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희운각대피소-마등령-황철봉-미시령) 산행기<34차>

 

0 산행 일자

  2012.11.10  토요일  날씨:흐리고 안개

0 산행지

  백두대간(희운각대피소-공룡능선-마등령-저항령-황철봉-미시령)   강원도 속초시, 양양군, 인제군

0 산행 코스

  희운각대피소(04:47)-무너미고개((04:52)-신선봉(05:24)-1275봉(06:57)-나한봉(08:25)-마등령(08:45)-비선대갈림길(10:44)-마등령정상(1327봉)(09:57)-삼각점(10:44)-1250봉(11:29)-저항령(12:19)-황철봉(13:35)-황철북봉(1319봉 삼각점)(14:32)-울산바위 갈림길봉(15:43)-미시령(16:30)

0 산행 거리(포항셀파산악회 기준)

  13.7km(대간 13.7km, 접근 0km)        * 총 누적거리 663.1km(대간 624.6km, 접근 38.5km)

   희운각대피소-3.1-1275봉-2.1-마등령-4.35-황철봉-1.65-1319봉-2.5-미시령

0 산행 소요시간

  11시간43분(04:47-16:30)      * 총 누적시간  342시간13분 

0 산행 함께 한 사람

  산친구와 함께 둘이서

0 산행기

 

골 깊은 설악의 계곡에 자리 잡은 희운각대피소

어둠이 빨리 내려앉아 일찍 잠자리에 들었던 육신은 긴 밤을 뒤척이다 새벽 4시에 일어나 햇반으로 꾸역꾸역 입안에 밀어 넣은 뒤 대피소를 나선다.(04:47)

등산 안내도와 함께 탐방로가 험준하여 등반사고가 자주 발생하므로 준수사항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는 탐방 안내판이 있는 무너미고개 삼거리에 이르자 공룡능선 마등령 3.9km, 희운각대피소 0.2km, 대청봉 2.7km, 양폭대피소 1.8km, 소공원 8.3km’의 이정표가 길안내를 하고 있다.(04:52)

 

이곳에서 공룡능선을 거쳐 마등령과 미시령으로 가는 백두대간은 좌측 능선을 따라 가야 하며 비선대나 설악동으로 가기 위해서는 천불동 계곡 방향인 우측 아래로 내려가야 한다.

칠흑같이 어두운 좁은 밤길 작은 계곡처럼 느껴지는 아래로 내려갔다 오르는 길은 쇠말뚝에 로프가 걸린 슬랩 암벽지대로 제법 가팔라 힘이 들 수밖에 없다.(05:00)

 

이어 오르막이 펼쳐지는 길에 돌을 깔아 등산로는 깔끔하게 정비했지만 쉽지만은 않다.

한참을 오르다 경관 안내도 곁에 희운각대피소 1.0km, 마등령 4.1km’의 이정표와 설악 03-08’ 119구조목이 밤길을 유도하고 있다.(05:21)

이후 암릉을 기어오르듯 올라서자 신선봉에 닿는데 설악산의 지존이라 일컫는 공룡능선 일대의 경관을 사진에 담은 안내판이 서 있다.(05:24)

화창한 날 신선봉 앞에 나타나는 범봉은 범선의 돛대처럼 우뚝 섰다는 의미로 이름 붙여졌다는 암봉이건만 지금은 상상 속에 떠오르는 봉황에 불과하다.

 

높은 신선봉에서 올라왔으니 내려가는 이치도 인생길과 별반 다름없는 것 아주 가파른 길로 변해 조심스럽게 내려서니 또 하나의 암봉이 막아서며 덤빌 태세다.

어떤 곳에서는 바위를 돌아가고 어떤 곳에서는 쇠말뚝 로프 난간과 씨름하며 올라 선 뒤 안부처럼 보이는 지점에 이르자 희운각대피소 1.5km, 마등령 3.6km’의 이정표와 설악 03-07’ 119구조목이 서 있는데 한쪽 귀퉁이에는 출입금지 안내판도 보인다.(05:45)

 

이정표가 있는 곳을 벗어나자마자 오름길 로프 바위 협곡을 벗어나 오르락내리락 공룡의 몸통에 본격적으로 접어드는 느낌이 들 즈음 바위길 계단에서 바람을 피해 휴식을 잠시 취한다.(06:00)

출발 후 10여분 지나 오름길이 펼쳐지며 설악 03-06’119구조목이 있는 고개를 넘어서 한참을 내려가자 계곡처럼 푹 꺼진 지점에 희운각대피소 2.3km, 마등령 2.7km’이정표가 있는데 기둥에 누군가 매직으로물 샘터라 적어 놓아 일부러 5m 정도 바위 아래로 내려가니 물이 조금 고여 있어 목을 축일 것 같지만 충분하지는 않아 보인다.(06:28)

 

오름길 중간에설악 03-05 ’119구조목(06:34)을 벗어나고 곧장 암릉 오르막에 철심 2개를 바위에 박아 놓아 발 받침대하며 로프 잡고 오르도록 도와주고 있다.(06:38)

바위고개를 넘자 공룡능선의 중심축이라 할 수 있는 1275봉이 여명에 비치며 가파른 암릉 오름길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초입 오름길은 습기가 묻어 있어 한겨울에는 상당히 미끄럽다는 생각을 하며 로프 잡고 벗어나자 이번에는 작은 바위를 넓은 밧줄에 의지하며 오르도록 내걸려 있다.

미끄러지면 저 아래로 대굴대굴 굴러 떨어질 것 같은 경사진 오름길 공룡능선에 나선 이후 최고 많은 힘을 쏟아 부으며 올라서니 양 쪽 바위가 대문 역할을 하고 있는 1275봉이다.(06:57)

6년 전 아내와 함께 이곳 공룡능선을 넘을 때와 변함없는 웃음으로 희운각대피소 3.0km, 마등령 2.1km’의 이정표가 맞이해준다.

안간힘을 다해 올라왔으니 많은 시간을 할애하며 휴식을 취한다.

