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을 동경하고 그래서 산에 다니는 우리는

처음에는 지리산 종주를 꿈꾸고 조금 지나면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감히 우리의 산줄기를 찾아서라는 큰 뜻은 없을지라도-

이 땅의 백두대간을 꿈꾼다.

 

젊어서부터 시작한 산행이 아니었기에

또한 체력적으로나 다른 사항들이 만족할 만한 것이 아니었기에

그나마 처음에는 이 길을 걸어보겠다는 마음도 정하지 못한 채

절름거리며 시작한 백두대간이 비록 황소걸음일지라도 걸어온 만큼의

결과는 완주를 눈앞에 두고있다

 

변변한 지도 한장도 없이

산마루에 외롭게 흩날리고 있는 선배들의 표시기를 따라

홀로 다니는 구간이 많아서 그 선배들의 표시기들과 무언의 인사를 나누며

눈내리는 산속에서 앞을 분간하기가 어려워 전화로 묻기가 몇번이며 종종

전화도 불통이 되어 거의 조난 직전까지 이른 것은 또 몇 차례인가..

 

급기야는 하산길을 잘못잡아 사면을 뚫고 내려오다가 발목을 다쳐

119와 산악구조대 연결까지 참으로 지난날들을 돌아다보면 준비성의 부족으로

내 자신과 주위사람들에게 많은 폐를 끼친듯 하다.

 

근간에는 산님들의 차량써포터를 하고있으니 그간에 다른이들에게

끼친 폐를 조금이나마 보답하는 길도 있으리라고 생각은 하지만.

종종 영업적이라는 비난을 듣기도 했다. 그래도 내 나름대로 작지만

그 동안의 알게된 모든것들이 나보다도 뒤에서 걸어오는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 이라고 믿고싶다.

 

우리가 갈 수 있는 백두대간의 거리는 산림청에서 밝히고 있는대로

약 672km이고 추정거리는 1,300km에 이른다는 이 기준을 선배들은

바이블로 여기며 땀과 눈물로서 완주를 이루어내고 한번으로 부족하여

왕복 또는 수 차례의 종주를 하신분들도 있다. 나는 단 한차례의 종주를

하신분들께도 무한한 존경을 보낸다.

 

99년에 포항셀파산악회에서 연인원 370명을 동원하여 일일히

줄자로 진부령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 734.65km 이 수치는 과학의

힘으로 측정한 것 이 아닌 후답자들을 위한 수고스러움의 결과이다

의도적이든 아니든 이분들의 수고를 한낮 기계의 힘으로 폄하하는

일은 없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당연하게도 종주라 함은 첫째가 연속종주 일 것 이며

둘째가 구간종주인데 북진 또는 남진을 시작한 곳에서 일관되게

진행하는 것이 마땅한 일 이겠으나 가끔은 나처럼 우왕좌왕 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단순하게 산을 쉽게 오르기 위한 것이 아니라면

그 나름대로의 의미는 있지않을까..

 

주력이 좋아서 쉽게 걷는사람도 있고

체력도 모자라고 기타 여러가지 사항들이 좋지 못함에도 자기 형편되는대로

걷고있는 또 걸어온 사람들에게 그까짓것하는 비난은 정당하지 못하다.

지그재그로 걸어왔어도 스스로의 걸음으로 이 길을 걸어 낸 것이 아닌가?

 

이 길의 의미는 무엇인가

우리는 왜 이 길을 걸어야하고 또 걸어왔는가

진부령에서 복받치는 눈물을 가눌 수 없었다는 어느 산님의 그 마음이

아니었을까..

 

극기인가?

단순히 자신을 자랑하기 위한 그런것인가?

아닐것이다. 이런것들이 이 길을 걷는데 따르는 고통을 상쇄하지는 못한다.

그 보다는 훨씬 더 큰 의미가 있을것인데 나를 포함하는 일부가 잘 모르고

있는것이 아닌가?

 

내놓고 자랑할 거리는 분명히 아니지만

그렇다고 부끄럽지는 않다. 첫째나 둘째에 들지 못하기 때문이지만

이렇게 걸어온 것이 백두대간의 참 뜻을 훼손하지는 않았을 것이니까..

수 많은 어려운 순간들이 오래된 필름처럼 돌아다 보인다

 

산 마루에 걸려있는

무언으로 후답자를 격려하고 있는 산 선배들의 표시기는

지금도 흩날리고 있다. 종주를 하면서도 표시기를 걸지 않은 산님들도 있다

이 길을 앞서 걸어간 모든이들에게 존경과 감사를 전하며..

 

2006. 12. 16 황소걸음

 

백화산-이화령,바람몰이-조침령 구간 약11km가 남았습니다 아까워서 다 못갈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