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팔달산(八達山)&수원화성(水原華城)<화성행궁 역사문화 체험> 제2136023025호 2023-03-15(수) ◆자리한 곳 : 경기도 수원시 ◆지나온 길 : 수원역-도청오거리-수성약수-성곽(서장대-장안문-동장대-팔달문-서남암문)-효원의종-화성행궁-수원역 ◆거리및시간: 4시간28분(11:01~15:29) ※도상거리 : 약13.2km <보행수(步行數) : 21,773보> ◆함께한 이 : 계백 혼자서 ◆산행 날씨 : 강풍에 구름 많음 <해 뜸 06:45 해 짐 18:39 / ‘최저 5도, 최고 14도> 주중인데 뜬금없이 수원 화성을 찾은 까닭은? 춘삼월 봄 햇살이 힘을 발휘하여 온화하고 부드러운 날씨를 기대했는데 흐리고 바람까지 강하게 몰아친 궂은날이라 그냥 쉬려고 자리에 누워있는데 허리도 아프고 따분해,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1층에 내려가 우편함에 얌전하게 담겨있는 조간신문을 챙겨와 건성건성 헤드라인만 살피며 페이지를 넘겨나가다, 중국 구이린 여행 기사에 홀려 차분하게 읽어내다 뜬금없이 정조대왕과 화성행궁이 생각났다. 조선국의 군주로는 드물게 애민정신과 사명감이 투철했던 정조임금은 진정한 위민정치를 구현하겠다는 높은 이상도 가지고 있었으므로, 제2의 세종대왕이라 할 만큼 부족함이 없어 보이는 군왕이나 그의 짧은 생애가 더욱 안타깝기만 하지만, 과연 정조대왕께서 20년을 더 살았다면 조선의 운명이 달라졌을까? 그는 진정 조선의 르네상스를 이끈 개혁군주였나? 등으로 해석에는 이견도 없지는 않으나, 개인적으로 신뢰하는 군주인기 때문에 더 깊이 알아보고 싶은 마음으로 수원화성과 팔달산을 다녀오기로, 즉석에서 결정하고 우선 조반부터 챙겨먹고 배낭을 꾸려 집을 나선다.(09:15) 팔달산과 화성만으론 양이 차지 않아 길이를 늘리려고 고심 6호선 지하철에 승차해 구석자리에서 지도를 살펴보니 수원화성 성곽길이가 약5.7km에 불과하므로 3시간미만의 산행거리란 단순계산에 연계 가능한 산행지를 찾았으나 만족감을 얻지 못하고, 2호선 경유, 서동탄행 1호선 전철로 환승하니 빈자리가 많아 한갓진 자리를 골라 앉아서, 지도를 펼쳐들고 산행거리를 늘려내려는 잔머리쓰기에 착수해 다음 코스를 확정한다. 수원역에서 하차해서 도를 따르다가 경기도청오거리에서 팔달산자락으로 진입, 착실하게 성곽돌기를 완성하고 행궁으로 이동해 1차 복원공사가 완료된 화성행군을 돌아보고 귀갓길은 팔달로타리, 중동사거리, 교동사거리, 여성회관, 도청오거리, 수원역 코스를 확정했다. 도청오거리에서 팔달산로 삼거리(서장대, 관광안내소)에서 관광안내소에 들려서 봉사자에게 주요정보를 얻어 담았고 안내지도를 챙긴다. 순전히 산행거리를 늘려는 목적으로 성곽바깥쪽 산책로따라 서남암문에서 오솔길 따라 삼거리에 내려서 도로를 따르다 수성약수에서 산책로와 작별하고 계단길에 올라서 서암문을 통과해 서장대 성곽길에 올라서 본격적인 성곽탐사에 돌입한다.(11:57) ![]() 옛 이름은 광교산 남쪽에 있는 탑 모양의 산이라 하여 탑산으로 불렸다. 이태조가 조선을 개국하고 탑산에 은거해 있는데 고려 말 3학사 중 한 분이 조정에 내려올 것을 누차 권고했으나 끝내 내려오지 않았다. 그래서 화공을 시켜 탑산을 그려오라 했다 한다. 그림을 본 이태조는 "역시 아름답고 사통팔달한 산"이라고 하며 산 이름을 팔달산이라 명명하였다. 팔달산에 오르면 수원을 한눈에 볼 수 있고 수원성곽이 고스란히 보존되어 있어 역사의 산교육장이다. 1948년 8월 15일 한국의 독립을 기념해 일제 순사 노구 찌의 순국비를 부순 자리(중포산)에 대한민국독립기념비를 세웠다. 1969년 3월 1일 삼일동지회는 삼일독립기념탑을 팔달산에 세우고 대한민국독립기념비를 새 기념탑 옆으로 옮겼다. -위키 백과 글 편집- 화성어차 : 연무대 출발(순환형) : 4,000원, 화성행궁 출발(관광형) : 6,000원, 화성어차는 주된 관광 포인트를 순환하는 관광열차로, 순종이 타던 자동차와 조선시대 국왕의 가마를 모티브로 하여 제작되었다. 국궁체험장 : 220여 년 전 정조대왕 친위부대인 장용영 군사들이 무예를 연마하고 훈련하던 곳인 수원화성 연무대(동장대)에서 국궁 활쏘기를 체험하며 그 시절을 돌아볼 수 있다. 조선시대 지존이신 임금만이 사용할 수 있었던 곰 과녁을 겨냥하며 <사용료 1회 10발 2,000원> 효원의 종 타종 : 팔달산 정상에 있는 효원의 종은 유서 깊은 효원(孝園)의 도시이자 날로 발전하는 수원의 모습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그 동안 주요 행사 때 마다 타종 하였다. <사용료 1~2명 1,000원(1회 3타) / 3~4명 2,000원(1회 3타)> ![]() ![]() ![]() ![]() ![]() ![]() ![]() ![]() ![]() 남수문(南水門) : 1796년(정조 20) 창건 1848년(헌종 14) 홍수로 무너져 재건 1922년 홍수로 유실 2012년 복원 남수문은 화성의 남쪽 성벽이 수원천과 만나는 곳에 설치한 수문이다. 