리더 역할을 하고 계시는 분과 간식거리를 먹으며 힘을 보충한다.

 

1275봉에서 마등령으로 내려가는 가파른 내리막은 예전과 달리 등산로 정비를 해 한편 수월함을 느끼고 내려섰다 바위를 좌측으로 비켜 오르는 길목에 설악 03-04’119구조목을 만난다.(07:14)

잠시 숨을 고르고 난간 바위에서 희운각대피소 3.4km, 마등령 1.7km’의 이정표가 있는 암릉 안부에 내려서자

사방은 안개로 드리워져 있지만 눈 앞 공룡의 날카로운 지느러미의 암릉은 강풍에 출렁이는 성난 파도처럼 꿈틀거려 언제 덮칠지 몰라 두려움마저 든다.(07:25)

 

이어 계속되는 오르막에 단풍시즌에는 어김없이 정체를 빚고 있는 암벽로프 난간을 잡고 통과해 오름은 계속되다 깔딱 고갯마루에 이르자 젊은이 3명이 바위 아래에서 바람을 피해 라면을 끓여 먹고 있다.

이곳 이정표에는 희운각대피소 4.0km, 마등령 1.1km’라 쓰여 있다.(07:50)

 

고개에서 약간 내리막에서 다시 능선에 이르자 설악 03-02’ 119구조목이 있고 바위를 우회하여 오르자 두 번째로 만나는 정체 빚는 수직 암벽로프 지대를 끙끙대며 올라선다.(08:13)

다시 바윗길을 돌고 오르고를 반복하다 우측으로 높이 치솟은 나한봉을 곁에 두고 설악 03-01’ 119구조목이 박혀 있는 바위를 넘어서는 찰라 반대 방향에서 올라오는 여성 한 분이 깜짝 놀란다.(08:25)

이곳이 나한봉이라 부르고 있는 지점이다.

 

나한봉에서 내려설 때 북쪽 방향에서 불어오는 강한 안개바람이 나뭇가지에 얼어 붙으며 멋진 상고대 풍경을 만들어 내고 있어 장관이다.

뜻하지 않게 공룡에서의 큰 겨울 선물로 다가와 황홀한 모습으로 바라본다.

들뜬 마음으로 걷다 마등령이 가까워지면서 잠시 너덜을 통과한 뒤 너른 공터의 마등령에 안착한다.(08:45)

 

마등령은 삼거리로 마등령 해발 1,260m’라 적힌 등산 안내도와 함께 희운각대피소 5.1km, 비선대 3.5km, 오세암 1.4km’라 적힌 이정표가 각 방면별로 안내하고 있으며 설악 02-07’119구조목이 안전사고에 대비하고 있다.

그리고 오세암 방향 20여 미터 아래쪽에는 또 한 개의 이정표가 있는데 오세암 1.4km, 백담사 7.4km’라 알리고 있다.

 

공룡능선을 무사히 넘으면서 소진된 체력도 보충할 겸 공터에 앉아 라면에 떡가래를 넣고 맛있는 두 번째의 아침상을 차리는데 닭 강정 몇 개를 집어넣으니 유명세를 탔던 꼬꼬면으로 변신한다.

미시령에 예정된 시각에 늦지 않게 도착할 것이라는 짐작아래 구애 받지 않으며 이런 얘기 저런 얘기로 긴 시간을 소비한다.

주섬주섬 배낭을 꾸려 비선대 방향의 오름길로 출발한다.(09:39)

 

5분을 더 가 일반인이 봤을 때는 비선대와 설악동으로 내려가는 일방통행로 같지만 백두대간을 걷는 사람들에게는 비선대와 미시령으로 갈라지는 대간 삼거리라 할 수 있는 능선에 당도한다.(10:44)

이곳에는 급경사지 붕괴 위험지역이라는 안내판 기둥에 마등령 정상 해발 1,320m’라 쓰여 있으며 대간 방향으로는 국립공원 특별 보호구역 안내판과 함께 2007년부터 2026년까지 출입을 금지한다는 경고문이 적혀 있다.

 

그동안 장거리의 백두대간 길을 지나오며 맞닥뜨려야 했던 출입금지 구역은 이제 감각도 무디어진지 오래 스스럼없이 출입금지 안내판 뒤쪽 경계를 넘어 능선에 오르니 얼마 안가 넓은 헬기장 같은 공터 능선봉에 닿고 이어 서서히 오르막이 펼쳐지더니 순백의 상고대 터널 두 사람을 열렬히 환영한다.

 

마등령 정상인 1327봉을 약 20m 남겨둔 지점에 이르자 길은 U자 형으로 두 갈래로 갈라진다.

즉 삼거리인 이곳에서 삼각점이 있는 정상을 오르지 않고 미시령으로 곧장 가기 위해서는 좌회전 해야 되겠지만 여기까지 왔는데 정상을 밟지 않고서는 마음 편하지 않을 것 같아 오르기로 한다.

삼거리에서 순식간에 삼각점이 있는 마등령 정상에 올라선다.(09:57)

 

돌들이 촘촘히 박혀 있는 둥근 공터로 작달만한 소나무 한 그루가 뿌리를 드러낸 채 연명하고 있으며 삼각점에는 ‘2007재설 설악304’라 표기되어 있다.

정상에서 미시령으로 가는 길은 앞서 언급했듯이 다시 왔던 길로 약 20m 다시 돌아와 조금 전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꺾어 내려가야 한다.

즉 삼각점에서 내려오는 방향에서 봤을 때는 우측이, 삼각점에 오르기 직전에는 좌측이 황철봉과 미시령으로 가는 대간길이다.

 

참고로 삼각점 뒤 쪽 급비탈로 내려가는 길은 비선대로 가는 길이므로 그쪽으로 내려가면 초대형 알바다.

다행히 삼각점에 미시령과 비선대로 가는 방향 표시를 매직으로 표기해 놓았지만 언제 벗겨질지 모를 일이다.

삼거리를 벗어나자마자 작은 구간의 너덜이 마중나와 잘 찾아 왔다며 양 손을 붙잡고 끌고 간다.

