북천면의 삼면을 가르는 활공장인 옥산을 가기전 무명 547봉에서 낙남정맥은 동쪽으로 뻗어나간다


 

또 한줄기가 남쪽으로 분기하여 497봉(1.5km)-489봉(2.3/3.8km)-

황토재(310m, 5/5.3km)-370봉(1/6.3km)에서 서진하는 산줄기는 주교천이 섬진강을 만나는 하동군 고전면 월진마을에서 끝이 난다(낙남금오정안단맥)


 

지맥은 이 370봉에서 동진하여 2번국도 황치산휴게소를 지나 339.2봉-

이명터널(2.3/8.6km)-477봉-무명 530봉(2/10.6km)에서 동쪽으로 이명산줄기(낙남금오이명단맥)를 떨구고 지맥은 급하게 서남방향으로 머리를 돌린다


 

구영도로(110m, 4.2/14.8km)-남해고속도로(50m, 5/19.8km)-

670봉(3.5/23.1km)-금오산(849.1m, 1.8/24.9km) 달바위에서 남쪽 연대봉을 거쳐 남해대교에서 끝이나는 짧은 산줄기를 하나 떨어뜨린다


 

지맥은 서진을 하여 금정사가 있는 등고선상 310봉(2.5/26.4km)-80.4봉-

용산(150m, 3.1/29.5km)-도로(30m, 2.1/31.6km) 우두산 지나 호남정맥의 연장선상 혹은 꼬리의 끝인 망덕포구 망덕산을 바라보며 하동군 금성면 고포리(4/33.5km)에서 섬진강을 만나 같이 바다로 흘러드는 약 33.5km를 말한다


 

남해대교에서 끝나는 연대여맥은 바다를 건너가 남해의 수려한 산줄기를 빗는다


 

그줄기를 따라가보면 달바위-504.2봉-아첨재(250m)-연대봉(447m, 4km)-

남해대교(1.5/5.5km)에서 바다를 건너 구두산-금음산-대국산-관대봉-송등산-금산으로 이어지고 천황산-산불암산을 지나 남해군 상주면 남해수산종묘시험장 승치도 앞 바닷가에서 소임을 다하고 다시 바다가 된다


 

여기서 논의할 일은 과연 이 산줄기를 백두대간의꼬리 혹은 연장선상 이라고 할 수가 있는가이다


 

지리산 영신봉부터 옥산 전위봉인 547봉까지의 낙남정맥을 없애버리고 그 산줄기를 백두대간의 꼬리 혹은 연장선상이라고 명명을 한다는 것은 지리산 천왕봉이 백두대간에서 제외되는 일이 생길뿐 아니라 낙남정맥의 일부가 없어져 버려 산경표에서 명명한 낙남정맥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입장에 서게 될 것이다


 

그러한 연유로 나는 낙남정맥을 그대로 온전하게 보존을 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이산줄기를 단순히 다른 지맥들처럼 낙남금오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하는 것이다


 

낙남금오정안단맥04


 

낙남정맥에서 분기된 금오지맥이 남으로 흐르다 황토재 지난 무명 370봉에서 금오지맥은 동으로 흐르고 남으로 한줄기를 떨구니 바로 정안단맥이라


 

그 줄기를 따라가보면

분기370봉(황토산)-곰치(190m, 1.3km)-구징굴-정안산(448m, 5/6.3km)-

갈록치(150m, 5.5/11.8km) 하동군 고전면 월진마을(6/17.8km)에서 주교천이 섬진강을 만나 섬진강물이 되는 약17.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낙남금오이명단맥05


 

금오지맥 분기봉에서 동쪽으로 뻗어나가 이명산(570.1m, 1.7km)에서 동쪽으로 봉명산(여맥) 군립공원을 떨군다


 

원동도로(150m, 4/5.7km)-진교터널(110m, 1.7/7.4km)-

밤치재(50m, 1.5/8.9km)-1003번지방도로따라 서포중학교(6.7/15.7km)를 지나 서포면 자혜리 혜촌마을(5.6/21.3km)에서 바다가 되는 약21.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4). 낙남와룡지맥03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사천 통영 진주(참고도면)


 

