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슬산(琵슿瑟山)1083.6m 등산기

위치=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 유가면 경북 청도군 각뷱면

일시=2013년5월5일 일요일 날씨 대체로 맑고 기온10도에서 26도로 등산엔 양호 햇음

등산코스

1=> 8:00 유가사 출발

2=>9:40 정상 대견봉

3=>10;50 헐티재 분기점과 마령재겨유 월령봉 참꽃 군락지

4=>12:00대견사터 뒤 8각정 전망대

5=>자연휴양림과 소재사및 참꽃 행사장 순례

6=>.13:10 자연휴양림 주차장 도착으로 종료함 약15km 소요 시간5시간 30분

 

개설 



비슬산 [琵瑟山]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옥포면·가창면 경계에 있는 산

높이 1,084m. 비슬산맥에 솟아 있으며, 최고봉은 대견봉(大見峰)이다. 주위에 청룡산(靑龍山 : 794m)·최정산(最頂山 : 886m)·우미산·홍두깨산 등이 있다. 기반암은 석영반암이며, 산마루에는 풍화·침식 작용으로 이루어진 여러 모양의 암석이 드러나 있다. 1,000m 이상의 산정은 평탄하며, 남서쪽과 북쪽 사면은 급경사의 절벽을, 북동쪽 사면은 완경사를 이루고 있다. 소하천이 사방으로 흐르며, 산지 내에 V자곡을 형성한 이들 하천은 산기슭에서 대선상지군(大扇狀地群)을 이룬다. 1986년 2월 이 일대 총면적 13㎢가 비슬산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봄철에 피는 진달래와 철쭉, 산의 능선을 따라 자생하는 억새풀, 그리고 울창한 수림과 어우러진 계곡이 장관이다. 용계천을 막아 조성한 가창저수지는 용수공급원이며, 저수지 일대는 경치가 뛰어나 피서지·유원지로 개발되었다. 그밖에 물이 맑고 시원한 냉천계곡과 홍등약수터·천명약수터 등이 있다. 북쪽 기슭에는 신라시대인 912년(선덕왕 1) 보양국사(寶壤國師)가 창건했다고 하는 용연사(龍淵寺)가 있다. 동화사(桐華寺)와 더불어 대구시 근교에서 이름난 사찰로, 경내에는 석조계단(石造戒壇 : 보물 제539호)·석가여래팔상(釋迦如來八相)·사명당영정(四溟堂影幀)·극락전(極樂殿)·명부전(冥府殿)·향로전(香爐殿)·보광루(寶光樓) 등이 있다. 그밖에 유가사(瑜伽寺)·소재사(消災寺)·용문사(龍門寺)·용천사(湧泉寺) 등 많은 절이 있다. 양리-유가사-도선암-산정-조화봉소재사-양리로 이어지는 등산로가 있다. 자연경관이 뛰어나고 문화유적이 많아 대구시민을 비롯한 인근 주민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서쪽으로 구마고속도로와 군위-창녕을 잇는 국도가 통과하며 대구·창녕에서 양리까지 버스가 각각 운행된다 

대견사[ 大見寺 ]

  • 유형=유적

  • 시대=고대/삼국시대

  • 성격=절. 사찰

  • 건립시기/연도 =9세기(신라 흥덕왕)

  • 소재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봉리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봉리 에 있었던 절.

역사적 변천

창건자는 미상이나 신라 흥덕왕 때 창건된 사찰이다. 당나라 문종(文宗)이 절을 지을 곳을 찾고 있었는데, 하루는 낯을 씻으려고 떠놓은 대야의 물에 아주 아름다운 경관이 나타났다. 이곳이 절을 지을 곳이라 생각한 문종은 사신을 파견하여 찾게 하였다. 결국, 중국에서는 찾을 수 없게 되자 신라로 사람을 보내어 찾아낸 곳이 이 절터이다. 이 터가 대국에서 보였던 절터라 하여 절을 창건한 뒤 대견사라 하였다는 전설이 전한다.