 

화살 표시로 시작되는 너덜은 싱겁게 끝나고 다시 숲길로 이어지다 안부에 내려서는데 멀리 울산바위가 내다보인다.

진행해야 할 방향으로 암봉 3개가 연거푸 보이는데 과연 저 암봉들을 모조리 을까 우회할까 궁금하다.(10:27)

이어 오름길이 나오며 암봉을 좌측으로 우회하게 만들더니 또 하나의 암봉을 만나서 역시 좌측으로 돌아가게 한다.

이후 안부를 벗어나 오름 중턱 전망바위가 있어 뒤돌아보니 1327봉이 바라보이고 방금 전 우회했던 암봉이 바로 전면에 지켜보고 있다.

 

된비알 오름 중간 지점에 꼭대기가 아님에도 ‘2007 재설, 설악 414’라 표기된 삼각점을 만난다.(10:44)

계속되는 오르막에 마지막으로 보였던 커다란 암봉이 바로 앞에 나타나는데 좌측 너덜지대로 빨간 화살표 방향 따라 우회하도록 유도한다.(10:50)

여기서 10분간 휴식을 취한다.

출입을 금지하고 있는 대간 구간이지만 선명하게 길을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곳곳에는 리본과 함께 바위에 빨간 페인트로 북진 방향 화살 표시가 되어 있어 잘 살피며 진행한다면 길을 잃을 것 같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다시 화살 표시된 바위지대를 잠시 지나 암릉을 향해 오르막이 시작되다 높게 보이는 평한 한 암봉에 올라서니 리본들이 많이 매달려 있다.(11:29)

이 봉우리가 1250봉인 것 같지만 확인할 표시기는 눈에 띄지 않는다.

양호한 전망지대로 인기가 있을법하지만 안개로 인해 시야가 가려있다.

암봉에서 내려와 바위를 우측으로 돌아 능선을 넘자 최고 높게 생각되는 암봉이 또 나타나는데 다행이 그 암봉을 우측에 두고 급내림길이 펼쳐진다.(11:41)

이 봉우리가 지형도상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선답자들이 말하는 저항봉으로 생각된다.

 

이 봉우리를 이번에는 좌측으로 빙 돌아가며 올라가게 하더니 넘어진 고목나무 아래를 허리 굽혀 통과하게 한 이후 너덜이 나타난 겁을 먹지만 다행이 너덜 우측 경계로 올라가라 길이 펼쳐진다.(11:55)

너덜 구간을 벗어나자마자 뾰족뾰족한 바위 능선을 네발이 되어 힘겹게 넘자 다시 너덜지대다.(12:00)

너덜에서 잠깐의 숲을 지나자 이어 다시 진짜배기 너덜이 나타나는데 15분 가까이 빨간 화살 표시와 선답자들이 쌓아 놓은 돌탑들을 이정표 삼아 조심조심 내려선다.(12:15)

다시 숲길이 나타나며 희한한 물결무늬 고목으로 쓰러져 길을 막고 있는 통나무를 건너 너른 공터의 저항령에 도착한다.(12:19)

공터가 있는 좌측으로 내려서면 길골 따라 백담사로 내려갈 수 있고 우측으로는 저항령 계곡 따라 소공원으로 내려갈 수 있다.

 

저항령에서 충분한 휴식을 한 뒤 황철봉으로 가는 길은 역시 숲길과 너덜지대이며 가파르다.(12:39)

오르막 뒤에 긴 너덜이 나타나는데 이번에는 야광 스티커가 부착된 기다란 쇠파이프가 이정표 역할을 해주고 있다.

너덜을 오른 뒤 다시 암봉 한 개를 어렵게 넘어서자 다시 펑퍼짐한 오르막 봉우리에 천연보호구역이라 새겨진 사각 돌 기중에 누군가 매직으로 황철봉 1,381m’라 적어 놓았다.(13:35)

유심히 살펴보지 않고 진행하면 그냥 지나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황철봉 정상에서 배낭을 내려놓고 점심 대용으로 떡과 빵으로 배를 채운 뒤 삼각점이 있는 황철북봉으로 향한다.(13:58)

 

황철봉에서 황철북봉으로 가는 길은 고도를 별로 떨어뜨리지 않으며 능선 따라 진행하는데 우측 동향으로는 아름다운 상고대 풍경으로 장관을 펼치고 있다.

황철북봉을 바로 눈앞에 두고서 너덜이 나타나는데 이번에는 빨간 화살표와 더불어 가느다란 나일론 줄이 산길을 안내하고 있다.(14:30)

이 너덜 구간 잠깐 통과 후 ‘1987 재설, 설악 22’라 새겨진 황철북봉이라 부르는 1319봉에 올라선다.(14:32)

 

삼각점 위에는 북봉이라는 글씨와 함께 미시령과 마등령으로 가는 방향에 매직으로 화살표시가 되어 있으며 삼각점 앞 천연보호구역이라 새겨진 사각 돌기둥에 ‘1,318m’라 적혀 있다.

이곳 황철북봉에서 미시령으로 가는 길은 조금 전 올라왔던 방향에서 삼각점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꺾어 내려가면 30여 미터 거리의 작은 너덜이 나타나며 나일론 줄이 대간을 유도하고 있다.

삼각점에서 우측 방향에 출입금지표찰이 내걸려 있는 것이 눈에 띄는데 그쪽으로 넘어가면 역시 초대형 알바다.

잠깐의 너덜을 벗어나면 숲이 나오고 잠시 후 남한에서 제일 길다는 3단계 너덜 내림길이 지루하게 펼쳐진다.(14:42)

 

다행히 야광 유도봉과 함께 나일론 줄이 기다랗게 대간을 안내해 주고 있어 안심이 된다.

진행 방향으로 보이는 다음 유도봉을 목표로 삼아 편하게 생각되는 바위를 한 개 한 개 조심스럽게 디디며 내려간다.

특히 야간이나 안개가 끼었을 경우 이 구간을 잘 살펴 진행해야 할 것 같으며 특히 우중 산행시에는 바윗길이 미끄러워 부상을 입을 가능성도 있겠다.