낙남정맥이 지리산 영신봉에서 흘러내려 남강과 경남 남해안을 구분지으며 대체적으로 동진을 하며 금오지맥 등 많은 산줄기를 분기하며 흐르다 경남 고성군 대가면 상리면 고성읍의 경계점에 위치한 낙남정맥에서 제일 남쪽으로 내려온 大谷산(△542.9)에서 3개의 산줄기가 분기를 한다


 

북쪽으로는 낙남정맥이 이어지고 남쪽으로는 상리면과 고성읍의 경계를 따라 와룡산으로 연결이 되고 다른 한줄기가 동쪽으로 분기하여 벽방산으로 연결이 된다


 

이산줄기를 종주함에 있어서는 이 두산줄기를 연결을 해서 산행을 하는 것이 좀 더 효과적으로 산행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우선 와룡산 산줄기를 바닷가부터 흐름을 따라가 보면


 

경남 사천시 노산공원(△26) 바닷가에서 점점히 떠있는 많은 섬들을 건너 거도 남해도를 바라보다 몸을 돌려 시내를 관통해서 용운암 왼쪽 산줄기를 타고 북진을 한다


 

角산(410, 3)-△398.2지점 지나 동림고개(290)-331봉-343봉(2.5/5.5)-

구미고개(30, 1.2/6.6)-625봉(2.7, 9.4)-797봉(1.5/10.9)-

臥龍산(△798.6, 1.6/12.5)에서 북쪽으로 峰臺산(△466.4 단맥)을 떨구고 남쪽으로 虎頭산(△226.9 여맥)을 떨구고 동진을 한다


 

1016번지방도로 飛雲峙(170, 2.4/14.9)-蜂岩산(△435.2, 0.7/15.6)-

488봉(1.5/17.1)-香爐봉(△578.5, 1.7/18.8)에서 북쪽으로 興霧산(단맥)을 떨구고 동남진한다


 

白巖산어깨(470)에서 남쪽으로 백암산(단맥)을 떨구고-

학동재(250, 2.2/21)-421.5봉-수태재(350)-秀泰산(△570.9, 2/23)에서 북쪽으로 武夷산(548.5 여맥)을 떨구고 동남진 한다


 

절골고개(350, 1.5/24.5)에서 남쪽으로 山城산(△154.8 여맥)을 떨구고 동진하여-△371.1봉-

달막도로(190, 2.2/26.7)-411봉 지나 펑퍼짐한 310m 지점에서 동남쪽으로 갈모봉산(△367 단맥)을 떨구고 북진하여 33번국도 감치제(150, 3.7/30.4)에서 올라 대곡산(1.2/31.6)에 이른다


 

이 31km에 달하는 산줄기가 이름이 없어 나의 산줄기 이름을 짓는 방식대로 그 지방에서 제일 유명세를 타고 있는 와룡산의 이름을 차용하여 낙남정맥에서 분기하였으니 낙남와룡지맥이라고 이름을 지어본다  


 

이 와룡지맥에서 분기된 단맥들을 살펴보면


 

낙남와룡갈모봉단맥06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통영


 

와룡지맥이 대곡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33번국도 감치재로 내려섰다 오른 펑퍼짐한 무명310봉에서 와룡지맥은 서남방향으로 가고 다른 한줄기가 동남쪽으로 분기한다


 

갈모봉산(△367, 2.5)-289봉(1.5/4)-1010번지방도로 고갯마루(90, 3/7)-

烽火산(△254.7, 1/8)-145봉(1.5/9.5)-새마을도로(10, 0.6/10.1)-든바위산(△154.4, 0.7/10.8)-

168봉(1.2/12)-도로사거리(30, 0.6/12.6)-버드네마을에서 남쪽으로 쭉 뻗은 바닷가 바위(0, 1.5/14.1) 위에서 끝이나는 약1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낙남와룡백암단맥07


 

와룡지맥이 대곡산에서 서쪽으로 수태산을 지나 향로봉을 가던중 백암산어깨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백암산(404.6, 0.8)-와룡재(310, 1.2/2)-서리재(270, 0.5/2.5)-월아치(210, 2.2/4.7)-296.5봉-1010번지방도로사거리 밤실도로(90, 2/6.7)-214봉-덕명도로(90, 2/8.7)-156봉(2.2/10.9)-봉화골에서 남쪽으로 돌출된 맨끝 바닷가(0, 1.7/12.6)에서 끝이나는 약1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낙남와룡흥무단맥08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사천 진주


 

