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국립공원 노인봉(老人峰)1338m 등산 및 소금강 탐방기
위치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삼산리 와 평창군 대관령면의 경계
일시
2012년8월11일 토요일 날씨 간간이 구름 기온 26도에서 33도로 더웠음
등산 및 탐방코스
1.=>10:30 진고개 공원안내소 출발
2.=>10:43 진고개 목초장 지남
3 =>10:48 첫 능선 위 정상3km전방 지남
4.=>11:43 정상0.2km 전방의 갈림길에서 정상쪽으로
5.=>11:56 노인봉 정상 도착함
6.=>12;05 노인봉 대피소 지남
7.=>13:04 낙영폭포 지남
8.=>14:10 백운대 지남
9.=>14:20 만물상 지남
10.=>14:50 구룡폭포 지남
11=>15;20 금강사(金剛寺) 지남
12=>15;35 연화담과 식당암등 지남
13=>17:00 무릉계 경유 주차장 도착으로 종료함 총거리 약 13.5km 소요 시간6시간30분
개설
1.노인봉 [ 老人峰 , 1338.1m]
강원도 강릉시, 강원도 평창군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삼산리와 평창군 도암면 병내리 사이에 위치하는 산이다(고도:1,339m). 오대산국립공원 안에 있다. 오대산은 비로봉(1,563m) ·동대산(1,434m) ·두로봉(1,422m) ·상왕봉(1,493m) ·호령봉(1,561m)의 오대산지구와 노인봉 ·황병산(1,407m) ·매봉산(1,173m)의 소금강지구로 나눌 수 있다. 노인봉은 소금강의 주봉이다. 이 소금강지구는 현재 청악동 소금강
으로 불리는 곳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동대산과 노인봉 사이에서 뻗어 내린 산줄기는 연곡 마을을 품고 있어 현지 주민들에게는 이 산의 의미가 남다르다. 그러나 산 이름이 사료에 나타나지 않아 그 기원과 유래를 말하기 어렵다. 다만 산삼을 캐기 위하여 치성을 드리면 노인이 나타나서 심메가 있는 곳을 알려주었다는 전설과 산정에 기묘하게 생긴 화강암 봉우리가 우뚝 솟아 있는데
그 모습이 멀리서 바라보면 마치 백발의 노인처럼 보인다고 해서 노인봉이라 불린다는 속설이 『강릉시사』에 기록되어 있다. 남동사면의 청학동 소금강에는 많은 폭포와 기암괴석의 자연절경이 펼쳐져 있다
2.소금강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산신리 노인봉 동남쪽 낙영폭포에서 이어지는 사문다지계곡과 선녀탕계곡 그리고 구룡폭 계곡으로 이어지는 소위 소금강 지구는 울창 하면서도 수려한 경관으로 1970년 명승지 제1호로 지정된 소금강 철분과 탄산이 다량 함유되어 방아다리 약수 못지 않은 송천약수 대자연이 만들어 낸 경이로운 풍경을 갖춘 곳으로
가). 식당암=신라마의 태자 군사가 훈련하며 밥을 해 먹었다고 하여 식당암이라 전해지며 이율곡 선생이 쓴 소금강이라는 친필이 음각 되어 있음
나).구룡폭포=구룡소 에서 나온 아홉 마리의 용들이 폭포 하나씩을 차지했다는 전설이 전해 지는 소금강의 대표적인 명소
다).만물상= 소금강의 기암을 한 자리에 모아 놓은 전시장 같은 곳으로 보는 각도에 따라 만 가지 형상을 보인다고 하여 만물상이라고 합니다
내용
노인봉과 소금강에 대한 명성은 일찍 듣고 한번 찾을 생각을 하고 있던 중 마침 산행 안내 전문 kj 산악회 에서 산행을 주선 하고 있어 일찍 회원으로 가입 하여 당일 30여명의 회원을 태운 버스는 6시 정각에 대구를 출발 중앙고속 도로를 북진 하다가 남 원주에서 영동 고소도로에 진입하여 진행 중 진부 요금소를 빠져 나와 59내지6번 도로 따라 진행 등산 시발지인 진 고개 휴게소에는