 

맨 먼저 첫 번째 너덜을 지나자 잠시 숲이 나오더니 다시 너덜이 나오고 또 숲이 잠간 비치더니 마지막으로 기다란 너덜이 펼쳐진다.

너덜길 우측으로 울산바위가 환하게 내려다보이며 진행해야 할 방향으로 울산바위 갈림길 봉우리가 지척이다.

이렇게 마지막 구간의 너덜을 벗어나고서 너덜 통과 시간을 계산해 보니 29분이 소요되었다.(15:11)

너덜이 끝남과 동시에 휴식을 취하고 편한 숲길이 이어지다 안부에 내려선다.(15:38)

그러다 위험표찰 2개가 로프에 걸려 있는 펑퍼짐한 봉우리에 닿는데 바로 이곳이 울산바위 로 갈 수 있는 갈림길이다.(15:43)

 

이곳에서 대간은 좌측으로 꺾어야 한다.

위험 표찰이 걸려 있는 방향은 대간과 무관한 울산바위로 가는 길이다.

서서히 고도를 떨어뜨리며 내려서다 천연보호구역사각 돌 기둥을 지나 석축을 쌓은 참호 같은 곳을 벗어난다.(16:00)

종종 나타나는 리본은 울산바위 삼거리봉을 지나면서 뜸해지고 누군가 걸어놓은 신문지 조각과 묶여 있는 빨간 노끈 조각은 훌륭한 길잡이다.

 

울산바위 삼거리봉에서 30여분이 가까워질 무렵 미시령 길이 숲 사이로 비치고 대간을 가로질러 열십자 모양으로 교통호처럼 파 놓은 곳을 벗어나자 휴게소 건물 뒤로 진부령 방향 대간 능선이 드러난다.(16:12)

미시령 하산 지점이 가까워지면서 두 사람은 긴장의 끈을 놓지 않으며 정규 대간에서 벗어나는 탈출로를 찾기 시작한다.

 

마루금을 따라 곧바로 내려간다면 300m도 안되어 편히 미시령에 내려설 수 있으련만 창과 방패의 입장에 선 대간 등산객과 국립공원관리공단 직원간의 치열한 공방전에 결국 기 죽어 다른 길을 선택하고 만다.(16:30)

 

산행을 마치고 나니 빗방울이 한 두 방울 떨어지기 시작한다.

미시령 표지석을 직접 눈으로 보지 않으면 안 되겠기에 고갯마루로 향하는데 폐쇄된 휴게소 방향으로 미시령 지킴터가 있어 내심 움찔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의기투합하며 미시령 표지석에서 기념사진을 남긴다.

이곳은 새로운 미시령 터널이 뚫리면서 미시령 옛길로 명칭을 바뀌며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지만 먼 옛날 풍성했던 민초들의 삶의 흔적을 더듬어 보기 위해 지금도 이 고개를 넘는 관광객 차량으로 붐비고 있다.

 

비가 제법 내리고 있어 피할 곳이 전혀 없는 곳이기에 속초 콜택시를 호출한다.

출발시켜 놓고 전화를 하겠다는 답변을 한참 기다려도 오지 않을 무렵 마침 속초 대명콘도에서 휴일을 즐기다 바람 쐬러 온 관광객에게 도움을 요청 콘도까지 편하게 내려간다.

다시 택시로 고속버스터미널에 도착 각자 돌아가야 할 승차권을 구입한 다음 뒤풀이로 맛있는 황태구이에 양주 한 잔 걸치고 나니 온 세상이 내 것인 양 환희에 물든다.

 

이렇게 12일간 한계령에서 미시령에 도착하는 시각까지 모든 것을 의지하며 대간길을 함께 걸어 주었던 분에게 깊은 감사를 전하며 얼마 남지 않은 구간 아무 탈 없이 진부령에서 종주의 기쁨이 넘쳐나기를 기원한다.

 

 

0 산행 사진모음

 

030D3A4B50A205E8384158

 

 

17502F4F50A2063B067261

 

어둠이 빨리 내려앉아 일찍 잠자리에 들었던 육신은 긴 밤을 뒤척이다 새벽 4시에 일어나 햇반으로 꾸역꾸역 입안에 밀어 넣은 뒤 대피소를 나선다.(04:47)

146F193550A2307E266EF4

 

등산 안내도와 함께 탐방로가 험준하여 등반사고가 자주 발생하므로 준수사항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는 탐방 안내판이 있는 무너미고개 삼거리에 이르자 공룡능선 마등령 3.9km, 희운각대피소 0.2km, 대청봉 2.7km, 양폭대피소 1.8km, 소공원 8.3km’의 이정표가 길안내를 하고 있다.(04:52) 

이곳에서 공룡능선을 거쳐 마등령과 미시령으로 가는 백두대간은 좌측 능선을 따라 가야 하며 비선대나 설악동으로 가기 위해서는 천불동 계곡 방향인 우측 아래로 내려가야 한다.

1875BE3550A2308015FCDE

 

칠흑같이 어두운 좁은 밤길 작은 계곡처럼 느껴지는 아래로 내려갔다 오르는 길은 쇠말뚝에 로프가 걸린 슬랩 암벽지대로 제법 가팔라 힘이 들 수밖에 없다.(05:00) 

이어 오르막이 펼쳐지는 길에 돌을 깔아 등산로는 깔끔하게 정비했지만 쉽지만은 않다.

1561373550A230833B8C1B

 

한참을 오르다 경관 안내도 곁에 희운각대피소 1.0km, 마등령 4.1km’의 이정표와 설악 03-08’ 119구조목이 밤길을 유도하고 있다.(05:21)

0174703550A2308619E7BB

 

146FBD3550A23088237829

 

이후 암릉을 기어오르듯 올라서자 신선봉에 닿는데 설악산의 지존이라 일컫는 공룡능선 일대의 경관을 사진에 담은 안내판이 서 있다.(05:24)

화창한 날 신선봉 앞에 나타나는 범봉은 범선의 돛대처럼 우뚝 섰다는 의미로 이름 붙여졌다는 암봉이건만 지금은 상상 속에 떠오르는 봉황에 불과하다.