수원천 상류에 있는 북수문에 일곱 칸의 홍예를 만든 반면 하류에 있는 남수문에는 아홉 칸의 홍예를 두었다. 홍예란 무지개같이 반원형 꼴로 쌓은 구조물로 주로 다리나 천장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남수문의 바깥쪽은 홍예 위로 벽을 높이 쌓아 적이 넘어오지 못하게 하고, 안쪽에는 군사 수백 명이 수문을 지킬 수 있는 장포(長舖)를 만들었다. 아홉 개의 수문에는 철책을 설치하여 적의 침입을 대비했다. 1922년 큰 홍수로 유실되어 2012년에 화성성역의궤를 바탕으로 복원했다. 복원한 남수문은 홍수에 대비하기 위해 하부에 수로를 별도로 설치했다. ![]() 수원 남문시장 : 오감(五感) 만족! 다시 찾고 싶은 수원 남문시장은 조선 22대 정조대왕이 상인들을 불러 모아 만든 유상(柳商)시장이자 220년 전통과 역사를 가진 전통시장으로, 특화된 상품과 "왕의 시장 투어"라는 3종 체험 (금박 체험교실, 지동순대학교, 대장간 체험)을 할 수 있는 준비된 글로벌 명품시장이다. -대한민국 구석구석- 화성행궁(華城行宮) : 조선 정조 13년(1789)에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을 수원부 읍치 자리로 옮기고, 원래 수원부 읍치를 팔달산 아래로 옮겨 오면서 관청으로 사용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왕이 수원에 내려오면 머무는 행궁으로도 사용했다. 정조는 수원도호부를 화성유수부로 승격시켜 위상을 높인 한편, 1795년 화성행궁에서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치르기 위하여 건물의 이름을 바꾸거나 새로 지었다. 1796년에 전체 600여 칸 규모로 완공되었다. 행궁(行宮)은 왕이 지방에 거동할 때 임시로 머물거나 지방에 별도의 궁궐을 마련하여 임시 거처하는 곳을 말하며, 그 용도에 따라서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전쟁과 같은 비상시에 위급함을 피하고 국사(國事)를 계속 하기 위해 마련된 행궁으로는 강화행궁, 의주행궁, 남한산성행궁 등이 있고, 휴양을 목적으로 설치된 행궁으로는 온양행궁이 있다. 그리고 왕이 지방의 능원(陵園)에 참배할 때 머물던 행궁으로 화성행궁이 있다. 정조는 1790년 2월부터 1800년 1월까지 11년간 12차에 걸친 능행(陵幸)을 하였으며, 이때마다 화성행궁에 머물면서 여러 가지 행사를 거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정조가 승하한 뒤 순조(純祖) 1년(1801) 행궁 옆에 화령전(華寧殿)을 건립하여 정조의 진영(眞影)을 봉안 하였고 그 뒤 순조, 헌종, 고종 등 역대 왕들이 이곳에서 머물렀다. 화성행궁은 건립 당시의 모습이 『화성성역의궤』와 『정리의궤』에 그림으로 남아 있다. ![]() ![]() 수원 팔달산과 화성성곽, 행궁탐방을 마감하며 조선시대 성곽 건축의 백미인 수원화성은 조선 제22대 정조대왕이 아버지(장헌세자)가 세자에 책봉되었으나 지당쟁에 휘말려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뒤주 속에서 생을 마감한 부친의 원침을 양주 배봉산에서 조선 최대의 명당인 수원 화산으로 천봉하고 화산 부근에 있던 읍치를 수원 팔달산 아래 화산으로 옮긴 후 1796년 9월 완공된 화성행궁은 전국에 조성한 행궁가운데 가장 돋보이는 규모와 격식을 갖추었으며 경복궁만큼 아름다운 궁궐로 정조의 효심이 축성의 근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쟁에 의한 당파정치 근절과 강력한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한 원대한 정치적 포부가 담긴 정치구상의 중심지로 지어진 것이며 수도 남쪽의 국방요새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유비무환(有備無患 "편안하게 지낼 때 위태로움을 생각하여야 하고, 위기에 대비 잘 생각하고 대비, 충분한 준비가 되어 있다면 근심과 재난이 없다.“는 나라님의 통치철학을 들려다보는 유쾌한 시간들이였다. 지난(23.02.09) 남한산성 답사 때와는 전혀 다른 역사적 사실들로 가슴 뿌듯하고도 기분 좋은 역사문화기행을 편안하게 마감한다. -끝-. ~오라는 곳도 불러준 이도 없지만 찾아가 안기면 언제나 포근하기만 한 山을 찾아서~ 2023-03-17 계백 (배상) 클릭하시면 저에 관한 조금 더 많은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