낙남와룡지맥이 수태산에서 와룡산으로 가다가 향로봉에서 북족으로 분기하여 고성군 하이면과 상리면의 경계를 따라 478.5봉-1016번지방도로 울터지재(110, 2.8)에서 사천시 사남면과 상리면의 경계를 따라간다


 

△402.1봉-등고선상 370봉(1.6/4.4)에서 서진하여 사남면과 정동면의 경계를 따라

興霧산(454.7, 3/7.4)-△287.5봉(2.8/10.2)-

尼丘산(378.2, 2.5/12.7)-城隍堂산(△209.8, 2.1/14.9)-

  

3번국도(30, 2/16.9)-△48봉(1.3/18.2)-사천군 정동면 용당리 인위적으로 만든 진양호에서 흘러나온 가화강과 길호강과 사천천이 서로 만나는 남해 바닷가(0, 1.6/19.8)에서 끝이 나는 약2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낙남와룡봉대단맥09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사천 진주


 

와룡지맥 와룡산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사천시와 사남면의 경계를 따라 북진하다 무명 550봉(1.8)에서 사천군 용견면과 사남면의 경계를 따라 峰臺산(△466.4, 4.5/6.3)-3번국도 가내지도로(3/9.3)-△37.7봉-사천시 용견면 선진리 죽천물이 남해바다로 흘러드는 곳(2.5/11.8)에서 끝이나는 약1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5). 낙남통영지맥04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통영


 

이 대곡산에서 또 한줄기가 동쪽으로 분기하여 대가면과 고성읍의 경계를 따라 고성과 통영시를 아우르는 산줄기가 있으니 그 흐름을 따라가보면


 

대곡산(△542.9)-鐵馬산(418, 1)-△300.5봉-天王산어깨(210, 1.8/2.8)에서

고성읍내를 남북으로 나누며 무량못고개도로(50, 1.4/4.2)-

33번국도 사동(30, 2.2/6.4)-동문밖도로(10, 1.7/8.1)에서 시가지를 지나 산으로 오른다


 

남산공원-신부동도로(30, 1.7/9.8)-윗땀마을-곡산(△96.2)어깨-14번국도-

매수마을(30, 1.5/11.3)-霧嶝(206, 1.7/13)-碧芳산(△650.3, 2.7/15.7)에서 북쪽으로 巨流산(△570.5 단맥)을 떨구고 통영시를 동서로 나누며 남진한다


 

안정치-天開산(524.5, 1.5/17.2)-시루봉(373, 1.8/19)-한치(170)-

道德산(330, 1.5/20.5)에서 서남방향으로 烽火산(△325.5)을 떨구고 동남진한다


 

14번국도 솔고개(50, 2.5/23)-鉢岩산(261, 1/24)-

제석봉(△279.1, 2.5/26.5)-14번국도 사거리(50, 2.5/29)-130봉(1/30)에서 동북쪽으로

三峰산(△246.1 여맥)을 떨구고 동남진한다


 

△106.2봉(1/31)-가윗고개(90)-14번국도 미널고개(50, 1.7/32.7)-명정고개(190, 3.5/36.2)-

天岩산(△257.9, 2/38.2)-한실재(70)-


 

통영시수질환경사업소 바닷가(0, 2.5/40.7)에서 끝이나는 산줄기가 어느 강줄기를 가르는 것도 아니고 그 지방에서 그래도 내노라고 하는 벽방산이 있으니 낙남벽방지맥이라고 불러도 아니 될 것은 없을 것으로 사료가 된다


 

그러나 다른 산줄기와 다르게 거의 바닷가의 얕은 산줄기들로 이어지며 돌출된 육지를 동서로 가른다는 점에서 여수지맥이나 고흥기맥과 비슷하여 벽방산보다는 그래도 통영시는 누구나 알고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낙남정맥에서 분기하였으니 낙남통영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 두개의 산줄기는 대곡산에서 다 같이 분기를 하였으므로 두 산줄기를 합한 약71.7km의 산줄기를 종주시 나는 편리하게 낙남대곡지맥이라고 부르기로 나와 약속을 한다


 

낙남통영지맥에서 분기한 단맥을  살펴보면


 

낙남통영거류단맥10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통영 함안 마산


 

낙남정맥 대곡산에서 동쪽으로 분기한 통영지맥이 고성의 진산 벽방산에 이르러 지맥은 계속 남진을 하고 한줄기를 북쪽으로 분기하여 거류면과 광도면의 경계를 따라간다