1972BD3550A2308B1B8BC8

 

높은 신선봉에서 올라왔으니 내려가는 이치도 인생길과 별반 다름없는 것 아주 가파른 길로 변해 조심스럽게 내려서니 또 하나의 암봉이 막아서며 덤빌 태세다.

026EA83550A230912546FC

 

2075173550A2309417F9DA

 

어떤 곳에서는 바위를 돌아가고 어떤 곳에서는 쇠말뚝 로프 난간과 씨름하며 올라 선 뒤 안부처럼 보이는 지점에 이르자 희운각대피소 1.5km, 마등령 3.6km’의 이정표와 설악 03-07’ 119구조목이 서 있는데 한쪽 귀퉁이에는 출입금지 안내판도 보인다.(05:45)

13716F3550A230961E8C27

 

146FB23550A23099263B72

 

이정표가 있는 곳을 벗어나자마자 오름길 로프 바위 협곡을 벗어나 오르락내리락 공룡의 몸통에 본격적으로 접어드는 느낌이 들 즈음 바위길 계단에서 바람을 피해 휴식을 잠시 취한다.(06:00)

026ED13550A2309D23CD75

 

1774EB3550A2309F18DAD6

 

출발 후 10여분 지나 오름길이 펼쳐지며 설악 03-06’119구조목이 있는 고개를 넘어서 한참을 내려가자 계곡처럼 푹 꺼진 지점에 희운각대피소 2.3km, 마등령 2.7km’이정표가 있는데 기둥에 누군가 매직으로물 샘터라 적어 놓아 일부러 5m 정도 바위 아래로 내려가니 물이 조금 고여 있어 목을 축일 것 같지만 충분하지는 않아 보인다.(06:28)

1576D43550A230A116DA9F

 

# 샘물터

1378653550A230A3103306

 

오름길 중간에설악 03-05 ’119구조목(06:34)을 벗어나고 곧장 암릉 오르막에 철심 2개를 바위에 박아 놓아 발 받침대하며 로프 잡고 오르도록 도와주고 있다.(06:38)

030EA33750A230A415D7B8

 

1506D43750A230A823E62D

 

200CBF3750A230AB197AD6

 

바위고개를 넘자 공룡능선의 중심축이라 할 수 있는 1275봉이 여명에 비치며 가파른 암릉 오름길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초입 오름길은 습기가 묻어 있어 한겨울에는 상당히 미끄럽다는 생각을 하며 로프 잡고 벗어나자 이번에는 작은 바위를 넓은 밧줄에 의지하며 오르도록 내걸려 있다.

010C153750A230B21D3BA0

 

# 1275봉 오름길 슬랩지대

170FB63750A230B61499CF

 

137FA03750A230BA3020B0

 

미끄러지면 저 아래로 대굴대굴 굴러 떨어질 것 같은 경사진 오름길 공룡능선에 나선 이후 최고 많은 힘을 쏟아 부으며 올라서니 양 쪽 바위가 대문 역할을 하고 있는 1275봉이다.(06:57)

6년 전 아내와 함께 이곳 공룡능선을 넘을 때와 변함없는 웃음으로 희운각대피소 3.0km, 마등령 2.1km’의 이정표가 맞이해준다.

안간힘을 다해 올라왔으니 많은 시간을 할애하며 휴식을 취한다.

180E3B3750A230BE174B26

 

120AF33450A230C2285D3F

 

1275봉에서 마등령으로 내려가는 가파른 내리막은 예전과 달리 등산로 정비를 해 한편 수월함을 느끼고 내려섰다 바위를 좌측으로 비켜 오르는 길목에 설악 03-04’119구조목을 만난다.(07:14)

1325973450A230C5012896

 

2008BA3450A230C9372031

 

잠시 숨을 고르고 난간 바위에서 희운각대피소 3.4km, 마등령 1.7km’의 이정표가 있는 암릉 안부에 내려서자

사방은 안개로 드리워져 있지만 눈 앞 공룡의 날카로운 지느러미의 암릉은 강풍에 출렁이는 성난 파도처럼 꿈틀거려 언제 덮칠지 몰라 두려움마저 든다.(07:25 

181F963450A230D00E2EFC

 

190D143450A230D4328305

 

0214073450A230D723E039

 

# 공룡능선 정체 구간

200F193450A230DB2FC4D4

 

016B133550A230DF2FA8FA

 

이어 계속되는 오르막에 단풍시즌에는 어김없이 정체를 빚고 있는 암벽로프 난간을 잡고 통과해 오름은 계속되다 깔딱 고갯마루에 이르자 젊은이 3명이 바위 아래에서 바람을 피해 라면을 끓여 먹고 있다.

이곳 이정표에는 희운각대피소 4.0km, 마등령 1.1km’라 쓰여 있다.(07:50)

0375473550A230E319BD30

 

16730A3550A230E71DD9A2

 

고개에서 약간 내리막에서 다시 능선에 이르자 설악 03-02’ 119구조목이 있고 바위를 우회하여 오르자 두 번째로 만나는 정체 빚는 수직 암벽로프 지대를 끙끙대며 올라선다.(08:13)

147F443550A230EF0759CD

 

01644B3550A230F239B68B

 

# 나한봉 암봉

156D8B3550A230F3295502

 

다시 바윗길을 돌고 오르고를 반복하다 우측으로 높이 치솟은 나한봉을 곁에 두고 설악 03-01’ 119구조목이 박혀 있는 바위를 넘어서는 찰라 반대 방향에서 올라오는 여성 한 분이 깜짝 놀란다.(08:25) 이곳이 나한봉이라 부르고 있는 지점이다.

1470D33550A230F5227FC5

 

17546E3A50A230F6014900

 

013F043A50A230F828FC67

 

나한봉에서 내려설 때 동쪽 방향에서 불어오는 강한 안개바람이 나뭇가지에 얼어 붙으며 멋진 상고대 풍경을 만들어 내고 있어 장관이다.