출발 4시간 후인 10시30분경에 도착 했는데 모두 사전에 배부된 등산 안내도에 따라 등산 하고 17시30분 까지 무릉계 소금강 분소 앞 버스 정류장에 집결 하라는 안내자의 지시에 따라 등산에 임했는데 출발 1시간 30분 만에 노인봉 정상에 도달 하고 그곳에서 4방을 바라보이는 전망경은 황홀 하여 등산의 묘미를 만끽 하고는 10여km의 소금강 계곡을 향해 진행 하면서 진고개와
소금강 분소 양 방향에서 출발한 많은 등산인들과 교행 또는 동행 하면서 그곳 이름 그대로 소금강의 모습은 금강산을 찾은 사람으로서 금강산과 버금가는 곳임을 확인하기도 하고는 17시경에는 주차장에 도착함으로 등산과 탐방을 종료하였음
|
|
등산 시발지인 진고개 휴게소의 풍경
노인봉3.9km와 소금강13.5km 등의 이정표시판
해발960m의 강릉과 평창 경계인 진고개 표시판
오대산 국립공원 안내도 입간판
공원 등산 안내소의 모습
등산로 안내도 입간판
통로변의 광활한 목초 밭의 모습
통로 노인봉 전방3km 지점 표시판등
통로에 있는 많은 나무계단길 중의 하나
노인봉 전방2.4km 지점에 설치된 이정표시판과 산림의 모습들
통로변에 반발 하고 있는 야생화의 모습들 (동자꽃)
노인봉 전방0.2km 지점에 위치한 소금강등 갈림길의 방면별 표시판
통로변의 야생화 그의2 (마타리꽃)
노인봉 정상 표시석을 배경으로
노인봉 정상에서 동쪽으로 바라 보이는 모습들
정상에서 남쪽으로 바라 보이는 모습 선자령의 표시탑이 보이기도 했음
노인봉 대피소의 모습
노인봉 대피소에 설치된 각 방면별 이정표시판
통로변의 괴 암석봉의 모습
통로 낙영 폭포 위에 위치한 방면별 이정표시판과 낙엽림의 나무들
낙영폭포의 모습
낙영폭포 하단 소(沼)의 모습
광폭포의 모습
계곡 암반속 험로의 모습
통로에 설치된 사문다지 표시판
통로 사문다지 계곡의 沼의 풍경
사문다지 계곡과 철 다리 길의 모습들
광폭포 표시판등
광폭포 그의1
광폭포 그의2
광폭포 그의3
계곡을 횡단하게 되는 수십개의 철사다리 가운데 하나의 모습
삼폭포의 모습
삼폭포 표시판등
통로 백운대 표시판등
백운대 그의1
백운대 그의2
만물산 괴석봉
만물상 그의2
만물상 그의3
선녀탕의 모습
만물상 그의4
통로변에 세워진 그곳 귀면암 설명문 입간판
만물상 표시판등
만물상 일대의 계곡의 모습들
통로변 학유대 표시와 이정표시판
만물상 전방에 위치한 공원 등산 안내소
구룡폭포 표시판등
세심폭포의모습
2단의 구룡폭포 하단폭포의 모습
2단의구룡폭포 상단 폭포를 배경으로
삼선암 표시판등
.
삼선암앞 계곡의 모습
삼선암과 계곡의 모습
삼선암에 남긴 선인들의 이름들
통로에 설치된 식당암 설명문 입간판
식당암의 모습
통로변의 괴 암봉들(여기서 이 암봉들을 [묵화(墨畵)완성 단계] 사생하고 있는 화가를 보기도 하였음)
금강사 대웅전과 후면의 삼성각등의 모습들***(절의 必須施設인 甘露水 샘이 境外 通路 河川邊에 設置 되어 있어 環境에 比해 淸淨感이 없어 解渴은 잘 했다 마는 어디인가 아쉬운 생각이 들기도 했음)***
연화담 앞에 설치된 설명문 입간판
십자소 표시판 등
십자소의 모습
구청학산장표시판 일대의 금강송림의 모습들
무릉계에 설치된 소금강 표시석비석
등산 종점인 무릉계에 소재한 각 방면별 이정 표시판등
상세한 설명도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쭉 건강산행하시면서 좋은 정보 많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