 

높이 229m지점(2.1)에서 동북 방향으로 棉花산(여맥)을 떨구고 거류면을 동서로 나누며 시종일관 북진을 한다


 

도로(110)-1009번지방도로 월치(110, 1.2/3.3)-門岩산(469)-484봉-巨流산(570.5, 3/6.3)-1010번지방도로 서발(30, 2/8.3)-155봉(1/9.3)-541봉-구절령(559, 3.2/12.5)에서 서북으로 烽火臺(△316)를 떨군다


 

鐵馬산(△394.6, 1.5/14)-垂陽산(419.5)어깨(370, 1.3/15.3)에서 동북으로 將軍산을 떨구고 동남진한다


 

鷹岩산(△431.6, 1.5/16.8)에서 남쪽으로 시루봉(407.5)를 떨구고 동진하여

67번국지도 도로(70, 2.7/19.5)-虎岩산(225, 1.2/20.7)지나 고성군 동해면 용정리 와엄말 벼랑 끝(1/21.7)에서 바닷물이 되는 약21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한다   


06). 낙남연화단맥11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함안 진주


 

낙남정맥이 지리산 영신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삼신봉에서 시종일관 동진을 하며 남강의 남쪽 수계를 가르며 흐르던 중 경남 고성군 대가면과 마암면의 경계에 있는 성지산(△392.9)에서 두개의 산줄기를 분기한다


 

하나는 서북쪽으로 약간 내려가다 개천면 대가면 마암면 삼면의 경계지점에서 서북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개천면과 대가면의 경계를 따라간다


 

시루봉(542, 2.7)에서 잠시 내려간 영현면 대가면 개천면의 삼면의 경계지점에서(470, 0.5/3.2) 서쪽으로 御산(537, 여맥)을 떨군다


 

단맥은 영현면과 개천면의 경계를 따라 동북진하여 연화산도립공원인

蓮花산(528, 0.6/3.8)에서 북쪽으로 남산을 떨구고 서북진한다


 

황새고개(210, 0.6/4.4)-蓮花봉(△477.4, 2.7/6.5)-성고개(190, 1.3/7.8)-갓골산(△181.4, 2.5/10.3)-영오천이 영천강을 만나 영천강 물이 되는 곳(30, 1.5/11.8)에서 끝이 나는 약1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7). 낙남금정단맥12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 1 지형도 도엽명 : 함안 통영


 

낙남정맥 성지산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마암면과 대가면의 경계를 따라 농금치(170, 1.5)-

개월재(190, 3/4.5)-琴井산(△348.8, 0.5/5)-盃大산(280, 1.7/6.7)-기부실재(90, 0.9/7.6)-

烽火산(△275.5, 2/9.6)-고성읍 우산리 아랫땀마을(30, 2/11.6)에서 끝이나는 약1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8). 낙남적석단맥13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함안


 

낙남정맥 성지산 지난 별밭들(△418.5)에서 잠시 내려간 임도에서 낙남정맥은 북쪽 깃대봉으로 올라가고 한줄기를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마산시와 고성군의 경계를 따라 음나무재(290, 1)-積石산(450, 0.7/1.7)에서 남쪽으로

깃대봉(△435.2 여맥)을 떨군다


 

고성터널(90, 3/4.7)-△279.3봉-△臥牛산(190.8, 4.4/9.1)-

울빛재(130, 1.5/10.6)-虎岩산(△308.7, 0.8/11.4)에서 마산시 진전면을 남북으로 나누며 서진한다


 

△143.9봉(3.2/14.6)-마산시 진전면 창포리 바닷가(2/16.6)에서 진동면 “양도”라는 섬을 동쪽으로 바라보면서 진해만 물이 되는 약1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9). 낙남월아지맥05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함안 진주


 

낙남정맥이 별밭들에서 치고 올라간 깃대봉(△520.6)에서 0.6km 정도 내려간 내림능선상 표고 470m 지점에서 정맥은 북진을 하고 단맥은 진주시와 고성군의 경계를 따라 서진을 한다


 

萬壽산(450, 1)-寶崙산(△439.3, 4/5)에서 북쪽으로 鵲堂산을 떨구고-

수리고개(150, 2.5/7.5)-△190.3봉(1/8.5)-백암고개(110, 1.7/10.2)-경전선 갈촌기차굴(90, 4.6/14.8)-

2번국도(130, 3/17.8)-남해고속도로 진주터널(210, 2.2/20)지나 월아산시립공원으로 들어간다


 