뜻하지 않게 공룡에서의 큰 겨울 선물로 다가와 황홀한 모습으로 바라본다

1943C03A50A230FA200790

 

023A243A50A230FB3170B4

 

0253893A50A230FD033E59

 

# 나한봉에서 마등령으로 가는 길에 만나는 잠깐의 너덜지대

0252CF3A50A230FF049E24

 

12458E3A50A231001D4C8A

 

들뜬 마음으로 걷다 마등령이 가까워지면서 잠시 너덜을 통과한 뒤 너른 공터의 마등령에 안착한다.(08:45) 

마등령은 삼거리로 마등령 해발 1,260m’라 적힌 등산 안내도와 함께 희운각대피소 5.1km, 비선대 3.5km, 오세암 1.4km’라 적힌 이정표가 각 방면별로 안내하고 있으며 설악 02-07’119구조목이 안전사고에 대비하고 있다.

그리고 오세암 방향 20여 미터 아래쪽에는 또 한 개의 이정표가 있는데 오세암 1.4km, 백담사 7.4km’라 알리고 있다. 

037AF73350A23102301DF7

 

공룡능선을 무사히 넘으면서 소진된 체력도 보충할 겸 공터에 앉아 라면에 떡가래를 넣고 맛있는 두 번째의 아침상을 차리는데 닭 강정 몇 개를 집어넣으니 유명세를 탔던 꼬꼬면으로 변신한다.

미시령에 예정된 시각에 늦지 않게 도착할 것이라는 짐작아래 구애 받지 않으며 이런 얘기 저런 얘기로 긴 시간을 소비한다.

주섬주섬 배낭을 꾸려 비선대 방향의 오름길로 출발한다.(09:39)

013C483350A23104149690

 

# 비선대 갈림길

1679123350A231082F09A8

5분을 더 가 일반인이 봤을 때는 비선대와 설악동으로 내려가는 일방통행로 같지만 백두대간을 걷는 사람들에게는 비선대와 미시령으로 갈라지는 대간 삼거리라 할 수 있는 능선에 당도한다.(10:44)

이곳에는 급경사지 붕괴 위험지역이라는 안내판 기둥에 마등령 정상 해발 1,320m’라 쓰여 있으며 대간 방향으로는 국립공원 특별 보호구역 안내판과 함께 2007년부터 2026년까지 출입을 금지한다는 경고문이 적혀 있다.

 

그동안 장거리의 백두대간 길을 지나오며 맞닥뜨려야 했던 출입금지 구역은 이제 감각도 무디어진지 오래 스스럼없이 출입금지 안내판 뒤쪽 경계를 넘어 능선에 오르니 얼마 안가 넓은 헬기장 같은 공터 능선봉에 닿고 이어 서서히 오르막이 펼쳐지더니 순백의 상고대 터널 두 사람을 열렬히 환영한다.

1757CB3350A23109077FF5

 

# 공터 능선봉

0347A23350A2310C0FC2E8

 

1354D23350A2310E095510

 

01093E3350A23110277189

 

마등령 정상인 1327봉을 약 20m 남겨둔 지점에 이르자 길은 U자 형으로 두 갈래로 갈라진다.

즉 삼거리인 이곳에서 삼각점이 있는 정상을 오르지 않고 미시령으로 곧장 가기 위해서는 좌회전 해야 되겠지만 여기까지 왔는데 정상을 밟지 않고서는 마음 편하지 않을 것 같아 오르기로 한다.

123B5C3A50A231122F6B44

 

삼거리에서 순식간에 삼각점이 있는 마등령 정상에 올라선다.(09:57) 

돌들이 촘촘히 박혀 있는 둥근 공터로 작달만한 소나무 한 그루가 뿌리를 드러낸 채 연명하고 있으며 삼각점에는 ‘2007재설 설악304’라 표기되어 있다.

정상에서 미시령으로 가는 길은 앞서 언급했듯이 다시 왔던 길로 약 20m 다시 돌아와 조금 전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꺾어 내려가야 한다.

즉 삼각점에서 내려오는 방향에서 봤을 때는 우측이, 삼각점에 오르기 직전에는 좌측이 황철봉과 미시령으로 가는 대간길이다. 

참고로 삼각점 뒤 쪽 급비탈로 내려가는 길은 비선대로 가는 길이므로 그쪽으로 내려가면 초대형 알바다.

182B493650A2317127B6D5

 

다행히 삼각점에 미시령과 비선대로 가는 방향 표시를 매직으로 표기해 놓았지만 언제 벗겨질지 모를 일이다.

12255A3650A23174318F12

 

삼거리를 벗어나자마자 작은 구간의 너덜이 마중나와 잘 찾아 왔다며 양 손을 붙잡고 끌고 간다. 

173F283650A23176010863

 

# 삼각점이 있는 마등령 정상에서 내려가는 너덜길

162DAC3650A2317720534D

 

153CF03650A2317A05EB63

 

123B693650A2317C088F15

 

0224FC3650A2317F314A3B

 

1213073850A231823B18E2

 

0127183850A23184178452

 

1615F53850A23186398C77

 

1820643850A2318825BEF6

 

# 너덜이 끝나고 다시 숲길로 이어진다.

192E183850A2318A0B3E76

 

012DAA3850A2318D0C8AFB

 

1221513850A2318E2273B6

 

화살 표시로 시작되는 너덜은 싱겁게 끝나고 다시 숲길로 이어지다 안부에 내려서는데 멀리 울산바위가 내다보인다.

진행해야 할 방향으로 암봉 3개가 연거푸 보이는데 과연 저 암봉들을 모조리 을까 우회할까 궁금하다.(10:27)

0126E13450A23190035E81

 

12029B3450A2319233544E

 

150CA33450A231932FE406

 

이어 오름길이 나오며 암봉을 좌측으로 우회하게 만들더니 또 하나의 암봉을 만나서 역시 좌측으로 돌아가게 한다.