창건 이후의 역사는 거의 전래되지 않고 있지만, 1416년(태종 16) 2월 29일과 1423년(세종 5) 11월 29일 이 절에 있던 장륙관음석상(丈六觀音石像)이 땀을 흘려 조정에까지 보고되었고, 종파는 교종(敎宗)에 속하였다고 한다.

절의 폐사에는 빈대와 관련된 일반적인 설화가 전래되고 있으며, 그 시기는 임진왜란 전후로 전해지고 있다. 그 뒤 1900년 영친왕의 즉위를 축하하기 위하여 이재인(李在仁)이 중창하였으나 1908년 허물어지기 시작하여 1909년 다시 폐허화되었다.

 

현재 이곳에는 신라시대에 축조한 것으로 추정되는 길이 30m, 높이 6m의 축대가 남아 있고, 무너진 구층석탑과 거대한 석조선각불상, 10여 명이 앉을 수 있는 동굴대좌(洞窟臺座) 등이 있다. 이 중 축대는 현재까지 온전히 보존되어 있으며, 동굴은 참선 또는 염불도량으로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도굴꾼에 의해서 무너진 구층석탑은 원래 높이 4.5m, 기단 너비 1.2m이었던 우수한 작품이다.

전성기에 이 절은 비슬산의 중심사찰이었다고 한다. 산 밑에 있는 소재사(消災寺)는 옛날 이 절의 식량이나 각종 생활용품·의식용품 등을 공급하던 곳이었다고 하며, 소재사 앞터에는 방앗간을 비롯하여 두부공장·기왓골 등도 있었다 한다. 현재 이 절터의 축대 밑에는 맑은 물이 솟아나는 샘터가 있으며, 가뭄 때면 달성군 사람들이 이곳에 와서 기우제를 지내고 있다.

현재 달성군에서는 사업비 40억을 투입 하여 대견사 복원 사업을 추진 하고 있는데 2014년 군정 실시 제100주년 기념일에 마추어 개찰 할 예정이라 함

        

 진달래

키는 2~3m 정도 자란다. 타원형 또는 피침형의 잎은 어긋나는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에는 조그만 비늘조각들이 빽빽하게 나 있다. 분홍색의 꽃은 잎이 나오기 전인 4월부터 가지 끝에 2~5송이씩 모여 피는데, 통꽃으로 꽃부리 끝은 5갈래로 조금 갈라져 있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익는다. 진달래는 한국에서 아주 오래 전부터 개나리와 함께 봄을 알리는 대표적인 나무의 하나로 사랑받아 왔는데, 봄에 한국의 산 어디에서나 꽃을 볼 수 있을 만큼 널리 퍼져 있다. 개나리가 주로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라는 반면에 진달래는 약간 그늘지며 습기가 약간 있는 곳에서 잘 자란다. 가지가 많이 달리기 때문에 가지치기를 해도 잘 자라며 추위에도 잘 견딘다. 뿌리가 얕게 내리고 잔뿌리가 많아 쉽게 옮겨 심을 수 있다. 꽃을 따서 먹을 수 있으므로 참꽃 또는 참꽃나무라고 부르는데, 제주도에서 자라는 참꽃나무 와는 다르다. 꽃을 날것으로 먹거나 화채 또는 술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술을 빚어 먹을 경우 담근 지 100일이 지나야 맛이 난다고 하여 백일주라고도 하는데, 한꺼번에 많이 먹지 말고 조금씩 먹어야 몸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달래를 두견화(杜鵑花)라고도 하는데, 이는 두견새가 밤 새워 피를 토하면서 울어, 그 피로 꽃이 분홍색으로 물들었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진달래는 철쭉이라고 하고 영남지방의 토속어로 연달래와 구분 되는데 진달래꽃은 독이 없어 식용 또는 약용으로 활용되는데 약효는 강장(强壯) 이요(利尿) 건위(健胃)등 이며 연달래는 꽃은 화려 하나 독이 있어 식용으로는 불가 하고 개화기 역시 진달래는 4월중순부터 5월 초이나 연달래는 5월하순 부터6월초순까지 개화되고 있음