將軍台산(△482, 1.7/21.7)-달음산고개(250, 1.5/23.2)-

月牙산(470.7, 0.6/23.8)-△185.2봉(3.2/27)-진주시 금산면 방가리 남성마을(3/30)에서 남강물이 되는 약30km의 산줄기를 진주 시민의 휴식처로 각광을 받고있는 월아산의 이름을 빌어 낙남정맥에서 분기하였으니 낙남월아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10). 낙남오봉단맥14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함안 진주


 

낙남정맥이 깃대봉 지나 발산재에서 올라친 무명 522.9봉에서 정맥은 동쪽으로 가고 한줄기가 북쪽으로 분기하여 함안군과 진주시의 경계를 따라간다


 

五峰산(△524.7, 2)북쪽으로 伯夷산(368.6)을 떨구고 제산령(290, 1/3)지나 무명봉에서 북쪽으로 월촌단맥을 떨구고 서진한다


 

경전선 어석기차굴(130, 1.3/4.3)에서 올라간 무명 210봉에서 남쪽으로

馬覇산(170, 단맥)을 떨구고-1032번지방도로 어식재(150, 2.4/6.7)-掛傍산(450.5, 1.2/7.9)에서 북쪽으로 防禦산(△530.4, 여맥)군립공원을 떨군다


 

정골도로(90, 5.3/13.2)-둥둥골도로(30, 2.6/15.8)-

남해고속도로(50, 1.5/17.3)-△113.7봉(1/18.3)-도로-△109.2봉(1.8/20.1)-진주시 사봉면 마성리 발산재에서 발원한 반성천물이 남강으로 흘러들어가는 곳(30, 0.5/20.6)에서 끝이 나는 약2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낙남오봉월촌단맥15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함안 남지


 

낙남오봉 제산령 지난 무명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146봉-△130.9봉(2.5)-147봉-128봉-

△141.4봉(4.1/6.6)-112봉-△89.3봉-


 

남해고속도로(17.3, 4/10.6)-77봉-64봉-함안군 군북면 월촌리 모로천이 남강과 만나는 곳(10, 5.5/16.1)에서 끝이나는 약1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낙남오봉마폐단맥16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함안


 

오봉단맥 어석굴 지난 무명 210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정수재(150)-마폐산어깨(150, 5.5)-공천고개(110, 2.2/7.7)-진주시 사봉면 무촌리 무촌교(3.8/11.5)에서 끝이나는 약1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1). 낙남삼봉단맥17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함안 남지


 

낙남정맥 미산령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의상대(△661, 0.5)-

518봉(0.8/1.3)-287봉어깨(1.7/3)-△214봉(2.2/5.2)-121봉-

장고개(90, 7.5/12.7)-154봉-계티고개 경전선철로(50, 1.7/14.4)-


 

三峰산(△301.6, 1.3/15.7)-남해고속도로 봉신이고개(70, 0.7/16.4)-

天祭봉(239, 1/17.4)-△224.9봉(0.3/17.7)-고사리곡도로(50, 1.5/19.2)-

△96.7-멍애도로(50, 1.3/20.5)-法守산(157, 0.6/21.1)-


 

못골도로(30, 1.8/22.9)-야시골임도-토현도로-함안군 법수면 사정리 새미골마을(10, 4/26.9)에서 남강물이 되는 약2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2). 낙남인성단맥18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함안


 

낙남정맥이 여항산 지난 西北산(△738.5)에서 남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마산시 진전면과 진북면의 경계를 따라 동쪽으로 수리봉(567)을 떨군다


 

仁星산(648.2, 4)-玉女봉(181, 5.2/9.2)-조치(30, 0.8/10)-

午산(△196.7, 0.7/10.7)-오산초교(10, 1.5/12.2)-마산시 진북면 고현리 바닷가(0.5/12.7)에서 끝이나는 약1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3). 낙남화개지맥06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함안 남지


 

낙남정맥 匡慮산(△720.2)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함안군과 마산시의 경계를 따라 463봉(4.3)-312봉(2/6.3)-華蓋산(△454.5, 3.5/9.8)-남해고속도로 윗담마을(150, 0.9/10.7)-311봉-