이후 안부를 벗어나 오름 중턱 전망바위가 있어 뒤돌아보니 1327봉이 바라보이고 방금 전 우회했던 암봉이 바로 전면에 지켜보고 있다.

# 뒤볼아본 1327봉(삼각점)

010D8B3450A23195355299

 

# 진행해야 할 방향의 암봉(우회)

1911493450A231962E8DD2

 

# 산양의 것으로 보이는 배설물도 보인다.

1918553450A2319921D67A

 

140A343450A2319D3BE6AE

 

된비알 오름 중간 지점에 꼭대기가 아님에도 ‘2007 재설, 설악 414’라 표기된 삼각점을 만난다.(10:44)

1520073B50A231A00F498E

 

111D7C3B50A231A2134B28

 

171A763B50A231A519793D

 

계속되는 오르막에 마지막으로 보였던 커다란 암봉이 바로 앞에 나타나는데 좌측 너덜지대로 빨간 화살표 방향 따라 우회하도록 유도한다.(10:50)

출입을 금지하고 있는 대간 구간이지만 선명하게 길을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곳곳에는 리본과 함께 바위에 빨간 페인트로 북진 방향 화살 표시가 되어 있어 잘 살피며 진행한다면 길을 잃을 것 같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1509B53B50A231A7232135

 

1612C83B50A231AA299F93

 

2011E03B50A231AC2B81C5

 

16130F3B50A231AE294009

 

03093E3350A231B02B24A4

 

다시 화살 표시된 바위지대를 잠시 지나 암릉을 향해 오르막이 시작되다 높게 보이는 평한 한 암봉에 올라서니 리본들이 많이 매달려 있다.(11:29)

이 봉우리가 1250봉인 것 같지만 확인할 표시기는 눈에 띄지 않는다.

양호한 전망지대로 인기가 있을법하지만 안개로 인해 시야가 가려있다.

12133F3350A231B229AF87

 

# 1250봉에서 아래 사진의 바위 사이로 내려갔다가 다시 우회하여야 한다.

191CB03350A231B326E475

 

암봉에서 내려와 바위를 우측으로 돌아 능선을 넘자 최고 높게 생각되는 암봉이 또 나타나는데 다행이 그 암봉을 우측에 두고 급내림길이 펼쳐진다.(11:41)

이 봉우리가 지형도상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선답자들이 말하는 저항봉으로 생각된다. 

170BBF3350A231B62DD204

 

# 바위 고개를 넘으면 급내림 비탈이 펼쳐진다.

1656B33350A231B80CB824

 

# 급내림 계단

1333823350A231BD1C00DF

 

# 빙 돌아 가는 암봉으로 저항령 도착전에 있다는 저항봉이라고 하는 것 같다.

2006AE3350A231BF2E816E

 

2018DF3350A231C12841DA

 

저항봉이라 부르는  봉우리를 이번에는 좌측으로 빙 돌아가며 올라가게 하더니 넘어진 고목나무 아래를 허리 굽혀 통과하게 한 이후 너덜이 나타난 겁을 먹지만 다행이 너덜 우측 경계로 올라가라 길이 펼쳐진다.(11:55)

183C483350A231C4185EC5

 

# 고목 아래로 기어가듯 통과해 오름길에 들어서고...

11312B3350A231C71E159A

 

# 빙 돌아 가니 너덜 오름이 다시 펼쳐지고,,

152CB03350A231C91E6775

 

# 암릉을 향해 오르다..

0150CD3350A231CB106874

 

너덜 구간을 벗어나자마자 뾰족뾰족한 바위 능선을 네발이 되어 힘겹게 넘자 다시 너덜지대다.(12:00)

1957A73350A231CD0BEB5A

 

너덜에서 잠깐의 숲을 지나자 이어 다시 진짜배기 너덜이 나타나는데 15분 가까이 빨간 화살 표시와 선답자들이 쌓아 놓은 돌탑들을 이정표 삼아 조심조심 내려선다.(12:15)

# 저항봉에서 저항령으로 내려서는 길은 긴 너덜이 이어진다.

0254473350A231CF0F1BEF

 

152FB93950A231D12F984B

 

# 선답자들이 후답자들을 위해 배려해 놓은 돌탑이 길을 안내하고 있다.

1848F13950A231D3022106

 

1839693950A231D51D8555

 

# 긴 너덜이 끝나고 다시 숲이 이어진다.

0138643950A231D720F021

 

# 저항령 도착 직전에 누워 있는 물결무늬 고목으로 이 고목을 반드시 넘어가야 한다.

2042283950A231DB0E68D0

 

다시 숲길이 나타나며 희한한 물결무늬 고목으로 쓰러져 길을 막고 있는 통나무를 건너 너른 공터의 저항령에 도착한다.(12:19)

공터가 있는 좌측으로 내려서면 길골 따라 백담사로 내려갈 수 있고 우측으로는 저항령 계곡 따라 소공원으로 내려갈 수 있다. 

173DDF3950A231DD154011

 

# 저항령 공터

1248043950A231E00464A3

 

저항령에서 충분한 휴식을 한 뒤 황철봉으로 가는 길은 역시 숲길과 너덜지대이며 가파르다.(12:39)

0145D33950A231E20814F1

 

 

201AC43850A232B835630C

 

# 출입금지 구역이라고 하지만 국립공원관리공단의 일말의 양심을 엿볼수 있는 야간 반사봉으로 공룡능선과 미시령 구간에 설치되어 있어 큰 도움이 된다.

012E7F3850A232BA116A58

 

오르막 뒤에 긴 너덜이 나타나는데 이번에는 야광 스티커가 부착된 기다란 쇠파이프가 이정표 역할을 해주고 있다.

