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줄기가 켜켜이 둘러싼 금성산과 악견산 그리고 의룡산


 

錦城山(609m) * 岳堅山(634m) * 儀龍山(481m) - 경상남도 합천군


 

산 행 일 : 2009년 11월 22일 일요일

산의날씨 : 맑음

동 행 인 : ㄴ산우회 동참 산우님들


 

산행(도상)거리 : 약 9.2km

                율정 마을 <1.8> 금성산 <3.5> 악견산 <2.5> 의룡산 <1.4> 용문정


 

산행시간 : 5시간 57분 (식사 휴식 45분포함)

          율정마을 <0:48> 능선▪무덤 공터 <0:22> △금성산▪금성산, 금성산 봉수대 안내판▪산불감시초소▪정상표지석▪점심식사 <0:28> 대원사 <0:14> 계류 <0:34> 악견산 외성터 <0:40> 악견산▪정상표지석▪악견산 안내판 <0:16> ▲491.7봉 <0:33> 약 460 암봉 <0:25> ×의룡산 <0:37> 조망바위 <0:15> 용문정▪버스정류장




                                                                           금성산 자락에서 본 합천호


 

경남 합천하면 먼저 해인사를 안고 있는 가야산 국립공원과 황매산 군립공원이 떠오른다.

그러나 내륙 산간 고을로 유명산들이 즐비하며 진양기맥이 남쪽으로 휘돌아 가고 대병면은 월여산∼황매산∼허굴산∼의룡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가운데 합천댐 남동부에 임진왜란과 연관이 있는 금성산과 악견산이 제법 뾰쪽하게 솟았다.






                                                 산행구간도 - 1:25000봉계지형도 복사본 등고선이 잘 나오지 안했다.


 

금성산과 악견산은 계류로 인하여 산줄기가 이어지지 않지만 의룡산 까지 연계산행 차 나섰고 일행을 태운 버스는 남해고속국도를 따르다 진주IC로 빠져 33번 국도를 타고 합천읍내  남정교 앞에서 1026번 지방도로 들어서 도로상태가 그리 좋지 않은 황계재를 넘어간다.

삼가에서 60번 국지도와 1089번 지방도를 따랐으면 상당한 시간이 단축되었을 것 같다.




                                                                                율정 마을 입구


 


 

                                                                            초입부터 가파른 길


 

10 : 31 등고선상 180 정도인 율정 마을 입구에서 콘크리트길을 오르면서 머리위로 솟은 바위투성이 산을 바라보며 각오를 단단히 했지만 초입부터 오름이 만만찮다.

바위덩어리가 듬성듬성 박힌 밤나무 밭을 거슬러 비포장 임도에 닿고 좌측 산길로 들어서면 소나무와 잡목이 어우러진 오솔길이 이어진다.

둥그스름하고 납작한 바위를 지나 직등 하던 선두가 되돌아 내려온다.

암봉을 오를 수 없는 관계로 산길은 두 봉우리 사이로 나 있다.




                                                                          황매산이 가깝게 있다.


 


 

                                                                         바위들을 거슬러 가야한다.


 

11 : 19 능선, 무덤이 있는 공터로 겉옷을 벗어 넣고 좌측으로 틀어 오르자 엉겨 붙은 바위들이 길을 대신하고 허방도 있으므로 방심은 금물이다.

정상으로 여겨지는 암봉을 우측으로 돌아가면 천애 벼랑에 안전 시설물이 설치되었다.

이어 시누대자생지가 나오고 이내 능선에 닿고 철계단을 타고 금성산 정상으로 올랐다.




                                                                           벼랑위의 안전시설


 


 

                                                                 금성산 정상으로 오르는 철계단


 

11 : 41∼12 : 17 금성산.

1:25,000 봉계 지형도를 보면 정상은 609m로, 삼각점이 표기된 지점은 592.1m로 돼있는데 삼각점은 발견하지 못했고 합천군에서 세운 정상표지석이 있다.

바위틈 작은 공터에 근무자가 있는 산불감시초소와 금성산 봉수대 안내판이 있으며 정상 부근 바위 앞에 금성산 안내판을 세워 놓았다.

‘...정상에 봉화대가 있어 일명 봉화산이라고도 하며 허굴산 악견산과 더불어 삼산이라 부른다...’는 내용이다.




                                                          연계 코스 답사 차 오신 여수 최진원 님과


 


 

                                                                                         허굴산


 

멋진 산, 좋은 산, 아름다운 산의 기준은 무엇일까?

내 주변의 어떤 이들은 기암괴석이 조화를 이루고 있으면 “아! 멋있다”라고 감탄하고 어떤 이들은 산세가 웅장하여 수림이 울창하고 깊은 계곡을 흐르는 경쾌한 물소리가 들리며 “좋고 아름답다”라고 했는데 나는 조망을 으뜸으로 친다.