뽕나무고개(230, 1.5/12.2)-312봉-315봉-등고선상 표고 370m 지점에서 서쪽으로 紫陽산(△401.8) 魚산(130)을 떨구고 동북진한다


 

길마재(190, 4.5/16.7)-326봉-도둑고개(70, 3/19.7)-

安國산(△343.9, 1.5/21.2)-닭재(210)-161봉-윗배골임도(30, 3.3/24.5)-

대치도로(30., 3.4/27.9)-△68.6봉-136봉-龍華산(△193.1, 3.7/31.6)-함안군 대산면 장암리 장포마을 남강이 낙동강과 만나는 곳(10, 2/33.6)에서 끝이나는 약33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한다


 

낙남화개광로단맥19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함안 남지


 

화개지맥 함안군 여항면 내곡리 아침골 뒷산 무명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匡蘆산(△378.8, 2.8)-156봉-△216.7봉(5.7/8.5)-


 

함안군 산인면 송정리 남해고속도로 함안천변 함안천교(1.7/10.2)에서 끝이나는 약1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낙남화개취무곡단맥20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남지


 

화개지맥 도둑고개전 무명산줄기에서 서북으로 분기하여 92봉(3.2)-

吹舞谷산(△178.7) 전위봉(130, 1.6/4.8)-207봉-172봉-철머리고개(110, 3/7.8)-


 

함안군 대산면 하기리 신대마을(2.5/10.3)에서 남강물이 되는 약1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4). 낙남경두단맥21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마산


 

낙남정맥 대산에서 무학산으로 가면서 아랫바람재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389.2봉(2.5)-

동전고개(170, 1.5/4)-유산고개(110, 4.2/8.2)-187봉-187봉-1035번지방도로(90, 1.5/9.7)-한재-

△264(1.8/11.5)-288봉-


 

백령재(110, 1.8/13.3)-잘패고개(90, 1.6/14.9)-옥계고개-205봉-

△191.1봉-1035번지방도로(30, 2.5/17.4)-궁개고개(50, 2.6/20)-

시래고개(70, 0.7/20.7)-198봉-145봉-경두산(△173.1, 3/23.7)-


 

마산시 구산면 심리 고래머리 바닷가(0.7/24.4)에서 서쪽으로 돗섬에게 인사를 하고 바다가 되는 약2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5) 낙남무릉단맥22


 

종주에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도엽명 : 창원


 

낙남정맥 天柱산(△638.8)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함안군과 창원시의 경계를 따라 659봉-

양미재(310, 2.4)-473봉-爵隊산(△647.8) 전위봉(470, 1.5/3.9)-342봉-246봉-武陵산(568, 4.3/8.2)-

한재(210)-421봉-1040번지방도 아산도로(130, 3/11.2)-280봉-354봉(1.9/13.1)에서 경계선은 동북으로 가고 단맥은 동남진한다


 

△187.9봉-馬金산(280)-마금산온천도로(90, 4.2/17.3)-

天馬산(370, 1.6/18.9)-창원시 북면 하천리 바깥신천마을(30, 1.1/20)에서 낙동강이 되는 약2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6). 낙남구룡단맥23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창원


 

낙남정맥 굴현고개에서 올라간 무명293봉에서 동북쪽으로 분기하여 창원시 북면과 동읍의 경계를 따라간다


 

421봉-九龍산(△432.1, 2.5)-153봉-215봉-1015번지방도로(90, 3.5/6)-

△292.9봉-白月산(428) 전위봉(370)-△202.7봉(4.4/10.4)-162봉-

1040번지방도로(50, 1.2/11.6)-163봉-


 

창원시 동읍 본포리 본계마을(10, 1.4/13)에서 낙동강물이 되는 약1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그러나 미미한 산줄기이지만 원칙적으로 제일 긴 산줄기를 따라간다면 202.7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주남저수지를 북쪽으로 에워쌓은 줄기를 따라가야 한다


 

△88.5봉-94봉-△46.3봉 지나 숯한 수로와 논뚝을 건너면서 창원시 대산면 대산뜰을 가로질러

△52.3봉-대산면 유등리 주천강이 낙동강을 만나는


 

유등(14/27)에서 끝이나는 산줄기라야 하나 그곳은 너른 들판 논길이므로 짧게 산줄기의 흐름에 따라 본계마을로 산줄기를 잡았다  


 