152DAA3850A232BC12454F

 

1727F83850A232BE1C0EA0

 

191B6E3850A232C13572BB

 

0123A93850A232C625758A

 

192EF13850A232C8101808

 

164F3A3A50A232CA157489

 

13458E3A50A232CC27B489

 

023F933A50A232CE315B79

 

144ED03A50A232D01736DA

 

0354B23A50A232D20B6962

 

0248E83A50A232D4217ED0

 

123AE43A50A232D739E17D

 

너덜을 오른 뒤 다시 암봉 한 개를 어렵게 넘어서자 다시 펑퍼짐한 오르막 봉우리에 천연보호구역이라 새겨진 사각 돌 기중에 누군가 매직으로 황철봉 1,381m’라 적어 놓았다.(13:35)  유심히 살펴보지 않고 진행하면 그냥 지나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황철봉 정상에서 배낭을 내려놓고 점심 대용으로 떡과 빵으로 배를 채운 뒤 삼각점이 있는 황철북봉으로 향한다.(13:58)

131CB03350A232DC2D59A5

 

황철봉에서 황철북봉으로 가는 길은 고도를 별로 떨어뜨리지 않으며 능선 따라 진행하는데 우측 동향으로는 아름다운 상고대 풍경으로 장관을 펼치고 있다.

1829513350A232DE25B004

 

193C483350A232E11F373D

 

14298B3350A232E5296B25

 

0266533350A232E80D3E3E

 

030FBD3350A232E933CAB6

 

황철북봉을 바로 눈앞에 두고서 너덜이 나타나는데 이번에는 빨간 화살표와 더불어 가느다란 나일론 줄이 산길을 안내하고 있다.(14:30)

1311BA3750A232EB1BA887

 

이 너덜 구간 잠깐 통과 후 ‘1987 재설, 설악 22’라 새겨진 황철북봉이라 부르는 1319봉에 올라선다.(14:32) 

삼각점 위에는 북봉이라는 글씨와 함께 미시령과 마등령으로 가는 방향에 매직으로 화살표시가 되어 있으며 삼각점 앞 천연보호구역이라 새겨진 사각 돌기둥에 ‘1,318m’라 적혀 있다.

1508E23750A232EE29B157

 

이곳 황철북봉에서 미시령으로 가는 길은 조금 전 올라왔던 방향에서 삼각점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꺾어 내려가면 30여 미터 거리의 작은 너덜이 나타나며 나일론 줄이 대간을 유도하고 있다삼각점에서 우측 방향에 출입금지표찰이 내걸려 있는 것이 눈에 띄는데 그쪽으로 넘어가면 역시 초대형 알바다.

1808CC3750A232F02AEABF

 

삼각점에서 잠깐의 너덜을 벗어나면 숲이 나오고 잠시 후 남한에서 제일 길다는 3단계 너덜 내림길이 지루하게 펼쳐진다.(14:42) 

# 1단계 너덜의 초입

1703BE3750A232F2346101

 

다행히 야광 유도봉과 함께 나일론 줄이 기다랗게 대간을 안내해 주고 있어 안심이 된다.

진행 방향으로 보이는 다음 유도봉을 목표로 삼아 편하게 생각되는 바위를 한 개 한 개 조심스럽게 디디며 내려간다.

특히 야간이나 안개가 끼었을 경우 이 구간을 잘 살펴 진행해야 할 것 같으며 특히 우중 산행시에는 바윗길이 미끄러워 부상을 입을 가능성도 있겠다. 

161D613750A232F40536EA

 

# 2단계 너널의 초입

2016A93750A232F61144D8

 

맨 먼저 첫 번째 너덜을 지나자 잠시 숲이 나오더니 다시 너덜이 나오고 또 숲이 잠간 비치더니 마지막으로 기다란 너덜이 펼쳐진다.

1608BB3750A232F82911B8

 

너덜길 우측으로 울산바위가 환하게 내려다보이며 진행해야 할 방향으로 울산바위 갈림길 봉우리가 지척이다.

1929123C50A232FA373878

 

182C543C50A232FB327B59

 

  # 울산바위 갈림길 봉우리가 보이고...

1941F23C50A232FD0BC8E8

 

# 마지막인 3단계 너덜 초입

1146C63C50A232FF020DD8

 

112BE43C50A2330432F1CD

 

이렇게 마지막 구간의 너덜을 벗어나고서 너덜 통과 시간을 계산해 보니 29분이 소요되었다.(15:11)

너덜이 끝남과 동시에 휴식을 취하고 편한 숲길이 이어지다 안부에 내려선다.(15:38)

202EE43C50A233062D3BBF

 

11320B3C50A2330828521E

 

그러다 위험표찰 2개가 로프에 걸려 있는 펑퍼짐한 봉우리에 닿는데 바로 이곳이 울산바위 로 갈 수 있는 갈림길이다.(15:43) 

이곳에서 대간은 좌측으로 꺾어야 한다위험 표찰이 걸려 있는 방향은 대간과 무관한 울산바위로 가는 길이다.

116ED13550A2330A30E41D

 

1975BE3550A2330D23F27B

 

서서히 고도를 떨어뜨리며 내려서다 천연보호구역사각 돌 기둥을 지나 석축을 쌓은 참호 같은 곳을 벗어난다.(16:00)

197F443550A2330F1399CB

 

2006283550A2331107C78B

 

종종 나타나는 리본은 울산바위 삼거리봉을 지나면서 뜸해지고 누군가 걸어놓은 신문지 조각과 묶여 있는 빨간 노끈 조각은 훌륭한 길잡이다.

12788D3550A233131EB284

 

울산바위 삼거리봉에서 30여분이 가까워질 무렵 미시령 길이 숲 사이로 비치고 대간을 가로질러 열십자 모양으로 교통호처럼 파 놓은 곳을 벗어나자 휴게소 건물 뒤로 진부령 방향 대간 능선이 드러난다.(16:12)  미시령 하산 지점이 가까워지면서 긴장의 끈을 놓지 않으며 정규 대간에서 벗어나는 탈출로를 찾기 시작한다. 그리고 미시령에 무사히 내려선다.(16:30)

1671773550A233152A0DB3

 

1471523550A233172DEA79

 

1716BB3450A233282D5322

 

# 미시령 표지석

133E5E3350A2332A212C04

 

저와 함께 할 수 있는 블로그는 http://blog.daum.net/yongin1849 입니다.