오늘 찾은 세 곳 모두 훌륭한 조망처로 손색없다.




                                                                   맞은편 가운데 봉우리가 의룡산


 


 

                                                                                         악견산

    

무수한 산줄기에 켜켜이 둘러싸여 홀로 우뚝 솟은 산이 금성산이다.

합천호 북벽인 오도산 줄기너머로 가야산과 북서방향에 있을 덕유산을 가늠할 수 없으나 황매산은 팔을 뻗으면 닿을 것 같은 거리에 있다.

가야할 악견산과 의룡산을 마주하고 이른 끼니를 때운다.




                                                                         정상표지석이 반만 찍혔다.


 


 

                                                                       맞은편이 훌륭한 조망처이다.


 


 

                                                                         계단식 논배미가 정겨웁다.


 

다시 철계단을 타고 내린 작은 공터에 금성산 정상표지석이 있다.

내림 길 또한 몹시 가파르다.

‘현 위치번호 3-6’ 지점 끝 바위는 훌륭한 조망처로 쉬어가고 싶은 생각이 절로 난다.

그 암벽 좌측으로 바짝 붙어 밧줄을 잡고 내려서고 바윗길과 오솔길을 한동안 따라가면 ‘대원사 1.3km' 이정표가 있는데 거리표기가 황당하다.


 


 

                                                                                        대원사


 


 

                                                                      휘어지는 곳을 넘어 산으로

  

12 : 45 임도에 닿고 100여m 가량가면 대원사가 있다.

오래된 것 같지 않은 절 구경은 하지 않고 우리 버스가 지나갔던 1026번 지방도에 이르니 ‘봉화산 대원사’라 새긴 빗돌이 있다.

합천방향으로 조금가다 나오는 삼거리에서 좌측 길을 따라 도로가 휘어 도는 지점에서 가드레일을 넘어 길 없는 둔덕으로 오른다.

울창한 송림 때문에 잡목이 없어 진행에 어려움이 없었으며 묵은 임도를 거슬러 내려가자 수량이 꽤 많은 계류가 나온다.




                                                                      임란창의기념관과 합천댐


 


 

                                                                      바위와 소나무가 어우러진 길


 

12 : 59 비닐하우스가 있고 한 분이 밭에서 일을 하고 있다.

이곳은 등고선상 160 정도로 다시 450m 이상을 치고 올라야 한다.

가다서다 반복하며 땀을 쏟고 조망바위에서 뒤돌아보니 임진왜란 때의 의병들을 기리기 위한 ‘임란창의기념관’과 합천댐 그리고 합천호 전망대가 바라보인다.




                                                                            악견산 성터 흔적


 


 

                                                                           바위들을 기어올라야 한다.


 


 

                                                                                     산불 흔적


 

13 : 33 악견산 성터 흔적을 보고 20분 뒤 다시 성터를 보게 되었는데 외성과 내성으로 쌓은 것으로 추측되나 단정은 못하겠다.

능선에 닿고 키 큰 솔밭을 몇 발자국 가면 금성산과 마찬가지로 올망졸망 엉겨 붙은 바위가 네 발(?)을 모두 사용하게 만든다.

철계단이 나오고 잠시 후 또 다른 성터 흔적을 거슬렀다.

전에 큰 산불이 발생했었는지 정상부까지 산불흔적이 남아있어 안타깝다.




                                                                          악견산 정상표지석과


 


 

                                                                                고약한 바윗길


 

14 : 10∼17 악견산

정상표지석은 널찍한 바위 북벽에 비스듬하게 기대었고 바로 앞에 악견산 안내판이 있다.

이곳 안내판 역시 삼산을 말하고 있으며 악견산 산성에 관한 얘기를 적어놓았다.

정상부는 집체만한 바위들이 무질서하게 포개고 기대고 엉켰는데 크고 작은 굴 아닌 굴들과 비좁은 틈새를 통과하고 건너뛰기도 했다.

내림 길이 상당히 고약하여 밧줄을 붙잡기도 하고 바위와 나무 가지를 의지해야만 했다.


 


 

                                                                       전망바위에서 본 의룡산


 


 

                                                                                     491.7봉 삼각점

 

14 : 33 491.7봉.

작은 바위가 정점을 이루고 있으며 그 밑 풀 속에 좌대 번호를 식별할 수 없는 삼각점이 설치되었는데 관심이 없으면 발견하지도 못하겠다.