17). 낙남응봉단맥24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마산 창원 밀양


 

낙남정맥 정병산에서 비음산으로 가던중 창원시 진영읍 진례면의 경계점인 무명 416봉에서 진영읍과 진례면의 경계를 따라 북쪽으로 분기하여

△378.5봉-노티재(190, 2)-308봉-△284.1봉-


 

남해고속도로 김해터널(170, 2.4/4.4)-鷹峰산(283, 1.4/5.8)-224봉-진영읍 14번국도(10, 2.7/8.5)-

새말고개(30, 3.5/12)-烽火산(△140.5, 1.1/13.1)-


 

김해시 한림면 시산리 신촌마을(10, 5.5/18.6) 화포천이 낙동강을 만나는 곳에서 끝이 나는 약18km 의 산줄기를 말한다


 

18). 낙남불모단맥25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마산 김해


 

낙남정맥 龍池봉(743)에서 창원시와 김해시의 경계를 따라 남쪽으로 분기하여 상점령(450, 1.8)-

佛母산(△801.7, 2.5/4.3)에서 남쪽으로 熊산(703 단맥)을 떨구고 동진한다


 

花산(△798.4, 2.3/6.6)-屈岩산(△662,2.7/9.3)에서 잠시 진행하다 동쪽으로 玉女봉(336, 단맥)을 떨구고 남진한다


 

馬峰산(402)전위봉(△357.3, 2.3/11.6)-너더리고개(310)-두동고개(290)-보배산(△478.9, 2.8/14.4)에서 남쪽으로 夫人堂(△286.3 여맥)을 떨구고 동진한다


 

장고개(70, 2.5/16.9)-봉화고개(230)-峰火산(310, 2.6/19.5)-△122봉-부산시 강서구 성산동 장락나루(3.3/22.8)에서 조만강이 둔치도를 거쳐서 내려와 서 낙동강과 만나는 곳에서 남해 바닷물이 되는 약2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낙남불모웅산단맥26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마산


 

낙남불모단맥이 불모산에서 동쪽으로 흐르고 또 한줄기가 남쪽으로 분기하여 창원시와 진해시의 경계를 따라 熊산(703, 1.4)에서 남쪽으로 天子봉(510)을 떨구고 서진한다


 

475봉-476봉-안민고개(290, 4/5.4)-장복산굴-△330.5봉-

長福산(△582.2, 3.8/9.2)-마진터널-장복터널-매락고개(270, 2/11.2)에서 남쪽으로 平地봉(410, 여맥)을 떨구고 서진한다


 

산성산(△400.4, 2.5/13.7)을 지나 진해시 바닷가(2.5/16.2)에서 모도를 바라보며  끝이 나는 약1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낙남불모옥녀단맥27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마산 김해


 

낙남불모단맥이 화산 굴암산 지나 마봉산으로 가다 동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경남과 부산의 경계를 따라간다


 

△249.3봉-272봉-곰티고개(150, 4.1)-玉女봉(336, 1.5/5.6)-△360.1)-태정고개(230)-

錦屛산(△241.2, 3.3/8.9)) 부산시 강서구 범방동(1.5)-조만강물이 서낙동강을 만나서(1.7/10.6) 남해 바닷물이 되는 약1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 낙남분성여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밀양


 

나밭고개에서 영운리고개로 넘어가기 0.5km 이전 등고선상 표고 350m 지점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364봉-盆城산(223, 4)-활천고개(70, 1.5/5.5)-

△96.8봉-김해시 봉황동 봉황교(1.5/7)에서 끝이나는 약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이 산줄기를 혹자는 산경표에서 낙남정맥의 끝에 盆山이라고 기록된 산으로 추정을 하고 산줄기의 흐름에 따라 확실한 줄기인 신어산으로 연결된 산줄기로 가지 않고 산경표의 내용에 충실을 기한다는 이유로 이 분성여맥으로 연결해 낙남정맥을 종주하시는 분들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산경표에서 


 

낙남정맥의 마지막 부분을 보면


 

九龍山

旃檀山

佛母山(창원동남30리 分二歧)-熊山(웅천북5리)

龜旨山(김해북5리)

盆山(김해치재남3리)


 

