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 옛길을 따라서


 

Mt. 1006  無等山(1,178.3m) - 광주광역시 동구, 전라남도 화순군


 

산 행 일 : 2010년 2월 28일 일요일

산의날씨 : 흐림, 안개

동 행 인 : 지리산악회 동참 산우님들


 

산행거리 : 약 18.0km

               수지사 입구 <2.4> 청풍쉼터 <5.4> 원효사 <4.1> 서석대 <0.9> 장불재 <1.5> 중머리재 <2.2> 증심사 입구 <1.5> 주차장


 

산행시간 : 6시간 47분 (식사 휴식 1시간 2분포함)

             수지사 입구 <0:14> 잣고개(2차선 도로)▪무진고성지(武珍古城址)▪무등산도립공원 표지석 <0:28> 청풍쉼터▪정자▪화장실▪김삿갓 詩碑 등 <0:40> 배재(2차선 도로)▪도로횡단구간 <0:48> 원효사 일주문 옆 <0:25> 주검동 유적(鑄劍洞 遺蹟) <0:26> 치마바위 <0:41> 안내소 <0:22> 서석대▪옛길 종점 <0:19> 장불재▪화장실 <0:24> 중머리재▪화장실 <0:34> 증심사 입구 <0:24> 주차장


 

참 고 : 국토지리정보원 1:50,000 광주(2008년 수정본), 독산(2002년 수정본)지형도




                                                                            무등산옛길 종점 -서석대


 


 



                                                                           

                                                                                오늘 산행 구간도


 

무등산 옛길이 복원 개방되었다.

1구간은 광주광역시 동구 산수오거리∼원효사 7.75km로 지난해 5월에, 2구간인 원효사∼서석대 4.12km는 10월에 개방되었는데 재미있는 것은 11.87km가 무등산 높이와 같은 것이다. -지형도의 고도는 1,178.3m이다.-

산수오거리에서 수지사 입구까지의 0.8km는 도심지여서 생략하기로 했다. 




                                                                              수지사 입구


 


 

                                                                                1번 표지목


 

09 : 28 수지사 입구

무등산 옛길 안내도와 현수막이 걸렸다.

좁은 골목길로 들어서 둔덕으로 오르자 통나무로 만든 ‘무등산옛길’ 1번 표지가 있다.

이 표지는 총 40개로 300m 간격으로 세워졌으며 원효사 까지 26개 나머지 14개는 서석대에 이르는 동안 볼 수 있다.

능선이 아닌 사면으로 난 ‘황소걸음 길’은 경사가 완만하고 아늑해서 산책하는 기분이 난다.

‘옛길에서는 쇠지팡이(스틱)가 필요 없습니다. 선조들의 길에 상처를 주는 스틱 사용을 자제 합시다’라는 팻말이 보인다.




                                                                            잣고개 - 무진고성지


 


 

                                                                                           샘


 


 

                                                                   도로횡단지점 - 무진고성 동문지


 


 

                                                       자연을 배려하여 폭을 좁게 만들었다는 안내팻말

 

09 42 잣고개

무진고성과 ‘신라하대에 장원봉을 중심으로 쌓은 성으로 밝혀졌으며 그때 광주를 무진주라 하였으므로 무진고성이라 이름을 지었다’는 안내판이 있다.

한동안 가자 도로와 가까운 지점에 샘이 있다.

물이 흐른다고 했지만 그냥 스쳐 무진고성 동문터 앞에서 도로를 횡단한다.

충장사 뒤의 배재에서도 도로를 횡단했는데 앞으로 친환경 소재의 보행 육교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한다.

‘아빠와 엄마의 길’을 걸으며 물이 흐르는 골짜기들을 통나무 다리로 건너고 ‘연인의 길, 약속의 다리’인 제4저수지 상류의 청암교를 지나간다.




                                                                              청풍쉼터 - 김삿갓 시비


 


 

                                                                                 돌길이 나온다.


 

10 : 10∼16 청풍쉼터

이름 그대로 쉬어가기 좋은 소공원으로 김삿갓 시비 등이 있다.

무등산 옛길을 보도한 신문기사들을 코팅처리 하여 줄에 걸어 놓았다.

‘김삿갓 길’을 따르다 다른 뿌리에서 자란 줄기가 중간에서 가지 하나로 연결돼 자라는 서어나무 연리목을 본다.

주막 터를 지나고 한동안 가다 돌길도 만난다.




                                                                                             배재


 


 

                                                                                 원효봉 너덜겅


 


 

                                                                                               관음암


 


 

                                                                                         대밭 길


 

10 : 56 배재

충장사 뒷고개로 도로를 횡단하여 통나무 계단을 타고 오른다.

지금까지는 육산인 편한 길을 걸었다.

너덜을 몇 차례나 거슬러 규모가 가장 큰 원효너덜겅에 도착한다. 

우측의 관음암을 보며 대밭을 통과하여 포장도로에 닿고 원효사 일주문 앞 까지 따른다.




                                                                    원효사 일주문 - 2구간 팻말이 있다.


 


 

                                                                               도로변의 표지석


 


 

                                                                                    안내도 및 협조문


 

11 : 44∼52 원효사 앞

무등산 옛길 1구간이 끝나고 2구간이 시작되는 지점이다.

입석대마트 앞을 거슬러 언덕을 넘자 도로가 가로 질렀다.