일부 지도를 보면 금성산은 592.1m, 악견산은 491.7m, 의룡산은 452.5m 지점에 표기하고 있는데 이는 세 곳 모두 지형도에 삼각점이 표시된 곳이다.

하긴 국토지리정보원에서 편집 발행한 5만분의 1 지형도와 2만5천분의 1 지형도마저도 상이한 곳이 있으니 그를 따져 뭣하겠는가?




                                                                               뒤돌아본 악견산


 

바위지대를 벗어난 곳에서는 줄줄 미끄러지듯 빨리들 걷는다.

임도에 닿고 이어 임도 삼거리에서 맞은편 산길로 들어서면 다시 오름 길이 시작된다.

몹시 가파른 두 산을 오르내린 탓에 허벅지가 무겁다.

쉬어가고 싶은 생각이 간절하다.




                                                                              가까워진 의룡산


 


 

                                                              조정지 댐과 합천 읍내가 보였다.


 

15 : 06∼09 약 460 암봉

조망이 썩 좋은 곳으로 목을 축이며 악견산을 바라보니 마치 팽이를 엎어놓은 것 같다.

오동골로 이어지는 안부로 내려선 후 바위 길을 타고 의룡산을 우측으로 빙 돌아 오른다.

굽이돌아 흐르는 황강과 합천 읍내가 건너다보인다.

의룡산도 곳곳이 전망대이다.

하지만 사방 경관에 사로잡혀 있을 여유가 없어 천천히 걸으면서 조망을 즐긴다.




                                                                                 의룡산 정상


 


 

                                                                악견산, 금성산, 황매산이 보인다.


 


 

                                                                                     430봉


 


 

                                                                                  벼랑 위


 

15 : 34∼36 암봉인 의룡산

좌측이 천길 단애인 바위 위로 조심스럽게 내려가 마지막 봉인 430봉에 올랐다.

산행 종점인 용문정은 바로 밑에 있으니 가벼운 기분으로 걸으리라 생각했다.

하지만 이내 그런 생각은 접어야 했으니 악견산에서 밧줄에 의지하여 내려서던 것은 호강한 셈이었다.




                                                        사진과 달리 몹시 비좁고 가파른 홈통 길이었다.


 


 

                                                                      방심해선 안 될 험한 바윗길

 

처음 나타난 밧줄은 낡아 아예 붙잡을 수 없었고 V자 형으로 파인 비좁은 길, 길이 있는지 없는지조차 구별하기 곤란한 암벽을 엉금엉금 기고 조심스럽게 미끄럼 타듯 내려가는데 배낭 옆구리에 넣어놓은 물병이 빠져 데굴데굴 굴러 떨어진다.

두 번째 밧줄은 튼튼해서 도움이 되었지만 위험한 곳에 더 이상의 밧줄은 없었다.

그런데 구조용 위치번포 표지는 있다.




                                                           전망대에서 본 모습 - 좌측 건물이 용문사


 


 

                                                                         계류를 건너가는 일행들


 

16 : 13 용문정이 발밑으로 보이는 전망대 바위

‘넉넉잡아 5분이면 되겠구나’ 생각한 것도 희망사항이었다.

하단부 까지 거의 다 내려왔는가 싶더니 산길은 좌측으로 비스듬히 올라간다.

‘모르긴 해도 징검다리가 있는 곳으로 유도하는 모양이다’ 여기고 음달이어서 녹지 않은 얼음이 있는 바위를 거슬러 계류에 당도했다.

건너뛰기에 무리라 생각되는 바위 앞에서 풀쩍 뛰었으나 오른발이 물을 스치고 말았다.




                                                        확장공사가 진행 중인 도로가의 버스정류장


 


 

                                                                                           용문정


 

16 : 28 철벅거리며 바위 틈새를 이리저리 통과하여 도로에 올라서니 버스정류장이 있고 맞은편 공터에는 커다란 비석과 정자가 보인다.

길가에는 수도가, 정자 좌측에는 깨끗한 화장실이 있다.


 

비석은 ‘晩隱柳先生遺墟碑’였고 정자는 ‘龍門亭’이었다. 

‘만은 柳秀汀 선생(1484∼1534)이 을묘사화(1519)가 일어나 조광조를 위시한 많은 신진사류들이 화를 당하자 벼슬을 내어놓고 낙향하여 용문정을 지어 현인 문객들과 교류하며 山水를 즐겼던 곳이다’라는 안내팻말이 있다.


 

버스가 황강을 옆으로 끼고 합천 읍내를 지날 때 체육공원 쪽을 바라봤다.

‘일해공원을 만들겠다’ ‘절대로 안 된다’ 한때 말들이 많더니 이곳을 말하는지 또 힘 있는 사람들 뜻대로 되었는지 갑자기 궁금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