산경표에 나오는 구룡산을 현재의 산줄기에서 찾아보면 낙남정맥 굴현고개에서 올라간 무명293봉에서 북쪽으로 약 2.5km정도 떨어져 있는 낙남구룡단맥상에 있는 산이다


 

그 구룡산이 산경표에서 말하는 구룡산이 틀림없다면 그 산의 분기점에 있는 산이 극히 미약하고 이름이 없는 무명봉이므로 확실한 구룡산을 낙남정맥상에 있다고 표현을 했으나 사실상 그 정점을 지나가지는 않는다


 

또한 그러한 논리로 불모산도 낙남정맥 용지봉에서 남쪽으로 약4.3km정도 떨어져 있으므로 낙남정맥상에 있다고 표현을 했으나 사실상 그 정점을 지나가지는 않는다

  

어떤이는 낙남정맥상에 불모산이 있다고 하여 구지산과 분산으로 연결된 산줄기를 제외시키고 낙남정맥 용지봉에서 남쪽으로 약4.3km 떨어진 불모산으로 흐르는 낙남불모단맥을 낙남정맥의 연장선상으로 이해를 하시는 분들도 계시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견해는 어떠한 사유가 있던지간에 김해시에 있는 구지산과 분산을 설명 못하는 아쉬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며 산경표의 산줄기를 정면으로 부인하는 처사라 아니할 수가 없다


 

예전에 그 근방에서 불모산의 위풍이 당당하여 그냥 보내기가 아쉬워 낙남정맥상에 있다고 표현을 하여 그 산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산줄기의 흐름은 구지산 분산으로 가고 있는 것으로 사료가 된다


 

구지산과 분산은 아주 오래전 가락국을 건국할 시 허황후의 역사를 간직한 구지산을 그냥 지나칠 수는 없는 일이라 어떻게든 그 역사의 현장을 표현해보려고 노력을 하여 낙남정맥상에 있다고 표현을 했다고 생각이 된다


 

그러나 사실상 구지산이나 분산은 낙남정맥에서 남쪽으로 약4km정도 비켜나 있으며 산줄기의 흐름은 그 후로도 도도히 흐르고 있는 것이다


 

나의 견해로는 불모산이나 구지산이나 분산이나 다 낙남정맥상에서 남쪽으로 4km 정도 벗어나 있는 산들로 낙남정맥에서 언급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어떠한 피치 못할 이유가 있어 낙남정맥의 산으로 표현을 했을 뿐이지 그 산의 연장선상이 낙남정맥이 될 수는 없다고 사료가 된다


 

고로 산경표는 구룡산과 불모산의 이름만 있지 실지로 그 정점을 지나가지는 않고 있는 예에 따라 분산에서 더 이상 기록은 없지만 분산은 지나가지 않고 산줄기는 자연스럽게 신어산으로 연결이 될 수밖에 없다

  

단지 산경표상 분산이 지금의 분성산이 틀림없다면 이 분성여맥의 끝을 낙남정맥의 끝이라고 한다면 무어라고 반박할 말은 없다      

  

20). 낙남무척단맥28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밀양


 

낙남정맥 영운리고개에서 신어산으로 올라가기 전 무명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또적고개(190, 1.5)-△322.7봉-마당재(130, 1.5/3)-광재고개(230)에서 올라간 무명470봉(2.5/5.5)에서 동북방향으로

石龍산(495.3, 단맥)을 떨구고 서북진한다


 

시루봉(△233.4, 1/6.5)-無隻산(△702.5, 2.3/8.8)에서 북쪽으로 사망산(170 여맥))을 떨구고 서진한다


 

1017번지방도로 말티고개(70, 2.2/11)-346.5봉-芍藥산(△377.8, 2.6/13.7)-

모정고개 모정굴(90, 1.5/15.2)-131봉


 

화포천이 낙동강과 만나는 곳(10, 1.5/16.7)에서 끝이 나는 약1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낙남무척석룡단맥29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밀양


 

낙남무척단맥 광제고개에서 올라간 무명 470봉에서 동북방향으로 분기하여 石龍산(495.3, 0.7)-아홉실고개(250)-琴洞산(450, 4.1/4.8)-


 

화현고개(130, 1.5/6.3)-△291.2봉-새들안고개(50, 2.8/9.1)-95.7봉-김해시 매리 아랫매리마을 대포천이 낙동강물을 만나는 매리교(10. 1.2/10.3)까지 1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낙남정맥의산줄기들 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