무등산 옛길 표지석과 2구간 안내도(2구간 이용 시 협조사항)가 세워졌으며 ‘무아지경의 길’이 열린다.

1구간이 몸 풀기 단계였다면 이제는 본격적인 산행 구간이 되는 셈이다.   




                                                                              금곡동 제철유적


 

12 : 11 ‘금곡동 제철유적(製鐵遺蹟)’

‘무등산에서 철이 생산되었다는 것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 있다.

이곳은 임진왜란 때 김덕령 장군이 무기를 만들었던 장소로 전해져 鑄劍洞이라고도 불린다.....’는 안내팻말이 있다.

다람쥐가 나무에서 내려온다.

이방인을 보고도 놀라지 않고 두리번거리더니 다른 나무로 올라간다.




                                                                                   주검동유적


 

12 : 17 ‘주검동유적’

바위벽에 ‘萬曆癸巳義兵大將金忠壯公鑄儉洞’이란 글자가 새겨졌다.

‘만력은 1573년부터 1620년 까지 사용하던 연호로, 계사는 선조 26년(1593년)으로 의병으로 활약한 시기를 뜻하며 충장이란 시호(諡號)를 쓴 것으로 보아 1788년 이후 장군의 활약상을 후세에 알리기 위해 새긴 것으로 보인다’는 안내 팻말이 있다.

산길은 키 작은 산죽사이로 이어진다.




                                                                                      치마바위


 


 

                                                                                          원효계곡


 


 

                                                                                    물통거리


 

12 : 43∼13 : 03 치마바위

십여 명이 둘러앉을 수 있는 납작한 바위로 치마를 펼쳐놓은 모습인가?

이름 모를 산새 울음소리와 물 흐르는 소리가 들린다.

몇 발자국 떨어진 지점에 ‘원효계곡시위지’ 표지가 있고 골짜기에는 깨끗한 물줄기가 경쾌한 소리를 내며 흘러내리고 있다.

좌측 앙상한 나뭇가지 사이로 무등산이 모습을 나타내 보이기 시작한다.




                                                                                      나가는 길


 


 

                                                                  하늘이 열리는 길에서 본 중봉


 

얼음바위 쪽과 중봉 쪽으로 나가는 갈림길을 차례로 지났는데 ‘잘못 내려오신 분은 이쪽으로 가십시오’라는 팻말이 있다.

2구간의 작전도로까지는 ‘500년 역사길 보존차원에서 올라가는 동선만 이용’하라고 했었다.

‘하늘이 열리는 길’에 이르면 억새와 키 작은 나무 지역으로 조망이 트인다.

그러나 안개가 시야를 막고 있다.




                                                                                      안내소


 


 

                                                                                         돌계단 길


 


 

                                                                                    전망대로 오르면서


 

13 : 44 안내소

안내소에 이르자 개구리 소리가 들린다.

작은 물웅덩이에 짝짓기를 하고 있는 개구리들이 보인다.

야산과 전답이 한 눈에 들어오고 잔디가 자라는 넓은 마당이 있는 집에서 살 때는 무심코 여겼던 일들이 닭장 같은 아파트로 이주를 하고부터는 새삼스럽고 자칫 철을 모르겠다.

감정은 물론 영혼마저도 시멘트로 범벅이 되어버렸는가.....?

길게 이어지는 돌계단을 따라 서석대 전망대를 지나 오른다.




                                                                                 언제나 없어질까?


 

14 : 06∼20 서석대

40번 표지목과 ‘무등산옛길 종점. 옛 선조들이 올랐던 옛길 정상입니다. 11.87km 전 구간 완주를 축하합니다’라고 적은 표지판이 반겨준다.

광주시민들의 무등산 사랑은 유별나서 무등산 보존단체가 50여개나 된다고 한다.

무등산을 둘러싼 어느 곳이든 길이 있고 쉽게 오를 수 있으면서도 생태보존이 비교적 양호한 것은 그들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하지만 아직도 군 건물이 천왕봉을 차지하고 있으니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백마능선으로 이어지는 길도 잘 안보였다.


 


 

                                                                           입석대 위에서 본 서석대


 


 

                                                                           장불재로 가면서 본 입석대


 


 

                                                                 골짜기에 물이 흘렀다 - 옆에 샘이 있다.


 

안개구름이 조망을 방해하지만 긴 휴식을 취하고 내리막길로 들어선다.

입석대를 스쳐 장불재에 닿고 물이 흐르는 골짜기에 접한 샘물은 마시지 않았다.

용추삼거리를 지나간다.




                                                                                      중머리재


 


 

                                                                                   증심사 입구


 

15 : 08∼17 중머리재

처음 따라온 분들이 새인봉과 토끼봉을 두고 망설인다.

한 눈 팔고 싶은 마음이 없어 전 대피소 길을 따르다 뒤돌아보니 그들도 내려오고 있다.

증심사도 들르지 않고 문빈정사도 지나쳐버린다.


 

16 : 15 주차장

오늘 산행은 색다른 멋과 맛이 있었다.

짐 보따리를 이고지고 또는 황소와 염소 등을 몰고 장에 가는 하얀 무명옷을 입은 옛 사람들 모습이 눈에 선하다.

쉬어갈 수 있는 주막을 그냥 스쳐가지는 않았을 것이다.

땀을 훔쳐내며 요기삼아 마시는 막걸리 한 사발은 얼마나 맛났을까?

군침이 절로 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