 
 
 
 
                            

           *********  등          산          지          도*******

20050620113456.jpg

 

 *1= 유가사 주차장 출발 *2=정상 (대견봉)경유 *3= 헐티재 분기점및 용천사와 유가사 분기점 경유하고  참꽃 군락지 *4= 대견사뒤8각정 전망대* 5=조화봉 *6=자연 휴양림과 참꽃 축제장 탐방 및 소재사 예불 *7=휴양림 주차장 도착으로 종료 함

 

유가사 주차장에 세워진 비슬산 군립공원 안내도 입간판

 

비슬산 유가사 일주문

 

극락교와 계곡의 모습들

 

무산오현선사 시비등

 

돌탑군의 석문등

 

유가사 현판이 게시된 가람

 

십방루 현판의 가람

 

유가사 대웅전과 3층 석탑 임박한 부처님 오신날을 기해 많은 불등을 달아 두고 있었음

 

유가사 경내에 세워둔 참꽃 군락지4km 등 표시판

 

정상행로 정상3.3km 대견사지3.8km 전방에 위치한 이정표시판등

 

울창한 소나무 숲속 통로

 

정상행로 중 첫번째로 참꽃 군락지 분기점 표시판등

 

종주통로중  두번째 참꽃 군락지등 분기점 표시판등

 

정상1km전방 지점에 있는 암벽 밧줄 험로의 모습들

 

정상 바로 앞에 위치한 거대한 암석봉 그의 1

 

정상 바로 앞에 위치한 거대한 암석봉 그의 2

 

대견봉 정상표시석을 배경으로

 

정상에 설치된 앞산16km 등 각 방면별 이정표시판

 

정상 헬기장 북편에 만발 하고 있는 참꽃들

 

헐티재 능선으로 분기 되는 통로의 분기점 표시판등

 

통로에서 동으로는 용천사와 서로는 유가사 분기점 소재 마령재 표시판

 

통로 월광봉에서 서쪽으로 바라 보이는 참꽃 군락지

 

참꽃 군락지 나무계단 통로변에서 바라 보이는 참꽃들

 

대견사지 북쪽 고지에서 비슬산 정상이 바라 보이는 참꽃 군락들

 

통로변에 위치한 기(氣)바위 이름의 바위

 

암괴석 전망대서 내리다 보이는대견사 터와 동쪽의 기암괴석들

 

고지에서 내리다 보이는  바위 벼랑끝에 서 있는 대견사 3층석탑

 

암석 전망대서 동쪽으로 내리다 보이는 참꽃 군락들

 

비슬산 참꽃의 설화 입간판등

 

전망고지 앞에 위치한 8각정 전망대

 

전망대에서 서쪽으로 내리다 보이는낙동강변 현풍일대의 모습들

 

비슬산 유래설명문 입간판등

 

통로변에 위치한 상감 보자바위와 동 설명문판

 

형제 바위등

 

대견사지 북편에 위치한 미륵바위의 모습

 

비슬산 암괴류 설명문 입간판

 

대견사 3층 석탑을 배경으로

 

통로변에 위치한 거북바위와 동 설명문판

 

비슬산 암괴루등에 대한 안내문판

 

비슬산 강우 레이더 관측소 표시석(조화봉 바로 앞에 위치함)

 

조화봉에서 동쪽으로 내리다 보이는 용천사 일대의 풍경들

 

조화봉의 관측탑(좌)과 톱바위(우)의 풍경들

 

비슬산 참꽃 축재장의 풍경들

 

소재사 표시석과 일주문등

 

소재사 입구 극락교와 하천의 모습들

 

소재사에서 2km이상의 거리에 위치한 주차장앞의 꽃 화단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